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음계


장음계(長音階, 영어: major scale) 또는 아이오니안 모드는 음계의 하나로 자연 음계에서 제 3~4음과 7~8음이 반음인 온음계이다. 다음은 가령 다장조의 자연장음계를 나타낸 것이다.

크게 자연 장음계(natural major scale), 화성 장음계(harmonic major scale), 가락 장음계(melodic major scale)로 나뉜다.
이 장음계를 사용하는 조성은 '장조 (major key)'라고 한다.
종류
[편집]구조
[편집]
장조는 장2도 또는 온음을 사이에 둔 두개의 동일한 테트라코드로 보인다. 즉, 온음, 온음, 반음, 온음, 온음, 온음, 반음 순으로 진행된다. 각 테트라코드는 두 개의 온음과 뒤이어 오는 반음으로 구성된다. 서양의 음계는 오선지 상에 줄이나 공백을 남기지 않으며, 임시표가 붙은 음을 반복하지 않는다.
오도권(The circle of fifths)
[편집]오도권은 요한 다비트 하이니헨이 1728년에 최초로 그의 책 Der General-bass에서 도입했으며, 키(key)들 사이의 상대적인 음정의 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여왔다.[1]
원 안의 수는 어떠한 조표의 내림표, 올림표의 개수를 나타낸다. 내림표나 올림표가 없는 다장조 (C major)에서 시작하여, 내림표계 조성은 반시계방향으로, 올림표계 조성은 시계방향으로 진행된다. 이 원의 배치에서 이명동조 관계를 볼 수 있다. 각각 6개의 내림표, 올림표가 붙을 경우, 장조로는 내림사장조와 올림바장조가 서로 이명동조 관계가 된다.[1]
다른 표기법과 사용
[편집](이 틀에도 나왔듯이) 영문 표기 시 장음계 조성의 이름을 축약어로 표현 시 해당 으뜸음 이름의 로마자를 대문자로 표기하여 으뜸음 이름만 표기하기도 한다. 가령 다장조의 영문 표기 시 'C major'는 줄여서 'C'라고 쓰기도 한다. 예를 들어 단음계 조성의 이름을 축약어로 표현 시 해당 으뜸음 이름의 로마자를 소문자로 표기하여 으뜸음 이름만 표기하기도 하듯이 말이다. 이 경우, 가령 가단조의 영문 표기시 'A minor'를 줄여서 'a'라고 쓰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2]
각주
[편집]- ↑ 가 나 Drabkin, William. 2001. "Circle of Fifths".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second edition, edited by Stanley Sadie and John Tyrrell. London: Macmillan Publishers.
- ↑ “StackExchange - Questions - Capitalization of key names (C Minor vs. c minor)”. 《https://stackexchange.com》. 2024년 9월 8일에 확인함.
|웹사이트=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같이 보기
[편집]![]() |
이 글은 음악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