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축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니더외스터라이히주크렘스안데어도나우 근처 테이스(Theiss)의 지역 난방 축적 타워(열 용량 2GWh)

축열(蓄熱) 또는 열에너지 저장(Thermal energy storage, TES)은 나중에 재사용하기 위해 열에너지를 저장하는 것이다.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잉여 열에너지를 몇 시간, 며칠 또는 몇 달 동안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및 사용 규모는 소규모에서 대규모까지, 즉 개별 프로세스에서 지역, 도시 또는 지역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사용 사례로는 낮과 밤 사이의 에너지 수요 균형, 겨울 난방을 위한 여름 열 저장 또는 여름 냉방을 위한 겨울 추위(계절 열 에너지 저장) 등이 있다. 저장 매체에는 물 또는 얼음 진창 탱크, 시추공을 통해 열 교환기로 접근되는 천연 흙 덩어리 또는 기반암, 불침투성 지층 사이에 포함된 깊은 대수층, 자갈과 물로 채워지고 상단이 단열되어 있는 얕은 구덩이, 공융 용액 및 상변화 물질이 포함된다.[1]

저장을 위한 다른 열 에너지원으로는 피크 저감이라는 관행인 오프 피크, 저비용 전력에서 열펌프로 생성된 열 또는 냉기, 열병합발전소(CHP) 발전소의 열, 그리드 수요를 초과하는 재생 가능한 전기 에너지로 생산된 열과 산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이 포함된다. 계절적 및 단기적 열 저장은 가변 재생 가능 전기 생산의 높은 점유율과 거의 또는 100% 재생 가능 에너지로 공급되는 에너지 시스템의 전기 및 난방 부문 통합의 균형을 저렴하게 유지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간주된다.[2][3][4][5]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Saeed, R.M.; Schlegel, J.P.; Castano, C.; Sawafta, R. (2018). “Preparation and enhanced thermal performance of novel (solid to gel) form-stable eutectic PCM modified by nano-graphene platelets” (PDF). 《Journal of Energy Storage》 15: 91–102. doi:10.1016/j.est.2017.11.003. 
    Saeed, R.M.; Schlegel, J.P.; Castano, C.; Sawafta, R.; Kuturu, V. (2017). “Preparation and thermal performance of methyl palmitate and lauric acid eutectic mixture as phase change material (PCM)” (PDF). 《Journal of Energy Storage》 13: 418–424. doi:10.1016/j.est.2017.08.005. 
  2. Jacobson, Mark Z.; Delucchi, Mark A.; Cameron, Mary A.; Frew, Bethany A. (2015). “Low-cost solution to the grid reliability problem with 100% penetration of intermittent wind, water, and solar for all purpose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2 (49): 15060–5. Bibcode:2015PNAS..11215060J. doi:10.1073/pnas.1510028112. PMC 4679003. PMID 26598655. 
  3. Mathiesen, B.V.; Lund, H.; Connolly, D.; Wenzel, H.; Østergaard, P.A.; Möller, B.; Nielsen, S.; Ridjan, I.; Karnøe, P.; Sperling, K.; Hvelplund, F.K. (2015). “Smart Energy Systems for coherent 100% renewable energy and transport solutions”. 《Applied Energy》 145: 139–54. Bibcode:2015ApEn..145..139M. doi:10.1016/j.apenergy.2015.01.075. 
  4. Henning, Hans-Martin; Palzer, Andreas (2014). “A comprehensive model for the German electricity and heat sector in a future energy system with a dominant contribution from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Part I: Methodology”.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30: 1003–18. doi:10.1016/j.rser.2013.09.012. 
  5. Bauer, Thomas; Steinmann, Wolf-Dieter; Laing, Doerte; Tamme, Rainer (2012). “Thermal Energy Storage Materials and Systems”. 《Annual Review of Heat Transfer》 (영어) 15 (15): 131–177. doi:10.1615/AnnualRevHeatTransfer.2012004651. ISSN 1049-0787.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