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후
보이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3년 6월) |
서양식 등작 |
---|
임페라토르 / 아우구스투스 / 카이사르 바실레프스 / 아프토크라토르 / 카이저 / 차르 |
렉스 / 바실레우스 / 코눙그 / 차르 |
그랜드 듀크 / 그랜드 프린스 / 아치듀크 벨리키 크냐지 |
듀크 / 프린스 / 헤어초크 / 크냐지 터워소그 / 데스포티스 / 쿠르퓌르스트 |
마르키 / 퓌르스트 / 마르크그라프 란트그라프 / 팔츠그라프 / 보이보드 |
카운트 / 그라프 / 얼 / 야를 / 에알도르만 |
바이카운트 / 부르크그라프 / 카스텔란 |
바론 / 프라이헤어 / 리코스 옴브레스 / 보야르 |
바로넷 / 헤레디터리 나이트 |
에퀴테스 / 나이트 / 데임 / 슈발리에 / 리터 에델프레이 / 야를 / 드루지나 / 테인 |
|
황후(皇后)는 황제의 정실 부인으로, 궁정에서 태황태후와 황태후 다음으로 높은 자리를 차지한다. 또는 황후를 정궁(正宮)이라 부르기도 한다.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의 제국들에는 수많은 황후가 존재하였다. 일본의 군주는 천황(황제)이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황후가 존재한다.
황후와 황비
[편집]황후는 황제의 후(后)로서, 후(后)는 군주의 부인을 가리키는 말이다. 간단히 정실(正室)이라고도 한다. 그런데 동양에서는 황제국만이 군주의 정실 부인을 후(后)라고 부를 수 있었다. 예외가 있다면, 황제의 어머니인 태후(太后)였고, 유명한 인물로는 서태후가 있다.
한편 후(后)보다 한단계 낮은 등급이 비(妃)이다. 황비(妃)는 황제의 정실이 아닌 경우이며, 소실(小室) 또는 부실(副室)로도 불린다.
황후가 여럿이면, 다수의 황후 중 첫번째 황후를 정실황후, 정궁황후 또는 제1 황후라 부르며, 그 외 황후를 제2 황후, 제3 황후 등과 같이 순번으로 나타내기도 하며, 원나라에서 쓰이던 일부다처제 방식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황후는 한 사람만 두었다. 여러 이유로 황후가 일찍 죽거나 자격을 상실하면 새로이 황후를 세우기도 하는데, 이 때의 황후도 정실이기는 하지만, ‘정실’이라 부르기보다 후실(後室) 또는 계실(繼室)로 부른다.
유명한 황후
[편집]한국
[편집]- 신의고황후 - 조선 태조의 정후. 죽은 뒤 왕후, 황후로 추존되었다.
- 신덕고황후 - 조선 태조의 계후. 생전에는 조선 최초의 왕비, 왕후였고, 죽은 뒤 황후로 추존됐다.
- 명성태황후 - 고종의 황후. 생전에는 왕비, 왕후였고, 고종이 황제로 등극하면서 황후로 정식 책봉하고, 대례의궤에 따르면 황후로 추존 또는 추증 또는 추승을 절대로 하지 않았다.
- 순명효황후 - 순종의 정후. 생전에는 황태자비였고, 죽은 뒤 황후로 추증되었다.
- 순정효황후 - 순종의 계후. 생전에 황후였던 유일한 인물이자,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