6.25 전쟁의 전투 서열
보이기
다음은 6.25 전쟁에서의 진영별 전투 서열 목록이다.
유엔군 진영
[편집]대한민국
[편집]- 육군
- 해군
- 공군
- 해병대
미국
[편집]육군
[편집]- 미국 극동 육군
- 주일 군수사령부(JAPLOGCOM / JLC); 옛 "제8군 후방본부", 1950년 8월 25일 ~ 1952년 10월 1일, 극동 육군에 흡수됨.[1]
- 제16(XVI)군단; 예비대
정규군
[편집]방위군
[편집]- 뉴저지주 (NJ)
- 제30병기대대 본부 및 본부분견대; 1951년 4월 22일 ~ 1955년 11월 26일
- 노스캐롤라이나주 (NC)
- 제378공병전투대대; 1951년 2월 24일 ~ 1955년 2월 21일
- 뉴욕주 (NY)
- 제101통신대대; 1952년 4월 7일 ~ 1954년 9월 23일
- 제773대항공기자동포대대; 1952년 10월 18일 ~ 1953년 4월 30일
- 제955야전포병대대; 1951년 2월 2일 ~ 1955년 3월 18일
- 메릴랜드주 (MD)
- 제231수송화물차대대, 본부 및 본부분견대; 1951년 1월 1일 ~ 1955년 2월 21일
- 제726수송화물차중대; 1950년 12월 31일 ~ 1955년 2월 21일
- 미시간주 (MI)
- 제107병기정비중대 (Medium); 1951년 3월 9일 ~ 1954년 10월 27일
- 제1437공병중대 (Treadway Bridge); 1951년 3월 2일 ~ 1955년 3월 18일
- 미시시피주 (MS)
- 제138공병부교중대; 1951년 2월 16일 ~ 1952년 3월 1일
- 미주리주 (MO)
- 제106병기정비중대 (Heavy); 1951년 3월 26일 ~ 1955년 5월 26일
- 아칸소주 (AR)
- 제217의무Collecting중대; 1951년 5월 4일 ~ 1953년 2월 21일
- 제936야전포병대대; 1951년 2월 10일 ~ 1954년 11월 10일
- 제937야전포병대대; 1951년 2월 10일 ~ 1954년 11월 26일
- 아이다호주 (ID)
- 제116공병전투대대; 1951년 2월 28일 ~ 1955년 1월 20일
- 앨라배마주 (AL)
- 제107수송화물차중대; 1951년 1월 8일 ~ 1955년 2월 21일
- 제151공병전투대대; 1951년 2월 9일 ~ 1955년 2월 21일
- 제252수송화물차중대; 1951년 1월 1일 ~ 1955년 2월 21일
- 제1169공병전투단; 본부 및 본부중대, 1951년 2월 28일 ~ 1955년 1월 20일
- 제1343공병전투대대; 1951년 2월 9일 ~ 1955년 2월 21일
- 오클라호마주 (OK)
- 제45보병사단; 1951년 12월 5일 ~ 1954년 4월 30일
- 오하이오주 (OH)
- 제987기갑야전포병대대; 1951년 2월 16일 ~ 1954년 9월 27일
- 와이오밍주 (WY)
- 제300기갑야전포병대대; 1951년 2월 16일 ~ 1954년 9월 27일
- UT
- 제145야전포병대대 1951년 12월 5일 ~ 1955년 3월 18일
- 워싱턴 D. C. (DC)
- 제715수송화물차중대; 1951년 1월 5일 ~ 1955년 1월 21일
- 웨스트버지니아주 (WV)
- 제1092공병전투대대; 1951년 3월 3일 ~ 1955년 3월 18일
- 유타주 (UT)
- 제204야전포병대대; 1951년 2월 2일 ~ 1955년 3월 18일
- 제213기갑야전포병대대; 1951년 2월 16일 ~ 1954년 10월 28일
- 일리노이주 (IL)
- 제32병기대대, 본부 및 본부분견대; 1951년 7월 10일 ~ 1955년 5월 26일
- 켄터키주 (KY)
- 제623야전포병대대; 1951년 12월 23일 ~ 1955년 3월 18일
- 캘리포니아주 (CA)
- 제40보병사단; 1952년 6월 11일 ~ 1954년 6월 30일
- 테네시주 (TN)
- 제194공병전투대대; 1951년 2월 16일 ~ 1955년 2월 20일
- 제196야전포병대대; 1951년 2월 9일 ~ 1955년 3월 18일
- 제568병기정비중대 (Heavy); 1951년 3월 19일 ~ 1955년 3월 14일
- 제2998공병중대 (Treadway Bridge); 1951년 2월 27일 ~ 1954년 12월 20일
- 펜실베이니아주 (PA)
- 제32병참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 1952년 2월 17일 ~ 1955년 6월 23일
- 제121수송화물차중대; 1951년 1월 4일 ~ 1955년 2월 21일
- 제131수송화물차중대; 1951년 1월 1일 ~ 1954년 9월 18일
- 제167수송화물차대대. 본부 및 본부분견대, PA 1 Jan 1951년 ~ 1955년 1월 23일
- 제176기갑야전포병대대; 1951년 2월 17일 ~ 1954년 9월 27일
- 제213대항공기자동포대대; 1951년 11월 11일 ~ 1952년 5월 28일
- 제235야전포병관측대대; 1952년 12월 10일 ~ 1954년 12월 20일
- 플로리다주 (FL)
- 제227대항공기단, 본부 및 본부포대; 1952년 3월 21일 ~ 1953년 5월 14일
해군
[편집]- 미국 극동해군
- TF-90
- TF-95 - 1950년 9월 12일 ~ 휴전까지
- TF-96
- 제7함대 - 1950년 6월 27일 ~ 휴전까지
- TF-70
- TG-70.6 제1함대항공전단
- VP-1; 1950년 8월 7일 ~ 1950년 11월 13일; 1951년 4월 ~ 1951년 8월 29일
- VP-6; 1951년 7월 27일 ~ 1952년 1월 15일
- VP-28; 1950년 7월 14일 ~ 1950년 8월 10일; 1951년 3월 28일 ~ 1951년 10월 11일; 1952년 5월 26일 ~ 1952년 12월 1일
- A파견대; 1951년 10월 11일 ~ 1951년 12월 13일
- VP-42; 1950년 ~7월 19일 1950년 8월 10일
- VP-46; 1950년 12월 1일 ~ 1951년 2월 6일
- VP-47 파견대; 1950년 7월 7일 ~ 1951년 1월 1일
- VP-731; 1951년 2월 7일 ~ 1951년 8월 13일
- VP-892; 1952년 2월 12일 ~ 1952년 9월 18일
- 제6함대항공전단; 1950년 8월 4일 ~ 종전
- VP-1; 1952년 3얼 29일 ~ 1952년 10월 5일; 1953년 5월 27일 ~ 종전
- VP-2; 1951년 8월 1일 ~ 1951년 12월 2일
- VP-6; 1950년 7월 7일 ~ 1951년 2월 12일
- VP-7; 1953년 6월 28일 ~ 종전
- VP-9; 1952년 6월 27일 ~ 1953년 1월 3일
- VP-17; 1953년 2월 4일 ~ 1953년 8월 1일
- VP-29; 1952년 9월 27일 ~ 1953년 4월 5일
- VP-40; 1951년 5월 15일 ~ 1951년 12월 12일
- VP-42; 1950년 8월 11일 ~ 1951년 4월 9일; 1951년 11월 22일 ~ 1952년 6월 11일
- VP-46; 1951년 9월 25일 ~ 1952년 4월 2일; 1953년 3월 1일 ~ 종전
- VP-47; 파견대; 1950년 7월 7일 ~ 1951년 1월 1일 ; 1951년 7월 26일 ~ 1952년 3월 4일; 1952년 11월 22일 ~ 1953년 6월 1일
- VP-50 파견대; 1953년 6월 1일 ~ 종전
- VP-731; 1952년 5월 29일 ~ 1952년 12월 8일
- VP-772; 1951년 1월 1일 ~ 1951년 8월 3일
- VP-871; 1951년 10월 ~ 1952년 7월 7일
- VP-892; 1950년 11월 23일 ~ 1951년 6월 9일
- RAF 제88비행전대 파견대
- RAF 제205비행전대 파견대
- RAF 제209비행전대 파견대
- TG-70.6 제1함대항공전단
- TF-72; 제12포르모사 순찰대 - 1950년 9월 12일
- TF-77
- 제1항공모함전대
- USS 에식스 (CV-9); 1951년 8월 18일 ~ 1952년 3월 7일
- 제3항공모함전대
- 제5순양함전대
- USS 에식스 (CV-9); 1952년 7월 27일 ~ 종전
- 제1순양함전대
- 제3순양함전대
- 제5순양함전대
- USS 에식스 (CV-9); 1951년 6월 26일 ~ 1952년 3월 25일; 1952년 6월 16일 ~ 1953년 2월 6일
- USS 복서 (CV-21); 1950년 8월 2일 ~ 1950년 11월 11일; 1951년 3월 2일 ~ 1951년 10월 24일; 1952년 2월 8일 ~ 1952년 9월 26일; 1953년 3월 30일 ~ 종전
- USS 본험 리처드 (CV-31); 1951년 5월 10일 ~ 1951년 12월 17일; 1952년 5월 20일 ~ 1953년 1월 8일
- USS 레이테 (CV-32); 1950년 9월 6일 ~ 1951년 2월 3일
- USS 케아르사지 (CV-33); 1952년 8월 11일 ~ 1953년 3월 17일
- USS 오리스캐니 (CV-34); 1952년 9월 15일 ~ 1953년 5월 18일
- USS 앤티탐 (CV-36)); 1951년 9월 8일 ~ 1952년 5월 2일
- USS 프린스턴 (CV-37); 1950년 11월 9일 ~ 1951년 5월 29일; 1951년 5월 31일 ~ 8월 29일; 1952년 3월 21일 ~ 11월 3일; 1953년 1월 24일 ~ 종전
- USS 레이크 챔플레인 (CV-39); 1953년 4월 26일 ~ 종전
- USS 벨리 포지 (CV-45); 1950년 6월 25일 ~ 12월 1일; 1950년 12월 6일 ~ 1951년 4월 7일; 1951년 10월 15일 ~ 1952년 7월 3일; 1952년 11월 20일 ~ 1953년 6월 2일
- USS 필리핀 씨 (CV-47) 1950년 7월 5일 ~ 1951년 3월 26일; 1951년 3월 28일 ~ 6월 9일 ; 1951년 12월 31일 ~ 1952년 8월 8일; 1952년 12월 5일 ~ 종전
- USS 바탄 (CVL-29) 1950년 11월 16일 ~ 1951년 6월 25일; 1952년 1월 27일 ~ 1952년 8월 26일; 1952년 10월 28일 ~ 1953년 5월 26일
- TG-77.3 포르모사 순찰대; 1950년 7월 20일 ~ 9월 11일
- TG-77.7 보충단
- 제1항공모함전대
- TF-79 제3근무전대; 1950년 7월 21일
- TF-70
해병대
[편집]- 제1임시해병여단; 1950년 7월 7일 ~ 9월 13일
- 제1해병사단; 1950년 8월 ~ 휴전까지
- 제1해병항공기비행단 (제5공군 협력)(극동공군 OPCON)
- 제12해병항공기비행전대
- VMFA-212
- VMFA-115
- VMFA-121
- VMFA-323
- VMA-311
- 제33해병항공훈련지원단
- 제12해병항공기비행전대
공군
[편집]영국 연방
[편집]- 제27보병여단; 1950년 8월 29일 ~ 1951년 4월 27일, 제28보병여단과 교대.
- 제1사단; 1951년 7월 ~ 1954년
- 캐나다 제25여단; 1951년 5월 ~ 1955년
- 영국 제28보병여단; 1951년 4월 ~ 1954년
- 영국 제29보병여단; 1950년 11월 ~ 1951년 7월
- 오스트레일리아 대대
- 뉴질랜드 포대
- RAAF 제77비행전대
- 영국 극동함대; 1950년 6월 28일 ~ 1953년
유엔군 사령부
[편집]1950년 7월 10일에 유엔사령부 총본부 (GHQ UNC)가 창설되자, 이전까지 미국군의 작전 통제에 있던 모든 부대는 유엔사령부에 예속되었다.
- 전투
- 의료 지원
- 스웨덴 스웨덴 적십자 야전병원
- 인도 제60공수야전병원
- 덴마크 덴마크 적십자 병원선 'MS 유틀란디아 호'
- 노르웨이 노르웨이 육군 이동외과병원 (NORMASH)
- 이탈리아 이탈리아 제68적십자병원
공산 진영
[편집]조선인민군
[편집]- 전선사령부
- 군단
- 사단
- 연대
북한 제1~7사단까지는 정규부대로서 남한 침공에 참전하였고, 제10, 13, 15사단은 경비 예비대로 쓰였다.
- 제13군집단 - General Deng Hua
- 제9군집단 - General Song Shi-Lun
- 제3군집단 - General Chen Geng
- 제19(XIX)군집단 - General Yang Dezhi
그외
[편집]- 소비에트 연방
- 제64전투기항공군단 (비공식)
- 비전투 의료 지원
- 불가리아 적십자[2]
- 체코슬로바키아 야전병원 (1952년)[3]
같이 보기
[편집]참고 문헌
[편집]- 6.25 전쟁과 유엔군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5 (E-BOOK) Archived 2023년 7월 9일 - 웨이백 머신
- 6.25 전쟁과 유엔군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5 (PDF) Archived 2023년 7월 9일 - 웨이백 머신
- 통계로 본 6.25 전쟁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4 (E-BOOK) Archived 2023년 7월 9일 - 웨이백 머신
- 통계로 본 6.25 전쟁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4 (PDF) Archived 2021년 1월 11일 - 웨이백 머신
- 유엔군 지원사 - 국방부 군사연구소, 1998 (E-BOOK) Archived 2023년 7월 9일 - 웨이백 머신
- 유엔군 지원사 - 국방부 군사연구소, 1998 (PDF) Archived 2023년 7월 9일 - 웨이백 머신
- 한국전쟁 요약 -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1986 (PDF) Archived 2023년 7월 9일 - 웨이백 머신
- 한국전쟁사 제10권 - 유엔군 참전편 (오스트레일리아, 벨기에, 룩셈부르크, 캐나다, 콜롬비아, 에티오피아, 프랑스, 그리스, 네덜란드) -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1979, (E-BOOK) Archived 2023년 6월 24일 - 웨이백 머신
- 한국전쟁사 제10권 - 유엔군 참전편 (오스트레일리아, 벨기에, 룩셈부르크, 캐나다, 콜롬비아, 에티오피아, 프랑스, 그리스, 네덜란드) -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1979, (PDF) Archived 2023년 6월 5일 - 웨이백 머신
- 한국전쟁사 제11권 - 유엔군 참전편 (뉴질랜드, 필리핀, 남아프리카 공화국, 태국, 튀르키예, 영국, 미국, 덴마크, 인도, 이탈리아, 노르웨이, 스웨덴) -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1980 (E-BOOK) Archived 2023년 7월 7일 - 웨이백 머신
- 한국전쟁사 제11권 - 유엔군 참전편 (뉴질랜드, 필리핀, 남아프리카 공화국, 태국, 튀르키예, 영국, 미국, 덴마크, 인도, 이탈리아, 노르웨이, 스웨덴) -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1980 (PDF) Archived 2023년 7월 9일 - 웨이백 머신
- The History of the UN Forces in the Korean War-1 (Ethiopia, Philippines, South Africa, Thailand, Turkey) - ROK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1972 (E-BOOK) Archived 2023년 7월 9일 - 웨이백 머신
- The History of the UN Forces in the Korean War-1 (Ethiopia, Philippines, South Africa, Thailand, Turkey) - ROK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1972 (PDF) Archived 2023년 6월 28일 - 웨이백 머신
- The History of the UN Forces in the Korean War-2 (Australia, Canada, India, New Zealand, United Kingdom) - ROK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1981 (E-BOOK) Archived 2023년 7월 9일 - 웨이백 머신
- The History of the UN Forces in the Korean War-2 (Australia, Canada, India, New Zealand, United Kingdom) - ROK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1981 (PDF) Archived 2023년 6월 5일 - 웨이백 머신
- The History of the UN Forces in the Korean War-3 (Belgium, Colombia, France, Greece, Luxembourg, Netherlands, Denmark, Italy, Norway, Sweden) - ROK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1974 (E-BOOK) Archived 2023년 7월 9일 - 웨이백 머신
- The History of the UN Forces in the Korean War-3 (Belgium, Colombia, France, Greece, Luxembourg, Netherlands, Denmark, Italy, Norway, Sweden) - ROK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1974 (PDF) Archived 2023년 6월 5일 - 웨이백 머신
- The History of the UN Forces in the Korean War-4 (United States) - ROK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1975 (E-BOOK) Archived 2023년 7월 9일 - 웨이백 머신
- The History of the UN Forces in the Korean War-4 (United States) - ROK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1975 (PDF) Archived 2023년 6월 5일 - 웨이백 머신
- The History of the UN Forces in the Korean War-5 (United States) - ROK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1976 (E-BOOK) Archived 2023년 7월 9일 - 웨이백 머신
- The History of the UN Forces in the Korean War-5 (United States) - ROK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1976 (PDF) Archived 2023년 6월 5일 - 웨이백 머신
- The History of the UN Forces in the Korean War-6 (Summary) - ROK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1977 (E-BOOK) Archived 2023년 7월 9일 - 웨이백 머신
- The History of the UN Forces in the Korean War-6 (Summary) - ROK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1977 (PDF) Archived 2023년 6월 28일 - 웨이백 머신
각주
[편집]- ↑ Terrence J. Gough (1987). “U.S. Army mobilization and logistics in the Korean War” (PDF) (영어). 워싱턴 D.C.: 미국 육군 역사관: 69. 2016년 1월 8일에 확인함.
- ↑ Jordan Baev. “Bulgaria’s Experience in Peace Support Operations” (PDF) (영어). Österreichs Bundesheer. 2014년 5월 19일에 확인함.
- ↑ Veronika Valdova. “Czechoslovakia in Korean War” (영어). kilroy was here. 2014년 5월 19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
[편집]- “Army National Guard Units in Korea” (영어). National Guard Educational Foundation. 2017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3월 6일에 확인함.
- Gordon L. Ed; Rottman Evanhoe (2002년 12월). 《Korean War Order of Battle: United States, United Nations, and Communist Ground, Naval, and Air Forces, 1950-1953》 (영어). Greenwood Publishing Group, Incorporated. ISBN 978-0-275-97835-8.
- Billy C. Mossman (1990). 《United States Army in the Korean War EBB and flow November 1950-July 1951》 (영어). 워싱턴 D.C.: 미국 육군 역사관. 2021년 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