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호랑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호랑이
시베리아호랑이
시베리아호랑이

🔊 호랑이의 소리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동물강
목: 식육목
과: 고양이과
아과: 표범아과
속: 표범속
종: 호랑이
학명
Panthera tigris
Linnaeus, 1758
호랑이의 분포

호랑이의 분포 지역
보전상태

위기(EN): 절멸가능성 매우 높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CITES Ⅰ: 거래 근절 필요
평가기관: CITES[1][2]

시베리아 호랑이의 모습.
물속에 있는 호랑이의 모습.

호랑이(虎狼이) 또는 , 칡범, 갈범(이는 표범과 구별하여 일컫는 말이다.)은 식육목 고양이과에 속하는 맹수다. 대한민국의 대표 동물이다. 한국어에서 어린 개체는 개호주라 부른다.[3]

고양이과 동물 중 그 크기가 가장 크다. 호랑이의 크기는 아종에 따라 다양한데, 발리호랑이는 100kg 미만이며, 시베리아호랑이는 수컷의 경우 최대 360kg에 이르기도 한다. 대개 황갈색 바탕에 검은색 줄무늬가 있다. 드물게 흰색을 띤 흰 호랑이인 백호가 있는데, 이는 백색증과 무관한 열성유전자가 발현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스라소니고기잡이삵, 재규어를 제외하면 유일하게 수영을 할 수 있다.(단, 재규어 같은 경우에는 단지 사냥을 목적으로 수영을 할 뿐 호랑이처럼 주기적으로 물에 들어가지는 않는다.)

를 비롯한 신체의 대부분의 부위가 한약으로 쓰이고 있으며, 그로 인해 심각한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다. 12간지 동물 중 하나이다. 호랑이는 뛰어난 시력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어두운 환경에서도 잘 볼 수 있다.

공격성

[편집]

기본적으로 덩치가 크고 공격성이 강한 데다가 성질도 대단히 사납고 기습으로 은밀히 공격하기 때문에 굉장히 위험한 육식동물이다. 그래서 다양한 초식동물을 공격한다. 호랑이는 주로 야간에 기습으로 초식동물을 공격한다.

늑대, 하이에나 같은 육식동물은 등의 초식동물을 공격하는 데에 반해 호랑이는 멧돼지, 사슴류, 개과 동물까지 공격한다. 인도 일부 지역에서는 아예 호랑이가 초식동물을 주기적으로 공격한 적도 있다.

[편집]

몸길이 2.2~4.2m, 꼬리길이 80~110cm, 어깨높이 90~130cm, 몸무게 90~360kg이다. 사육한 아무르호랑이 가운데 체중이 무려 454kg나 나가는 개체도 있었다고 한다. (아무르호랑이수컷) 암컷은 수컷보다 훨씬 더 작다. 몸의 바탕색은 담황갈색에서 적황갈색이며, 검은색 또는 어두운 갈색의 옆줄무늬가 있다. 배는 흰색이다. 이는 야생에서 먹잇감을 은밀하게 사냥하기 위한 위장색 역할을 한다.[4]

3월, 9월등 1년에 두번 털갈이를 한다. 사자에 비해 어깨가 높고 몸통이 길고 코와 입끝의 너비가 좁고, 귀가 좁다. 등면은 검으며, 중앙에 크고 흰 반점이 있다. 갈기가 없는 대신에 성장하면서 옆쪽에 긴 털이 나기 시작하는데, 성장한 수컷은 특히 길다. 수컷은 갈기나 하복부의 긴 털이 거의 없고 2차 성장이 불확실하다.

앞다리는 아주 단단한 근육질이며, 먹이를 잡아 끌어당길 정도로 힘이 세다. 앞발로는 최대 227kg의 공격을 가할 수 있다.[4]

한편, 유전적인 결함으로 몸 빛깔을 띠는 색소가 없어 흰빛을 띠는 호랑이를 백호라 하는데, 동양에서는 예로부터 상상의 동물로 여겨 왔다.

생활

[편집]

삼림·갈대밭·바위가 많은 곳에 살며 물가의 우거진 숲을 좋아한다. 일반적으로 호랑이는 단독으로 생활하며, 먹이가 풍부한 지방에서는 약 50km2, 먹이가 부족한 지방에서는 3,000km2의 세력 범위를 가진다.

호랑이는 오줌과 항문 근처에 있는 샘에서 나오는 액체로 자신이 다니는 길을 표시한다. 냄새는 다른 호랑이에게 이 지역에 이미 주인이 있음을 알린다. 수컷의 넓은 텃세권은 두 마리 이상의 암컷의 작은 텃세권을 포함하는데, 암수는 각각 홀로 배회하지만 서로를 알고 있다. 3km 이상 되는 거리에서 들을 수 있는 포효 소리 등 여러 가지 소리로 서로 의사소통을 한다.

인도에서는 호랑이가 자신의 영역을 강하게 지키기 때문에 같은 형제자매도 경쟁을 통하여 쫓아내고, 심지어 여왕격인 엄마 호랑이도 딸이 몰아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사냥과 식성

[편집]

먹이는 주로 멧돼지, 사슴, 산양, 영양, 고라니, 토끼, 멧돼지이고, 들꿩, 비둘기, 메추라기, 꽃사슴, 어린 노루, 들쥐두더지, 숭어, 연어, 송어, 다람쥐 등도 먹으며, 때로는 대륙사슴 등을 사냥해 잡아먹기도 한다.

육식성이라고 알려진 호랑이는 두리안[5]이라는 과일을 먹기도 한다. 먹이가 부족하면 가축인 소나 돼지를 습격하기도 하고 이나 오리와 같은 가금류를 습격하기도 한다.

대형 고양잇과의 특징으로, 잠복하고 기다리거나 소리 없이 다가가서 사냥을 하는데, 작은 동물은 목덜미를 물어 죽이고 큰 동물은 송곳니로 기도에 구멍을 내어 질식시켜 죽인다. 주로 밤에 사냥을 하는데, 눈과 귀와 후각으로 사냥한다. 호랑이의 이빨은 먹이를 물고 살 덩어리를 뜯어내기에 적합하다. 호랑이는 짧은 거리는 아주 빨리 뛸 수가 있다. 그러나 쉽게 피로해지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먹이를 잡지 못하면 사냥을 포기해 버린다.

죽인 먹이를 물가로 끌고 가는데 다 큰 말이나 230kg짜리 새끼 물소를 0.5km나 끌고 갈 수 있다. 뼈와 내장만 남기고 다 먹을 때까지 먹이 옆에서 머문다. 호랑이는 고양잇과 동물 중, 뼈까지 부술 정도로 턱의 힘이 강한 맹수이다. 하룻밤에 23kg의 고기를 먹을 수 있고, 다 먹은 다음에는 많은 양의 물을 마시고 잠을 잔다. 헤엄을 잘 쳐 먹이를 찾아서 강을 건너기도 하고 이 섬에서 저 섬으로 이동하기도 한다. 보통 시속 48km 정도로 달리지만 최고 속력은 시속 80km에 이른다. 더운 날에는 몸을 식히러 물 속으로 들어간다. 나무도 탈 수 있지만, 즐겨 하지는 않는다. 호랑이의 먹이는 사슴 등의 큰 초식동물로써 생태계의 최상위에 있다. 인도에서는 호랑이로 인한 인명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생식

[편집]

교미기는 다양하나 11-3월이 많고, 수컷끼리 암컷을 둘러싸고 격렬히 싸우며, 때로는 죽음에 이르기까지 한다. 임신기간은 105-113일이고, 한배에 2-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눈을 감고 있으며 무늬가 있고, 몸길이는 30cm, 몸무게는 약 1.5kg이다. 새끼는 성장이 빨라 2주 후에는 눈을 뜨고 4-5주 때 걷기 시작하며 8주가 되면 젖을 뗀다. 7개월 째에는 스스로 먹이를 잡을 수 있게 되는데, 2세까지는 어미와 지내며, 그동안에 사냥훈련을 받고, 젖을 떼면 자신이 사냥한 먹이를 새끼에게 처음으로 먹이를 맛보게 한다.

새끼는 주로 암컷이 돌본다. 그러나 아무리 같은 호랑이라도 자기 새끼가 아니면 물어 죽이는 것이 맹수들의 본능이다. 어린 새끼가 죽는 비율이 높아, 반 이상이 3-4세가 되기 전에 죽는다. 암컷은 3.5-4년이 되면 새끼를 낳을 수 있게 된다. 수호랑이와 암사자 사이에 태어난 새끼를 타이곤이라고 한다. 호랑이는 대개 9종으로 분류한다. 이들 중에서 발리호랑이, 카스피호랑이, 자와호랑이는 현재 멸종했으나 동물원에서나 볼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종도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한반도의 호랑이 생존

[편집]
호랑이와 까치를 함께 그린 조선의 호작도

한반도에서는 민화 속에도 종종 등장하고 심지어 「조선왕조실록」에도 여러 번 등장할 정도였으나, 남획으로 인해 멸종된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멸종하지 않고 소수가 남아 있다고도 한다. 조선이 개국된 이래로, 냇가에 천방을 설치하여 논으로 만들었다. 그 결과 야생동물이 많이 서식하던 무너미의 넓은 숲, 초지나 습지는 야생동물의 서식지에서 급속히 농경지로 바뀌었다. 그 결과 호랑이는 먹이와 서식지가 산록지대로 줄어들게 되었고, 일부 호랑이는 사람을 해치게 되었다.

17세기에는 늘어난 인구가 산간지대에서 화전을 개발하여 새로운 삶의 터전을 구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하삼도를 중심으로 한반도 대부분의 지역에서 호랑이의 안정적인 서식지가 거의 사라지게 되었다. 17세기 후반 화전개발의 심화, 야생으로 전파된 우역으로 멧돼지와 사슴 등이 거의 절멸에 이르게 되면서 호랑이와 표범의 개체수는 더욱 줄게 되었고, 이러한 과정에서 일부 극단적인 대규모 호환(虎患)이 빈발하기도 했다.

조선은 국초부터 농지개간의 과정에서 호환(虎患)이 빈발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이에 대응하여 착호갑사를 설치하는 등 국가가 주도적으로 호환(虎患)을 없애기 위해 노력하였다. <경국대전>에는 포호조가 신설되어 호랑이와 표범을 잡은 사람에게 군공에 버금가는 큰 상을 주어 호랑이와 표범의 사냥을 장려하였다. 또한 호피공납제를 통해 각 지방에서 포획한 호랑이와 표범의 가죽을 거두어들였다. 백성을 위한다[위민제해]는 명분으로 시행된 포호정책으로 인해 17세기에 이르면 국가에서 정한 호피와 표피를 거둘 수 없게 되어, 17세기 중엽 대동법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실제 가죽 대신에 그 값을 내는 호속목제를 법제화하였지만, 실제 호랑이와 표범을 잡을 수 없는 데 그 값을 거두는 것은 명분과 실제가 어긋나는 것이라는 이유로 1724년에 호속목제를 혁파하였다. 이는 18세기 초에 한반도 대부분의 지역에서 호랑이와 표범의 사냥이 대단히 어렵다는 현실을 국가에서 공인한 조처였다.

이처럼 호랑이의 수가 줄면서, 일시적으로 몽골 등에서 유입된 늑대가 한반도에서 최고 포식동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후 늑대의 수가 줄어들면서 검독수리가 실질적으로 한반도 최상위 포식동물이 되었다.

하위 분류

[편집]

호랑이는 9개의 아종으로 나뉘며, 그 중 세 아종은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멸종했다.

벵골호랑이

[편집]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또는 인도호랑이, 벵갈호랑이 Panthera tigris tigris, Bengal tiger)는 호랑이의 아종으로, 네팔·인도·방글라데시의 순다르반스 등에 분포한다. 갈색에 검은 줄무늬 털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돌연변이백호는 흰색에 갈색 줄무늬가 있다. 벵골호랑이 수컷을 기준으로 전체 길이 2.4~3.6m 정도이며 체중은 140~320kg이며, 현재 수컷 벵골호랑이의 평균 체중은 230kg. 털은 짧고 등자색을 띤다.

호랑이 아종 중 시베리아호랑이 다음으로 크기가 크며, 개체수가 가장 많은 종이며, 그 수는 70% 이상을 차지한다. (단, 현재는 시베리아호랑이 야생 개체의 경우 남획으로 수가 줄면서 소형화되었기 때문에 야생 개체 중 가장 크기가 큰 아종은 벵골호랑이가 되었다.) 옛날에는 인도 전역을 비롯하여 네팔, 방글라데시, 태국까지 분포하였으나 현재는 밀렵으로 인해 인도의 밀림, 또는 칸하국립공원, 순다르반스국립공원 등 10개 이하의 보호구역, 방글라데시, 네팔에만 서식하고 있다.

벵골호랑이는 아프리카사자보다 체구가 더 크고 평균 무게 또한 230kg으로 조금 더 무겁다. 임신기간은 105일이며 12~2월이 발정기이다. 새끼는 1~5마리를 낳고 1년 6개월이 지나면 성호(成虎)가 되어 독립한다. 수컷은 산속이나 하천을 돌아다니거나, 16시간으로 낮잠을 자면서 시간을 보낸다. 그러나, 암컷은 새끼들을 돌보는일을 한다. 평생 단독생활을 하지만 어미와 새끼, 발정기 때의 암수는 서로 2마리 이상 무리를 짓기도 하며 번식기가 끝나면 평소와 같이 혼자서 생활한다.

인도호랑이는 액시스사슴, 바라싱가사슴, 삼바사슴, 원숭이, 멧돼지, 영양 등의 먹이를 주로 먹는다. 그러나 순다르반스 지역의 호랑이는 사람을 자주 잡아먹는다. 순다르반스에서 잡힌 한 호랑이의 배를 갈라보니 멧돼지나 영양, 사슴 등의 유제류의 부산물이 13%인 데 반해 사람의 부산물은 무려 87% 이상이었다고 한다. 뱅골호랑이는 백호를 가장 자주 낳는 호랑이이다.

시베리아호랑이

[편집]

시베리아호랑이(Panthera tigris altaica)는 호랑이의 아종이다. 한국호랑이, 백두산호랑이, 아무르호랑이, 조선범(문화어), 만주호랑이, 우수리호랑이, 동북호랑이 등으로도 불린다. 영어로 시베리아호랑이라고 불리지만, 정작 이 호랑이들은 시베리아에 살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표현은 아니다.[6] 대한민국에서는 '백두산호랑이', '한국호랑이'라는 이름이 많이 쓰이고 있다.

말레이호랑이

[편집]

말레이호랑이(Panthera tigris jacksoni)는 호랑이의 아종으로, 몸집이 작은 편이며 2004년에는 아종으로 여겨지지 않았다. 말레이호랑이는 높은 산의 깊은 숲속에 산다. 말레이호랑이는 사람같이 5개의 발가락이 있으며, 발톱은 아주 날카롭다. 24개월이면 어미를 떠나 독립된 영역을 가진다. 호랑이 아종 중 2번째로 숫자가 많지만, 멸종위기에 놓여있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말레이시아 국장에 들어가 있으며, 이 나라의 상징이다. 남부 말레이 반도인도차이나에만 서식하는 호랑이의 아종이다.

인도차이나호랑이

[편집]

인도차이나호랑이(Panthera tigris corbetti)는 과거에 말레이호랑이와 같은 아종이었으나, 2004년에는 다른 아종으로 분류된 호랑이의 아종이다. 수컷의 몸무게는 100~190kg, 암컷은 100~130kg이다. 분포는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태국, 미얀마, 혹은중국에 걸쳐 분포한다. 주로 중국대륙 남부로 알려져 있으며, 먹이는 사슴이나 들소, 물소등 우제류이다. 보통 1~3마리의 새끼를 낳지만, 한번에 6마리까지 낳는다. 이들에 대한 정보는 최근에 알려져 있어 정확한 것은 아직 없다고 한다.

수마트라호랑이

[편집]

수마트라호랑이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에만 서식하는 호랑이의 아종이다. 전체길이 2.4m정도, 몸무게 75kg∼140kg이며 몸은 노란색을 띤 적자색, 무늬는 검은색다. 현재 약 650마리가 살고 있다. 400-500마리가 보호된 지역 및 국립공원에 서식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 섬은 아시아 본토로부터 오랜 기간 고립되어 있었기 때문에 대륙의 다른 호랑이와 유전형질 차이가 많이 난다. 외형적인 특징으로는 작은 체구와 뺨에 수북한 갈기가 있으며 발가락에는 물갈퀴가 있어 헤엄을 칠 때 유용하다. 현존하는 호랑이중 가장 작은 편에 속하며, 이는 숲의 생활에 적응한 이들에게 적합한 것으로 여겨진다. 멧돼지, 사슴, 산양, 물고기, 원숭이 등을 주로 잡아먹는다. 서식지 파괴로 인간과의 충돌 때문에 수가 많이 줄었다.

남중국호랑이

[편집]

남중국호랑이 또는 아모이호랑이(중국어 정체자: 華南虎, 간체자: 华南虎)는 중국 양쯔 강 이남에 분포하는 호랑이의 아종이다. 전체길이 2.6m 정도이고 붉은색이 강하며, 넓은 무늬가 있다. 국제 자연 보호 연맹에서 위급종으로 분류되었으나, 자생절멸일 가능성도 높다[7].

주로 멧돼지나 사슴, 원숭이나 너구리등 중형 포유동물이나 새들을 잡아먹고 살며 강의 습지대나 대나무숲에 서식한다고 한다. 원래 1960년대만 해도 중국 대부분(중원지역)에 많은 수가 서식하였으나 중국정부가 해로운 동물로 여겨 수천마리를 사살하여 매우 심각하게 멸종위협을 받고 있다. 지금은 개체수가 정확하지 않다. 한때 남중국호랑이가 찍혔다는 사진도 있었으나 해프닝으로 끝났다. 현재 야생에서는 전멸된 상태이며 동물원에서도 적은 수가 남아 있어 생존이 불확실하다.

발리호랑이 (멸종)

[편집]

발리호랑이인도네시아 발리 섬에 살았던 호랑이의 아종이다. 수마트라호랑이보다 훨씬 작았으며, 전체 길이는 2m 정도이다. 무차별적으로 사냥되어 1937년 이후 생존이 확인되지 않고 멸종되었다. 주로 사슴이나 멧돼지 등 작은 발굽동물을 잡아먹었다.

자와호랑이 (멸종)

[편집]

자와호랑이인도네시아 자와 섬에 살았던 호랑이의 아종이다. 자와섬에 분포한다. 전체길이 2.3m 정도이며 털 색깔은 수마트라호랑이와 비슷한데, 뺨과 귀의 안쪽 털이 두드러지게 길다. 1980년대 사냥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멸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50년대에 25마리 미만이 야생에서 서식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었다. 1972년 마지막으로 관찰되었으며, 1979년 3마리가 생존해있다는 흔적을 찾았다. 자와 섬 서부에 소수가 생존해 있을 가능성은 있으나, 1990년대 이후 발견되지 않고 있다.

카스피호랑이 (멸종)

[편집]

카스피호랑이 또는 페르시아호랑이카스피 해 남안에서 중국 서부에 분포한다. 전체길이 2.7m 정도이고, 몸은 주황색을 띠어 아름답다. 배에는 긴 갈기가 나 있고, 무늬는 암갈색으로 가늘며 수가 많다. 고대 로마시대 검투장에서 사육되기도 했다. 현재 멸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흰호랑이

[편집]
흰호랑이 한 쌍의 모습.

흰호랑이 또는 백호(白虎)는 보통 황갈색을 띤 일반적인 호랑이와는 달리, 흰색에 검은 줄무늬가 있는 호랑이를 말한다. 현재 동물원에 있는 흰호랑이는 모두 인도호랑이의 일종이다. 시베리아호랑이 등의 다른 아종에서는 1999년 대한민국서울대공원에서 베라라고 하는 백호가 태어났다. 시베리아호랑이중에서 처음으로 태어난 것이다.

베라는 2003년까지 서울대공원에서 살다가 남북동물교류사업의 일환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평양 중앙동물원으로 기증되었다. 서울대공원의 시베리아백호는 1마리 더 있었으나, 2013년에 죽었다. 백호는 열성유전자이기 때문에 자연 상태에서는 줄어들 수밖에 없다. 수명은 동물원에서 잘 보호하면 20여 년, 야생 상태에서 10~15년인 황색호랑이와 비슷하다.[8]

계통 분류

[편집]

다음은 고양이과의 계통 분류이다.[9]

고양이과

마카이로두스아과

표범아과
구름표범속

보르네오구름표범

구름표범

표범속

눈표범

호랑이

재규어

표범

사자

고양이아과
마블고양이속

마블고양이

황금고양이속

보르네오황금고양이

아시아황금고양이

서벌속

서벌

카라칼속

카라칼

아프리카황금고양이

호랑고양이속

오셀롯

마게이

콜로콜로

안데스산고양이

호랑고양이

코드코드

조프루아고양이

스라소니속

붉은스라소니

캐나다스라소니

스라소니

이베리아스라소니

치타속

치타

퓨마속

퓨마

재규어런디속

재규어런디

마눌속

마눌

삵속

붉은점박이삵

납작머리삵

고기잡이삵

고양이속

정글고양이

검은발고양이

모래고양이

들고양이(집고양이 포함)

다음은 2009년 드리스콜(Driscoll) 등의 호랑이 계통 분류이다.[10]

호랑이

남중국호랑이

수마트라호랑이

벵골호랑이

말레이호랑이

인도차이나호랑이

카스피호랑이

시베리아호랑이

분포

[편집]

호랑이는 우수리에서 중국 대륙의 동북 지방으로 남하했고, 그에 따라서 말레이 반도인도로 퍼져나갔으며, 육지와 인접한 수마트라, 자와섬, 발리 섬 등지까지 이르렀다. 서쪽으로도 진출하여 중앙아시아.이란 등 아시아 여러 나라에 분포하게 되었으나, 현재에 이르러서는 거의 멸종하여 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일부에서만 서식하고 있다.

문화

[편집]
한국호랑이와 한국표범을 함께 그린 조선의 그림
호랑이 가족을 그린 그림. 표범 새끼가 호랑이 새끼로 잘못 그려져 있다.

한국 문화 속의 호랑이

[편집]
용인 에버랜드의 호랑이

호랑이는 위험한 맹수로 무서움의 상징이나 인간의 말을 알아듣는 영물, 의리를 아는 친숙한 존재로 받아들여지기도 했다.

일본 문화 속의 호랑이

[편집]

일본에는 호랑이가 살지 않지만, 조선중국을 통해 호랑이의 존재에 대해 알게 되었다.

  • 포켓몬스터에서는 2세대의 미싱노 중에서 전기 호랑이 포켓몬이 있다.

서양 문화와 호랑이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Chundawat, R.S., Habib, B., Karanth, U., Kawanishi, K., Ahmad Khan, J., Lynam, T., Miquelle, D., Nyhus, P., Sunarto, S., Tilson, R., Wang, S. (2011). “Panthera tigri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1.2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 국가생물다양성센터. Panthera tigris (Linnaeus, 1758) 호랑이”. 《국가 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3. “개호주”.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018년 4월 8일에 확인함. 
  4. “게임 오브 빅캣”. 《유튜브》. 내셔널지오그래픽. 2022년 4월 6일. 2022년 7월 10일에 확인함. 호랑이들은 은밀한 암살자로 위장술을 이용해 먹잇감에게 몰래 다가가지만 시속 48km로 달릴 수 있습니다. 녀석들의 발 공격에는 최대 227kg의 힘이 실려있죠. (50초~60초) 
  5. 참조 KBS 스펀지 2006년 10월 21일 방송
  6. “심장이 쿵! 내 머리 위에서 호랑이 네 마리가…”. 한겨레. 2013년 2월 22일. 2013년 4월 7일에 확인함. 
  7. Nyhus, P. (2008). “Panthera tigris ssp. amoyensi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2.2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8. 강경훈 기자 (2010년 1월 1일). “백호랑이는 열성?… 白虎의 과학”. 코메디닷컴. 
  9. Stephen J. O’Brien and Warren E. Johnson (2010). “The Evolution of CATS” (PDF). 《SCIENTIFIC AMERICAN, INC.》. 
  10. Driscoll CA, Yamaguchi N, Bar-Gal GK, Roca AL, Luo S, et al. - Driscoll CA, Yamaguchi N, Bar-Gal GK, Roca AL, Luo S, et al. (2009) Mitochondrial Phylogeography Illuminates the Origin of the Extinct Caspian Tiger and Its Relationship to the Amur Tiger. PLoS ONE 4(1): e4125. doi:10.1371/journal.pone.0004125
  11. 《삼국사기》권50 열전 10 견훤편.
  12. “버스피아 그룹상징”. 2019년 8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1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호랑이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