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레벨룸
테레벨룸 | ||
테레벨룸(ω)의 위치(적색 원). | ||
명칭 | ||
---|---|---|
바이어 명명법 | 궁수자리 오메가(ω Sgr) | |
플램스티드 명명법 | 궁수자리 58(58 Sgr) | |
밝은 별 목록 | HR 7597 |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HD 188376 | |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 SAO 188722 | |
히파르코스 목록 | HIP 98066 | |
다른 이름 | CPD −26°6880, FK5 1629, GC 27583, PPM 270451.[1] |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 ||
별자리 | 궁수자리 | |
적경(α) | 19h 55m 50.36255s[2] | |
적위(δ) | −26° 17′ 57.6933″[2] | |
겉보기등급(m) | 4.70[3] | |
절대등급(M) | 2.64[3] | |
위치천문학 | ||
시선속도 | −16.22±0.43 km/s[2] | |
적경 고유운동 | 203.96 mas/yr[4] | |
적위 고유운동 | 74.40 mas/yr[4] | |
연주시차 | 42.7159 ± 0.5538 mas[2] | |
성질 | ||
광도 | 7.1±0.1[2] | |
나이 | 3.00+0.13 −0.61 (십억 년)[5] | |
분광형 | G5 IV[6] | |
U-B 색지수 | +0.32[7] | |
B-V 색지수 | +0.748±0.015[2] | |
R-I 색지수 | +0.37[7] | |
추가 사항 | ||
질량 | 1.52+0.08 −0.06 M☉[5] | |
반지름 | 2.87+0.37 −0.34 R☉[2] | |
중원소 함량 (Fe/H) | 0.06±0.06[5] | |
표면 중력 (log g) | 3.64±0.05[5] | |
자전 속도 | 5.6 km/s[8] | |
항성 목록 |
테레벨룸(Terebellum) 또는 궁수자리 오메가(ω Sgr)는 궁수자리 방향에 있는 쌍성계로[1] 별자리 동쪽 염소자리와의 경계 근처에 자리잡고 있다.[9][10]
속성
[편집]이 계는 황색으로 빛나며 겉보기등급은 4.70으로 맨눈으로 볼 때 희미하게 보인다.[3] 시차에 의하면 이 계는 지구로부터 76 광년 떨어져 있고[2] 초속 16 킬로미터의 속도로 가까워지고 있다.[2] 오메가는 황도 근처에 있어서 달이 이 계를 가리기도 한다.[11]
오메가 계의 구성원들은 서로를 4.6892년에 1회 공전하고 있으며 궤도 이심률은 0.82이다.[12] 눈에 보이는 구성원은 G형 준거성으로 분광형은 G5 IV이다.[6] 이 별의 나이는 약 30억 년이고[5] 초당 5.6 킬로미터의 속도로 회전하고 있다.[8] 이 별의 광구 유효온도는 5499 켈빈으로 전체 광도는 태양의 7배에 이른다.[5][2]
명명법
[편집]궁수자리 오메가(ω Sgr)는 이 계를 바이어 명명법으로 표시한 이름이다.
오메가는 궁수자리 60, 62, 59와 함께 '테레벨룸' 별자리를 구성한다.[13] 1971년 NASA의 비망록에 따르면 테레벨룸(Terebellum)은 원래 별 네 개를 묶어 부르는 이름으로, 궁수자리 오메가는 테레벨룸 I, 궁수자리 59는 테레벨룸 II, 궁수자리 60은 테레벨룸 III, 궁수자리 62는 테레벨룸 IV이다.[14]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항성들의 고유명칭을 정리하여 공식화할 목적으로 항성목록 워킹그룹(WGSN)을 조직했다.[15] WGSN은 2017년 9월 5일 궁수자리 오메가의 공식명칭으로 테레벨룸(Terebellum)을 부여했으며 이 명칭은 현재 IAU 인증 항성명칭목록에 포함되어 있다.[9]
중화권에서 오메가 계는 두수에서 구국(狗國, '개의 땅')에 포함되어 있다. 구국을 구성하는 별들은 궁수자리 오메가 외에 궁수자리 60, 62, 59가 있다. 이들 중 오메가 하나만을 부르는 이름은 구국1(狗國一)이다.[16]
각주
[편집]- ↑ 가 나 “ome Sg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9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Brown, A. G. A.; (2018년 8월). “Gaia Data Release 2. Summary of the contents and survey properties”. 《Astronomy & Astrophysics》 616 (A1): 22. doi:10.1051/0004-6361/201833051. 2020년 1월 22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Anderson, E.; Francis, Ch. (2012), “XHIP: An extended hipparcos compilation”, 《Astronomy Letters》 38 (5): 331, arXiv:1108.4971, Bibcode:2012AstL...38..331A, doi:10.1134/S1063773712050015.
- ↑ 가 나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 ↑ 가 나 다 라 마 바 Aguilera-Gómez, Claudia; 외. (June 2018), “Lithium abundance patterns of late-F stars: an in-depth analysis of the lithium desert”, 《Astronomy & Astrophysics》 614: 15, arXiv:1803.05922, Bibcode:2018A&A...614A..55A, doi:10.1051/0004-6361/201732209, A55.
- ↑ 가 나 Keenan, Philip C.; McNeil, Raymond C. (1989), “The Perkins catalog of revised MK types for the cooler stars”,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71: 245, Bibcode:1989ApJS...71..245K, doi:10.1086/191373.
- ↑ 가 나 Hoffleit, D.; Warren, Jr., W. H., 《The Bright Star Catalogue》 5 Revis판,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ID V/50. HR 7597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database entry. Accessed on line November 19, 2009.
- ↑ 가 나 Luck, R. Earle (January 2017), “Abundances in the Local Region II: F, G, and K Dwarfs and Subgiants”, 《The Astronomical Journal》 153 (1): 19, arXiv:1611.02897, Bibcode:2017AJ....153...21L, doi:10.3847/1538-3881/153/1/21, 21.
- ↑ 가 나 “Naming Stars”. IAU.org. 2017년 12월 16일에 확인함.
- ↑ 〈Terebella〉. 《옥스퍼드 영어사전》 온라인판.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구독 또는 참여 기관 회원가입 필요)
- ↑ Evans, David S.; 외. (November 1986), “Photoelectric observations of lunar occultations. XVI.”, 《Astronomical Journal》 92: 1210–1215, Bibcode:1986AJ.....92.1210E, doi:10.1086/114254.
- ↑ Fekel, Francis C.; 외. (September 2018), “Spectroscopic Orbits for Late-type Stars. II”, 《The Astronomical Journal》 156 (3): 15, Bibcode:2018AJ....156..117F, doi:10.3847/1538-3881/aad3c1, 117.
- ↑ Allen, R. H. (1963).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Reprint판.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nc. 355쪽. ISBN 0-486-21079-0. 2012년 9월 4일에 확인함.
- ↑ Rhoads, Jack W. (1971년 11월 15일), 《Technical Memorandum 33-507-A Reduced Star Catalog Containing 537 Named Stars》 (PDF),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9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 ↑ (중국어)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7 月 2 日 Archived 2011년 7월 16일 - 웨이백 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