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순안왕대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순안왕대비
順安王大妃
재위 미상
대관식 순안왕대비(順安王大妃)
부왕 태조
왕대비(王大妃)
이름
미상
이칭 미상
별호 미상
시호 미상
신상정보
출생일 미상
출생지 미상
사망일 미상
사망지 미상
왕조 고려(高麗)
가문 개성(開城)
부친 태조
모친 정목부인
배우자 수명태자(壽命太子)
자녀 홍덕원군 왕규(弘德院君 王圭)
종교 불교
묘소 미상

순안왕대비(順安王大妃, 생몰년 미상)는 고려공주로, 태조정목부인의 딸이다. 성은 왕(王)이며, 본관은 개성이다.

생애

[편집]

태조의 제8비인 정목부인 왕씨의 딸이며, 정목부인의 유일한 소생이다. , 본관개성이다. 정목부인은 명주(현재의 강원도 강릉시) 출신으로, 삼한공신이자 태사 삼중대광에 증직된 왕경의 딸이다[1].

그러나 《고려사》〈열전〉 등에는 순안왕대비에 대해 정목부인 소생이라는 것 말고는 생애에 대한 기록이 전무하고[2], 따라서 그녀가 왕대비에 봉해진 이유나 남편 등에 대한 내용도 자세히 알 수 없다.

시호순안왕대비(順安王大妃)이다. 왕후가 된 딸을 두거나 왕이 된 아들을 둔 태조의 왕녀들이 후대 고려 국왕에 의하여 추존 왕후가 되었던데 반하여 순안왕대비는 후(后) 하위의 비(妃)로 추증되었을 뿐 아니라 그 앞에 대(大)가 부가되어서 특징적이다.

고려 초, 대비 칭호의 유일한 용례는 성종문화왕후 김씨의 후비전 기록에서 확인 가능하다. 문화왕후는 성종비이면서 동시에 현종원정왕후의 모후였던 인물이다. 성종과 현종 재위기 연흥궁주, 현덕궁주로 호칭하던 그녀는 1029년(현종 20) 대비에 책봉되었다.[3] 왕후의 모후이면서 전왕 성종의 후비였기 때문에 생전 태후 하위의 대비로 책봉되었다.

문화왕후의 사례를 참조해보면, 순안왕대비에게만 선의왕후·문혜왕후와 차별화된 칭호가 부여된 연유를 추론해 볼 수 있다. 왕대비는 왕후보다 손위의 왕실 여성을 지칭한다. 즉, 순안왕대비의 손자녀 세대에 국왕 또는 왕후가 존재하여 그녀의 자녀 세대가 추존 국왕·왕후에 비견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순안왕대비의 시호에 추존 국왕·왕후보다 손위를 의미하는 대(大)가 부가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태후 하위의 대비로 시호가 결정된 연유는 추증이 이루어질 당시 순안왕대비의 혈통이 국왕보다는 왕후와 직접 연결되었던 데에서 찾을 수 있다. 이에 순안왕대비의 손녀 세대, 태조 왕건의 증손녀 세대에서 선대 정보가 누락된 인물로 목종비였던 선정왕후의 조모가 있다. 즉, 순안왕대비의 배우자로 선정왕후의 조부 수명태자로 추정된다.[4][5] 수명태자의 후손이 왕실에서 유력한 위치를 점하고 있었던 사실로 미루어 보아 순안왕대비가 수명태자의 부인일 가능성이 높다.[6]

가족 관계

[편집]
  • 조부 : 추존 세조(世祖, ?~897)
  • 조모 : 추존 위숙왕후(威肅王后)
    • 부친 : 고려 제1대 왕 태조 (太祖, 877~943, 재위:918~943)
  • 외조부 : 왕경(王景)[7]
  • 외조모 : 미상
  • 시조부 : 추존 세조(世祖, ?~897)
  • 시조모 : 추존 위숙왕후(威肅王后)
    • 시부 : 고려 제1대 왕 태조 (太祖, 877~943, 재위:918~943)
  • 시외조부 : 평준(平俊)
  • 시외조모 : 미상
    • 시모 : 헌목대부인 평씨(獻穆大夫人 平氏, 생몰년 미상)
      • 남편 : 수명태자(壽命太子, 생몰년 미상)
        • 장남 : 홍덕원군 왕규(弘德院君 王圭, 생몰년 미상)
        • 자부 : 문덕왕후(文德王后, 생몰년 미상)
          • 손녀 : 선정왕후 유씨(宣正王后 劉氏, 생몰년 미상)
          • 손서 : 고려 제7대 왕 목종(穆宗, 980~1009 재위: 997~1009)

각주

[편집]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정목부인〉항목
  2. 《고려사》권91〈열전〉4, 태조 공주 - 순안왕대비
  3. ≪고려사≫ 권88, 열전1 后妃 文和王后 金氏.
  4. 황향주 (2022). “10~13세기 高麗 王室의 構造와 編制”. 
  5. “KOOKHAK - 두계이병도박사구순기념한국사학논총(斗溪李丙燾博士九旬紀念韓國史學論叢) 180쪽”. 2024년 12월 10일에 확인함. 
  6. 仁井田陞 著, 서용석·채지혜 역, 2010 <唐代의 封爵과 食封制> ≪역사와 교육≫ 10, 306~314쪽.
  7. 두산백과 〈왕경〉항목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