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하면
보이기
임하면 臨河面 | |
---|---|
![]() | |
로마자 표기 | Imha - Myeon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경상북도 안동시 |
행정 구역 | 13리 |
법정리 | 8리 |
관청 소재지 | 안동시 임하면 충효로 3254 |
지리 | |
면적 | 91.7 km2 |
인문 | |
인구 | 2,785명(2022년 3월) |
세대 | 1,911세대 |
인구 밀도 | 30.4명/km2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안동시 임하면 행정복지센터 |
임하면(臨河面)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의 면이다. 면사무소 소재지는 충효로 3254(신덕리 523번지).
연혁
[편집]- 삼국 시대에는 고구려의 굴화군(屈火郡))
- 신라 경덕왕 때 곡성군(曲城郡)으로 고쳤다.
- 고려 시대에는 지금의 월곡과 임동지역을 포함해서 임하현(臨河縣)이 되었다.
- 1906년 임하현을 폐지하고 안동군에 통합하면서 임현내 · 임남 · 임동 · 임북 · 임서면으로 개편
- 1914년 3월 1일 임하 · 임북 · 동후 · 임동면으로 개편(임하면: 11개 리)
- 11개 리 - 금소, 망천, 고곡, 추목, 신덕, 오대, 현하, 송천, 사의, 임하, 천전
- 1914년의 행정구역[1]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1914년 | 현재 | ||
---|---|---|---|
면 | 리 | 시·구·면 | 리 |
임하면 (臨河面) |
송천리 | 안동시 | 송천동 |
망천리, 사의리 일부 | 안동시 임동면 |
망천리, 박곡리 일부 | |
금소리, 고곡리, 신덕리, 오대리, 추목리, 임하리, 천전리, 사의리 일부 | 안동시 임하면 |
금소리, 고곡리, 신덕리, 오대리, 추목리, 임하리 일부, 천전리, 임하리 일부 | |
현하리 | 안동시 길안면 |
현하리 |
- 1974년 7월 1일 : 안동댐 건설로 현하리가 길안면으로, 망천리가 임동면으로 편입되고 월곡면의 노산리, 석동리가 임하면으로 편입
- 1983년 2월 15일 : 행정구역 개편으로 송천리, 석동리가 안동시로 편입
- 1993년 11월 15일 : 임하댐 건설로 사의리가 임하리 일부와 임동면 박곡리로 편입
행정 구역
[편집]법정리 | 행정리 | 비고 |
---|---|---|
고곡리 | 고곡리 | |
금소리 | 금소1리, 금소2리 | |
노산리 | 노산리 | |
신덕리 | 신덕1리, 신덕2리 | |
오대리 | 오대1리, 오대2리 | |
임하리 | 임하1리, 임하2리 | |
천전리 | 천전1리, 천전2리 | |
추목리 | 추목리 |
교육 기관
[편집]학교명 | 소재지 | 비고 |
---|---|---|
임하초등학교 | 임하면 앞산밑길 9 (신덕리) | |
금소초등학교 | 임하면 금소길 341-12 (금소리) | 1999년 폐교 |
천전초등학교 | 임하면 독립기념관길 2 (천전리) | |
임하중학교 | 임하면 대추나무길 37 (임하리) |
각주
[편집]- ↑ (신구대조)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191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