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용감수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용감수경 권3~4
(龍龕手鏡 卷三~四)
대한민국 대한민국국보
지정번호 국보 제291호
(1997년 1월 1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 1
제작시기 고려 11세기
소유자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용감수경<제3권,4권>
대한민국 대한민국보물
지정번호 보물 제130호
(1963년 1월 21일 지정)
(1997년 1월 1일 해지)

용감수경(龍龕手鏡) 거란 성종(聖宗) 15년(997)에 거란의 승려 행균(行均)이 편찬한 한자 자전(字典)이며, 용감(龍龕)이란 말은 불전(佛典)을 의미한다. 종래 중국의 자전은 양(梁) 고야왕(顧野王)의 옥편(玉篇)과 같이 부수별(部首別)로 된 것과 수(隋) 육법언(陸法言)의 광운(廣韻)과 같이 사성(四聲)의 운별(韻別)로 글자를 배열하는 두 가지의 방법이 있는데, 이 책은 부수별로 먼저 배열하고, 같은 부수 안에서는 다시 운별로 배열하여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취하였고, 정자(正字) 외에 이체(異體)·속자(俗字)까지도 전부 망라하여 해설을 붙였다.

본자(本字) 26,430여자에 주(註)가 163,170자에 달하여 자전으로서의 가치가 매우 클 뿐만 아니라 요(遼)나라 시대의 음운을 연구하는 데에 유일한 자료이다. 편찬자인 행균이 승려였으므로 특히 불전에 나오는 글자까지 빠뜨리지 않고 망라한 것이 이 책의 또 다른 특색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의 원본이 되는 《용감수경》은 중국에서는 이미 사라지고 남송대(南宋代)에 이르러 《용감수감(龍龕手鑑)》으로 이름을 바꾼 것이 전해져 오다가, 근래 《속석일총서(續石逸叢書)》에 수록ㆍ간행되었다. 그러므로 한국에 남아있는 이 책이 현존하는 유일한 《용감수경》이다. 《용감수경》은 모두 4권으로 되어 있으며, 고려대학교에 소장된 것은 그 중 권3과 권4이다. 일찍이 금강산 유점사(楡岾寺)에 같은 판본의 권1이 있었으나 현재는 그 보존 여부를 알 수 없고, 권2는 남아있지 않다. 한국에서 언제 이것을 중간(重刊)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다만 권4의 끝에 "나주목관조각사권입구십삼장(羅州牧官雕刻四卷入九十三丈)"이라는 글을 줄을 올려서 쓰고, 다시 줄을 바꾸어 낮게 "사록장서기차양온령권득령(司錄掌書記借良令權得齡)"이라고 새겨서 나주에서 권득령(權得齡) 책임하에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으나 권득령의 이력을 알 수 없어 연대도 알 길이 없다. 다만 고려의 복각(覆刻)이 남송시대까지 내려가지 않고, 또 요나라가 존재했을 때에 간행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것의 간행연도는 11세기경으로 추정할 수 있을 듯하다.

《용감수경》의 다른 판본으로는 먼저 《몽산화상법어략록(蒙山和尙法語略錄)》 등의 김수온(金守溫)의 발문에 인수왕비(仁粹王妃)가 조선 9대 성종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성종 3년(1472)에 간행한 책의 목록 가운데에 《용감수감》50부가 들어있으나 이 책은 아직 발견된 바가 없다. 일본의 내각문고(內閣文庫)에 혜각존자(慧覺尊者) 신미(信眉)의 장서인(藏書印)이 있는《용감수감》이 소장되어 있는데, 책의 형태 등으로 미루어 세조 초의 간본으로 추정되며, 늦어도 성종 3년 인출본(印出本)이거나 그보다 앞선 초인본(初印本)이라 할 것이다. 이 세조 시기의 간본을 명종 18년(1563)에 황해도 귀진사(歸眞寺)에서 복각한 책은 현재 널리 전해지고 있다. 이 《용감수경》은 중국을 비롯한 일본 등 다른 나라에서는 이미 없어진 책이고, 아울러 귀중한 고려본이라는 사실로 인해 1996년 11월 28일 일제지정문화재 재평가에 의해 보물 제130호에서 국보 제291호로 등급이 조정되었다.

참고자료

[편집]

본 문서에는 서울특별시에서 지식공유 프로젝트를 통해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한 저작물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