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스반테 페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반테 페보
Svante Pääbo
왕립학회 가입 (2016년 7월 런던)
왕립학회 가입 (2016년 7월 런던)
출생 1955년 4월 20일(1955-04-20)(69세)
스웨덴 스톡홀름
국적 스웨덴
출신 학교 웁살라 대학교 (박사)
주요 업적 고유전학
수상
분야 유전학, 진화인류학
소속 막스 플랑크 협회 진화인류학
학위 논문 아데노바이러스의 e19 단백질이 어떻게 면역체계를 조절하는가?〉(1986)
www.eva.mpg.de/genetics/staff/paabo/home.html

스반테 에리크 페보(스웨덴어: Svante Erik Pääbo, 1955년 4월 20일~)는 스웨덴유전학자로 주요 연구 분야는 진화유전학이다.[2] 고유전학의 창설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네안데르탈인 게놈을 해독하였다.[3][4][5][6][7][8] 1997년부터 막스 플랑크 연구소의 진화인류학 분과 책임자로 근무하고 있다.[9][10][11][12][13] 2022년 "멸종한 유인원의 게놈과 인간 진화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에 기여하여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하였다[14].

교육 및 학위

[편집]

스반테 페보는 1955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에스토니아 출신의 화학자 어머니 카린 페보(Karin Päabo)의 양육 하에 자랐다. 부친은 스웨덴 생화학자 수네 베리스트룀(1916~2004)으로, 1982년 스웨덴 생화학자 벵트 잉에마르 사무엘손(1934~)과 영국의 약리학자 존 로버트 베인(1927~2004)과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15][16] 스반테 페보는 아데노바이러스 단백질 E19의 면역체계 조절 방법에 대한 연구로 1986년 웁살라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17]

연구 경력

[편집]

페보는 고유전학 창설자 가운데 하나로 알려져 있다. 고유전학은 사람속의 여러 고인류 친족 집단을 대상으로 한 유전학이다.[18][19] 1997년에 페보와 동료들은 네안데르탈인 미토콘드리아DNA 염기서열을 해독하여 발표했다.[20][21]

2002년 8월 페보의 연구소는 "언어 유전자"(FOXP2)와 관련한 연구를 발표하여[22] 이 유전자가 개별적인 몇몇 언어 장애에서 보이는 결함 또는 결핍과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하였다.

2006년 페보는 네안데르탈인들의 전체 게놈을 재구성하는 계획을 발표하였고, 《타임 매거진》은 2007년 그를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으로 선정하였다.[23]

2009년 2월 미국최신과학협회는 시카고에서 열린 연례 회의에서 막스 플랑크 연구소 진화인류학팀이 최초로 네안테르탈인 게놈 전체를 해독하였다고 공인하였다.[24] 연구소는 총 3억 개 이상의 염기쌍으로 구성된 염기서열의 분석을 위해 454 라이프 사이언시스 사와 협력하였다.[25]

2010년 3월 페보가 이끄는 연구팀은 시베리아에 있는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견된 손가락 뼈에서 추출한 DNA의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분석 결과 뼈의 주인공은 지금까지 발표된 적이 없는 또다른 멸종된 고인류라는 것이 밝혀졌고 데니소바인으로 명명되었다.[26]

2010년 5월, 페보와 그의 연구진은 '네안데르탈인 게놈' 초판본을 《사이언스》 저널지에 게재했다.[27] 이 논문은 네안데르탈인과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를 제외한 현생 유라시안인 사이에 혼혈이 있었다고 결론지었다.[28] 고대 인종과 호모사피엔스 사이 혼종 이론에 대해 과학공동체에서는 점차 지지하는 추세이다.[29]

2014년 페보는 《잃어버린 게놈을 찾아서: 네안데르탈인에서 데니소바인까지》(Neanderthal Man: In Search of Lost Genomes)를 출판하여, 네안데르탈인 게놈 지도를 만들기 위한 연구과정과 인류 진화에 대한 단상을 삶의 일화와 함께 대중적인 언어로 풀어내고 있다.[30]

수상

[편집]

1992년 독일 과학계에서 가장 명예로운 상인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상을 수상하였다. 2000년 왕립 스웨덴 과학한림원의 회원이 되었고, 2005년 루이장테 의학상을 수상하였다.[31] 2022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하였다.

개인사

[편집]

저서 《잃어버린 게놈을 찾아서》를 통해 소년같은 매력으로 그를 매료시킨 미국인 영장류 동물학자, 린다 비질런트를 만나기 전까지 그는 동성애자였다고 말한다. 현재, 그들은 결혼하여 라이프치히에서 아들과 딸을 함께 키우고 있다.[32]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Louis-Jeantet Prize
  2. Svante Pääbo, TED
  3. Pääbo, Svante (November 1993). “Ancient DNA”. 《Scientific American269 (5): 60–66. 
  4. Candee, Marjorie Dent; Block, Maxine; Rothe, Anna Herthe (2007). 《Current biography yearbook》. New York: H. W. Wilson. ISBN 0-8242-1084-0. 
  5. Harold M. Schmeck Jr (1985년 4월 16일). “Intact Genetic Material Extracted from an Ancient Egyptian Mummy”. New York Times.  (This article shows Pääbo to be the first one to extract DNA from a thousands year dead human—not Bryan Sykes who claimed to be in his books)
  6. 엘리자베스 콜버트. “Sleeping with the Enemy: What happened between the Neanderthals and us?”. 《The New Yorker》. August 15 & 22, 2011호. 64–75쪽. 
  7. Svante Päabo (2014) Neanderthal Man: In Search of Lost Genomes, Basic Books, ISBN 9780465020836
  8. “A Neanderthal Perspective on Human Origins” (video lecture). 2014년 9월 10일. 2014년 11월 15일에 확인함. 
  9. Gitschier, J. (2008). “Imagine: An Interview with Svante Pääbo”. 《PLOS Genetics》 (PLOS) 4 (3): e1000035. doi:10.1371/journal.pgen.1000035. PMC 2274957. PMID 18369454. 
  10. Zagorski, N. (2006). “Profile of Svante Paabo”.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103 (37): 13575–13577. doi:10.1073/pnas.0606596103. PMC 1564240. PMID 16954182. 
  11. Dickman, S. (1998). “Svante Pääbo: Pushing ancient DNA to the limit”. 《Current Biology8 (10): R329–R330. doi:10.1016/S0960-9822(98)70212-X. PMID 9601629. 
  12. Shute, N. (2003). “Portrait: Svante Paabo. The human factor”. 《U.S. News & World Report》 134 (2): 62–63. PMID 12561700. 2012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30일에 확인함. 
  13. “Svante Paabo at the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11년 7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27일에 확인함. 
  14. 스반테 페보 - Nobelprize.org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15. Kolbert, Elizabeth, Sleeping with the Enemy, The New Yorker. 15 August 2011
  16. Sune K. Bergström, The Nobel Prize
  17. Pääbo, Svante (1986). 《How the E19 protein of adenoviruses modulates the immune system》 (학위논문). Uppsala University. ISBN 9155419216. OCLC 16668494. 
  18. “Svante Paabo publications in PubMed”. 2011년 7월 27일에 확인함. 
  19. “Edge: Mapping the Neanderthal Genome - A Conversation With Svante Pääbo”. 2011년 7월 27일에 확인함. 
  20. Krings, M; Stone, A; Schmitz, Rw; Krainitzki, H; Stoneking, M; Pääbo, S (1997). “Neandertal DNA sequences and the origin of modern humans”. 《Cell》 90 (1): 19–30. doi:10.1016/S0092-8674(00)80310-4. ISSN 0092-8674. PMID 9230299. 
  21. Rincon, Paul (2018년 4월 11일). “How ancient DNA is transforming our view of the past”. 《BBC》. 2018년 4월 11일에 확인함. 
  22. Enard, W.; Przeworski, M.; Fisher, S. E.; Lai, C. S. L.; Wiebe, V.; Kitano, T.; Monaco, A. P.; Pääbo, S. (2002). “Molecular evolution of FOXP2, a gene involved in speech and language”. 《Nature》 418 (6900): 869–872. doi:10.1038/nature01025. PMID 12192408. 
  23. Venter, J. C. (2007). “Time 100 scientists & thinkers. Svante Paabo”. 《Time》 169 (20): 116. PMID 17536326. 
  24. Callaway, Ewen (12 February 2009) First draft of Neanderthal genome is unveiled New Scientist, Life, Retrieved 13 February 2015
  25. 스반테 페보, 김명주 역, 《잃어버린 게놈을 찾아서 - 네안데르탈인에서 데니소바인까지》, 부키, 2015년, ISBN 978-89-6051-512-3, 263-276쪽
  26. Krause, J.; Fu, Q.; Good, J. M.; Viola, B.; Shunkov, M. V.; Derevianko, A. P.; Pääbo, S. (2010). “The complete mitochondrial DNA genome of an unknown hominin from southern Siberia”. 《Nature》 464 (7290): 894–897. doi:10.1038/nature08976. PMID 20336068. 
  27. Green, R. E.; Krause, J.; Briggs, A. W.; Maricic, T.; Stenzel, U.; Kircher, M.; Patterson, N.; Li, H.; Zhai, W.; Fritz, M. H. Y.; Hansen, N. F.; Durand, E. Y.; Malaspinas, A. S.; Jensen, J. D.; Marques-Bonet, T.; Alkan, C.; Prüfer, K.; Meyer, M.; Burbano, H. A.; Good, J. M.; Schultz, R.; Aximu-Petri, A.; Butthof, A.; Höber, B.; Höffner, B.; Siegemund, M.; Weihmann, A.; Nusbaum, C.; Lander, E. S.; Russ, C. (2010). "A Draft Sequence of the Neandertal Genome". Science. 328 (5979): 710–722. doi:10.1126/science.1188021
  28. Rincon, Paul (2010). “Neanderthal genes 'survive in us'. BBC. 2010년 5월 7일에 확인함. 
  29. Lalueza-Fox, C; Gilbert, MTP (2011). “Paleogenomics of Archaic Hominins”. 《Current Biology》 21 (24): R1002–R1009. doi:10.1016/j.cub.2011.11.021. 
  30. 21세기 고전(46) 스반테 페보 ‘잃어버린 게놈을 찾아서’, 경향신문, 2016년 12월 23일
  31. “Louis-Jeantet Prize”. 2021년 5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30일에 확인함. 
  32. 스반테 페보, 김명주 역, 《잃어버린 게놈을 찾아서 - 네안데르탈인에서 데니소바인까지》, 부키, 2015년, ISBN 978-89-6051-512-3, 149-152쪽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스반테 페보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