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지동물
중지동물 | ||
---|---|---|
초기 후지류인 킬린시아의 복원도 | ||
수루시카리스의 복원도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역 | |
계: | 동물계 | |
문: | 절지동물문 | |
(미분류): | 중지동물군 | |
학명 | ||
Deuteropoda | ||
Ortega-Hernández 2016[1] | ||
아문 및 강 | ||
|
중지동물(Deuteropoda 데우테로포다[*])은 머리 부위의 해부학적 재조직화, 즉 분화된 첫 부속지 쌍(중대뇌 다리 쌍), 다체절화한 머리, 구하체/윗입술 복합체의 등장으로 인해, 그리고 체절화된 이분지를 가짐으로써 라디오돈트목 등의 좀 더 원시적인 그룹의 절지류와는 구별되는 종들로 이루어진 절지동물의 제시된 한 분기군이다.[1]
중지동물군은 모든 현생 절지동물(협각류와 대악류)을 포함하며 이들과 특징을 공유하는 일부 화석군(푸시엔후이아목, 대협강, 이속시스목, 및 우지류)도 마찬가지로 속해있는 한편, 좀 더 초기 또는 원시적인 화석군(오파비니아과 및 엽족동물)은 제외된다.[1][3] 협각류와 대악류의 마지막 공통 조상의 기저에 있는(즉, 절지동물 왕관군 밖에 위치하는) 중지동물의 구성종의 경우, 종종 줄기상군 절지동물(upper stem group arthropod)이라고 한다.[1]
특징 정의
[편집]중지동물의 구성종들은 분화된 상순(윗입술)과 분화된 첫 번째 '중대뇌 다리 쌍'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1] 반면, 엽족동물(줄기하군의 일부) 및 유조동물의 경우 부속지가 눈 앞에 달리거나 현생 절지동물의 윗입술로 진화한 것으로 추정되는 '전대뇌' 다리 쌍을 가진다.[3]
계통
[편집]하단의 분기도는 추정되는 범절지동물의 계통도로, Zeng et al. 2020 및 O'Flynn at al. 2022. 논문에서 찾은 분기도에 따라 절지동물의 줄기하군과 줄기상군의 분화 차이를 고려하였다.[4][5] (현생군은 굵은 글씨로 표시되어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이속시스목, 대협강, 푸시엔후이아목 및/또는 우지류가 절지동물 왕관군 바깥에 있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에 이 분기도의 모든 부분이 널리 받아들여지는 것은 아닌 반면,[6][7] 일부 다른 연구에서는 우지류의 경우 대악류보다는 협각아문과 더욱 근연임을 발견했다.[7]
범절지동물 |
| |||||||||||||||||||||||||||||||||||||||||||||||||||||||||||||||||||||||||||||||||||||||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Ortega-Hernández, Javier (2016). “Making sense of 'lower' and 'upper' stem-group Euarthropoda, with comments on the strict use of the name Arthropoda von Siebold, 1848”. 《Biol. Rev.》 91 (1): 255–273. doi:10.1111/brv.12168. PMID 25528950. S2CID 7751936.
- ↑ McCall, Christian (2023년 12월 13일). “A large pelagic lobopodian from the Cambrian Pioche Shale of Nevada”. 《Journal of Paleontology》. doi:10.1017/jpa.2023.63. 2023년 12월 13일에 확인함.
- ↑ 가 나 Budd, Graham E. (2021). “The origin and evolution of the euarthropod labrum”. 《Arthropod Structure & Development》 62: 101048. doi:10.1016/j.asd.2021.101048. ISSN 1467-8039. PMID 33862532.
- ↑ Zeng, Han; Zhao, Fangchen; Niu, Kecheng; Zhu, Maoyan; Huang, Diying (2020년 11월). “An early Cambrian euarthropod with radiodont-like raptorial appendages”. 《Nature》 588 (7836): 101–105. Bibcode:2020Natur.588..101Z. doi:10.1038/s41586-020-2883-7. PMID 33149303. S2CID 226248177.
- ↑ O’Flynn, Robert; Williams, Mark; Yu, Mengxiao; Harvey, Thomas; Liu, Yu (2022). “A new euarthropod with large frontal appendages from the early Cambrian Chengjiang biota”. 《Palaeontologia Electronica》 25 (1): a6. doi:10.26879/1167. S2CID 246779634.
- ↑ Zhang, Caixia; Liu, Yu; Ortega-Hernández, Javier; Wolfe, Joanna M.; Jin, Changfei; Mai, Huijuan; Hou, Xianguang; Guo, Jin; Zhai, Dayou (2023년 4월 26일). “Three-dimensional morphology of the biramous appendages in Isoxys from the early Cambrian of South China, and its implications for early euarthropod evolution”.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영어) 290 (1997). doi:10.1098/rspb.2023.0335. ISSN 0962-8452. PMC 10113025
|pmc=
값 확인 필요 (도움말). PMID 37072042. - ↑ 가 나 Aria, Cédric (October 2022). “The origin and early evolution of arthropods”. 《Biological Reviews》 (영어) 97 (5): 1786–1809. doi:10.1111/brv.12864. ISSN 1464-7931. PMID 35475316. S2CID 243269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