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오광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광운
출생1689년
사망1745년
국적조선
별칭자 영백(永伯), 호 약산(藥山)
시호 충장(忠章)
학력1719년 증광시 문과 급제
직업문신
종교유학
배우자안동 권씨
자녀2남

오광운(吳光運, 1689년 8월 23일 - 1745년 7월 21일)은 조선의 문신이다. 본관은 동복(同福), 자는 영백(永伯), 호는 약산(藥山), 시호는 충장(忠章)이다. 예조참판을 역임하였고, 무신란에 관계된 공로를 참작하여 사망 직후 이조판서 겸 대제학 관직이 추증되었다.[1] 당파로는 청남(淸南) 준론(峻論)에 속하였다.

경력

[편집]
1714년(숙종 40년), 소과 과거시험 생원시 합격[2]
1719년(숙종 45년), 증광시[3] 문과 과거시험 급제, 승문원 관직 임명
1723년(경종 3년), 문신 정시(庭試) 과거시험 급제, 정6품 예조 좌랑 임명
1728년(영조 4년) 2월, 홍문관 정6품 수찬 임명, 4월에 승정원 정3품 당상관인 동부승지로 발탁됨
1733년(영조 9년) 5월, 한성부 종2품 우윤 임명
1738년(영조 14년), 50세를 맞이하여 자신이 지은 시문(詩文)을 정리함
1741년(영조 17년) 9월, 형조 종2품 참판 임명
1742년(영조 18년) 12월, 예조 종2품 참판 임명
1743년(영조 19년) 7월, 사헌부 종2품 대사헌 임명
1744년(영조 20년) 11월, 개성부 종2품 유수 임명
1745년(영조 21년) 7월, 사망 (정2품 이조판서와 대제학 관직이 증직됨)
1788년(정조 12년) 4월, 시호 충장(忠章)이 내려짐[4] (채제공이 시호를 청하기 위한 문서인 시장을 지었음)

가족

[편집]
  • 고조부 : 예조판서 오준(吳竣, 1587년 ~ 1666년)[5]
  • 고조모 : 진주(晉州) 유씨(柳氏) - 진사 유시회(柳時會)의 딸
    • 증조부 : 의금부도사 오정한(吳挺漢)
    • 증조모 : 은진(恩津) 송씨(宋氏) - 현감 송지휘의 딸
      • 조부 : 오시봉(吳始鳳)
      • 조모 : 양천(陽川) 허씨(許氏) - 승지 허정(許珽)의 딸
        • 백부 : 오상경(吳尙絅)
        • 부 : 돈녕부도정 오상순(吳尙純), 1689년(숙종 15년)에 증광시 소과 진사시 합격[6]
        • 모 : 광주(廣州) 안씨(安氏) - 승지 안후열(安後說)의 딸
          • 본인 : 오광운
          • 아내 : 안동(安東) 권씨(權氏) - 참봉 권경(權䪫)의 딸
            • 첫째아들 : 병조좌랑 오대관(吳大觀, 1711년 ~ ?), 1732년(영조 8년)에 정시 문과 장원급제[7]
            • 며느리 : 평강(平康) 채씨(蔡氏) - 채응만(蔡膺萬)의 딸
            • 둘째아들 : 오대성(吳大成), 요절

저서

[편집]

각주

[편집]
  1. "공이 사직(社稷)에 있어 상훈(賞勳)을 내렸어야 마땅하였는데, 상훈을 내리지 못하였다. 오광운과 홍경보에게 모두 정경(正卿, 판서)을 특별히 증직(贈職, 추증)하고..." 《조선왕조실록》 영조 62권, 21년(1745년) 7월 21일 3번째 기사
  2. 이하 경력은 조현명(趙顯命)이 지은 오광운의 신도비 비문 기록을 간추린 것이다. 신도비문은 조현명의 문집인 《귀록집(歸鹿集)》 16권에 〈증이조판서오공신도비명(贈吏曹判書吳公神道碑銘)〉으로 실려 있다.
  3. 증광시(增廣試) 과거시험은 나라에 특별한 경사가 있을 때 시행하는 과거 시험이다. 3년마다 정기적으로 시행되는 과거 시험인 식년시(式年試)에 준하는 절차와 규모로 시행된다. 오광운은 당시 시험에서 병과 제15인, 즉 전체 합격자 35명 가운데 25등이었다.
  4. 앞서 3월 1일에 무신년 정변의 충신과 공신 명단을 책자로 정리해 수록하면서 오광운에게 시호를 내릴 것을 하명한 결과였다. 《조선왕조실록》 정조 25권, 12년(1788년) 4월 6일 3번째 기사
  5. 이하 가계 역시 조현명이 지은 오광운의 신도비 비문에 나타난 기록을 간추린 것이다.
  6. 진사 2등 제9인 합격 (전체 합격자 100명 중 14등), 1689년 〈기사증광사마방목(己巳增廣司馬榜目)〉, 국립중앙도서관
  7. 당시 과거시험에서 10명이 선발되었는데, 1등으로 합격하였다. 출전은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