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7 법난
10·27 법난(十二七法難)은 1980년 대한민국에서 일어난 독재정권의 대규모 불교 탄압 사건이다.
사건 개요
[편집]제5공화국 출범을 앞두고 정권을 장악해 나가던 신군부 세력이 전남 광주에서 폭도진압이라는 구실로 수많은 시민을 학살하였다. 그리고 여론을 호도할 목적으로 그 해 10월 27일에 수배자 및 불순분자를 검거한다는 명목으로 군인을 동원하여 전국의 사찰 및 암자등 5731곳을 일제히 수색하고, 조계종의 스님 및 불교 관련자 153명을 강제 연행하였고 10월 30일 1776명을 검거하였으며 심대한 각종 폭행 및 고문 등이 가해졌다.
수사 주체는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국보위)의 수사지시를 받은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본부 산하 합동수사단이었다.[1] 합동수사단은 불교계 정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을 수립한 뒤, 1980년 10월 27일에 조계종 승려 등 불교계 인사 153명을 강제로 연행하고, 전국의 사찰과 암자 5,731곳을 대한민국 국군과 경찰 병력 3만 2천여 명을 투입해 수색했으며[2] 10월 30일 1776명을 검거했다.[3] 당시 무차별 폭력과 고문이 자행되었으며,[4] 일부는 삼청교육대로 끌려가기도 했다.[5]
신군부가 이 사건을 일으킨 동기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당시 불교계는 내분 사태가 이미 일단락되는 중이었기 때문에, 조계종 총무원장 태공 월주스님이 전두환 지지 성명에 반대하고 5∙18 광주 민주화 운동 현장을 방문하여 성금을 전달하는 등 신군부에 밉보인 것이 원인이라는 해석이 있다.[6] 일각에서는 신군부가 정치자금 마련을 위해 일으킨 사건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평가
[편집]사건 당시 계엄사령부는 “불교계가 사이비 승려와 폭력배들이 난동·발호하는 비리 지대로서 자력으로는 갱생의 힘이 없는 것으로 판단”했다면서, “사회 정화 차원에서 철퇴를 가한다”라고 발표했다.[7] 그러나 불교계는 이 사건이 “한국 불교계사의 치욕”이자 “1980년 신군부의 정치적 시나리오에 불교계가 무참히 짓밟힌 사건”이었다고 주장했다.[8] 불교인권위원회와 조국평화통일불교협의회는 2005년에 공동으로 ‘10·27 불교법난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진상규명을 요구했다.
노무현 정부의 대한민국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는 2007년에 이 사건에 대한 진상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국가권력 남용사건’으로 규정했다.[9]
특별법
[편집]2008년 3월‘10·27법난에대한피해자의명예회복등에관한법률’이 공포됐다. “10·27법난과 관련하여 피해를 입은 자와 불교계의 명예를 회복시켜줌으로써 인권신장과 국민화합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 법률이다. 그러나 사료관 건립 등이 배제되어 국방부가 피해 당사자인 불교계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았다는 의견이 나왔고, 이명박 정부의 불교 홀대 논란과 맞물려 불교계의 반발을 샀다.[10] 조계종의 ‘10·27법난에 대한 특별법 제정추진위원회'는 특별법 시행령에 대해 항의하고 온전한 시행령을 제정할 것을 요구했다.[11]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신군부 '10.27 법난' 새로 밝혀진 사실들
- ↑ 최일 (2008년 7월 21일). “"10·27 법난 피해자 명예회복" - 국방부 법률시행 입법예고 … 명예회복위 연내 발족”. 충청투데이. 2008년 9월 8일에 확인함.
- ↑ http://www.1027beopnan.go.kr/bbs/board.php?bo_table=04_2
- ↑ 엄주엽 (2005년 8월 24일). “‘10·27 법난’ 삼보 스님 진상규명 요구 자해소동”. 문화일보. 2008년 9월 8일에 확인함.
- ↑ 조연현 (2005년 8월 23일). “삼보 스님 “10·27 법난 규명하라” 자해”. 한겨레. 2008년 9월 8일에 확인함.
- ↑ 정천기 (2007년 10월 25일). “월주스님 "10ㆍ27법난 때 죄수복입고 조사받아"”. 한국일보 (연합뉴스 인용). 2007년 10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9월 8일에 확인함.
- ↑ 김지영 (2008년 9월 3일). “이리 차이고 저리 밟힌 수난의 ‘불심’ - 역대 정권과 불교의 역학 관계/이승만 정부, 비구–대처 갈등 조장 …잇단 ‘법난’에 저항 세력으로 변신”. 《시사저널》 (제985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조연현 (2005년 7월 5일). “10·27 법난 진상찾기 시작”. 한겨레. 2008년 9월 8일에 확인함.
- ↑ 윤영찬 (2007년 10월 26일). “조계종 “10·27 법난 보상” 특별법 촉구”. 동아일보. 2008년 9월 8일에 확인함.
- ↑ 윤승헌 (2008년 5월 21일). “조계종, “10·27법난 아직도 진행 중이다””. 불교투데이. 2008년 9월 8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윤승헌 (2008년 5월 23일). “10·27법난특별법추진위, 국방부 항의방문”. 불교투데이. 2008년 9월 8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