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화 이온
보이기
| |||
이름 | |||
---|---|---|---|
체계명
Chloride[1]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3587171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14910 | |||
KEGG | |||
PubChem CID
|
|||
UNII | |||
| |||
| |||
성질 | |||
Cl− | |||
몰 질량 | 35.45 g·mol−1 | ||
짝산 | 염화 수소 | ||
열화학 | |||
표준 몰 엔트로피 (S
|
153.36 J K−1 mol−1[2] | ||
표준 생성 엔탈피 (ΔfH⦵298)
|
−167 kJ·mol−1[2] | ||
관련 화합물 | |||
다른 음이온
|
플루오린화 이온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염화 이온(영어: chloride ion, Cl−)은 염소가 전자를 하나 얻었을 때 생기는 음이온이다. 예를 들어 염산은 염화 이온을 갖고 있으며, 염화물(鹽化物)이라고 한다.
동물에서의 필요성
[편집]염화물은 신진 대사에 필요한 화학 물질이다. 또한 신체의 산 - 염기 균형을 유지하는 데 쓰인다. 혈액에 존재하는 염화물의 농도는 콩팥에 의해 결정된다.[3]
예
[편집]예를 들어 염화 나트륨(화학식 : NaCl)이라 불리는 식탁용 소금이 물에 녹으면, Na+ 와 Cl− 이온으로 나뉜다.
염화 이온은 또한 아밀라아제 효소에 보철에도 사용된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Chloride ion - PubChem Public Chemical Database”. 《The PubChem Project》. USA: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 ↑ 가 나 Zumdahl, Steven S. (2009). 《Chemical Principles 6th Ed.》. Houghton Mifflin Company. A21쪽. ISBN 978-0-618-94690-7.
- ↑ “보관된 사본”. 2009년 3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3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염화 이온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