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벵골 문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벵골 문자
원래 이름 বাংলা লিপি
유형 아부기다
표기 언어 벵골어
사용 시기 11세기 ~ 현재[1]
계통 원시 시나이 문자
 페니키아 문자
  아람 문자
   브라흐미 문자
    굽타 문자
     실담 문자
      가우다 문자[2]
       벵골 문자


ISO 15924 Beng
유니코드 범위 U+0980–U+09FF

벵골 문자(벵골어: বাংলা লিপি, Bangla bôrṇômala)는 벵골어를 표기하는 문자로, 벵골-아삼 문자를 기반으로 하였다. 역사적으로 벵골내에서 산스크리트어를 표기하는데 사용되었다.

벵골어 문자 체계는 아부기다이며 모음 자모는 독립적인 문자가 아닌 기본 문자의 모음을 수정하는 발음 부호로 주로 인식된다. 벵골 문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여진다. 다른 북부 브라흐미계 문자들과 마찬가지로 문자들의 윗부분을 따라 이어지는 마르타(মাত্রা)로 알려진 독특한 수평선이 있는데, 벵골 문자는 데바나가리 문자에 비해 수평선이 적다.[3]

문자

[편집]

모음

[편집]

벵골 문자에는 총 9개의 모음이 있으며, স্বরবর্ণ swôrôbôrnô(모음 문자)라고 불린다. 모음은 벵골어의 7개의 주모음 중 6개, 2개의 복합모음을 표현한다.

아래 표는 현대(19세기 후반 이후) 벵골 문자 목록에 존재하는 모음이다.:

단모음 장모음
발음 의존 모음 발음 의존 모음
후음 ô
/ɔ~o/
- a
/a/
경구개음 i
/i/
ি ī/ee
/i/
순음 u
/u~w/
ū/oo
/u/
권설음 ṛ/ri
/ri/
ṝ/rri
치음 ḷ/li
/li/
ḹ/lli
복합모음
Palatoguttural e
/e~æ~ɛ/
oi
/oi/
Labioguttural o
/o~ʊ~w/
ou
/ou/

자음

[편집]

자음 문자를 벵골어로 ব্যঞ্জনবর্ণ bænjônbôrnô "자음 문자"라고 한다. 문자의 이름은 일반적으로 자음과 고유모음 অ ô의 조합이다.

파열음 비음 접근음 마찰음
일반 소리
청탁음 무성음 유성음 무성음 유성음
유기음 무기음 유기음 무기음 유기음 무기음 유기음
후음
/kɔ/
khô
/ɔ/

/gɔ/
ghô
/ɡʱɔ/
ngô
/ŋɔ/

/ɦɔ~hɔ/
경구개음 chô/sô
/ɔ~tsɔ~sɔ/
chhô/ssô
/tʃʰɔ~tsʰɔ/
ǰô
/ɔ~dzɔ~zɔ/
ǰhô
/dʒʱɔ~dzʱɔ/
ñô
/nɔ~ɔ/

/ɔ~dzɔ~zɔ/
shô
/ʃɔ~ɕɔ~sɔ/
권설음 ṭô
/ʈɔ/
ṭhô
/ʈʰɔ/
ḍô
/ɖɔ/
ḍhô
/ɖʱɔ/
ṇô
/nɔ~ɳɔ/

/rɔ/
ṣô
/ɕɔ~ʃɔ~ʂɔ/
치음
/ɔ/
thô
/t̪ʰɔ/

/ɔ/
dhô
/d̪ʱɔ/

/nɔ/

/lɔ/
sô/shô
/sɔ~ɕɔ~ʃɔ/
순음
/pɔ/
phô/fô
/ɔ~ɸɔ~fɔ/

/bɔ/
bhô/vô
/ɔ~βɔ~vɔ/

/mɔ/

/wɔ/
개혁후 문자 ড় ṛô
/ɽɔ/
ঢ় ṛhô
/ɽʱɔ~ɽ/
য়
/ɔ~jɔ/


숫자

[편집]

벵골 문자에는 10개의 숫자가 있다(0에서 9까지의 숫자를 나타내는 자소 또는 기호). 벵골 숫자에는 가로줄(মাত্রা matra)가 없다.

아라비아 숫자 0 1 2 3 4 5 6 7 8 9
벵골 숫자

9보다 큰 숫자는 위치 기수법의 10진법을 사용하여 벵골어로 쓴다. 소수점은 마침표 또는 점이 사용된다. 쉼표는 큰 숫자의 자릿수를 구분하며, (হাজার hazar), 십만 또는 라크(লাখ lakh 또는 লক্ষ lôkkhô), 천만 또는 백 라크 또는 크로레(কোটি koti) 단위를 나타낸다. 소수 구분 기호에서 왼쪽으로 첫 번째 자릿수는 세 자리 숫자로, 이후 자릿수는 두 자리 숫자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숫자 17,557,345는 전통적인 벵골어로 ১,৭৫,৫৭,৩৪৫로 작성된다.

문장 부호

[편집]

벵골어 문장 부호는 벵골어의 마침표에 해당하는 세로줄인 দাড়ি dari(।)를 제외하면 서양 문자에서 채택되었으며 사용법도 비슷하다(쉼표, 반쌍점, 쌍점, 따옴표 등 영어와 동일).

벵골어로 ঊর্ধ্বকমা urdhbôkôma(윗반점)으로 알려진 아포스트로피는 পাটা pata "plank"와 পাʼটা pa'ta "the leg"에서와 같이 동형 이의어를 구별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간혹 같은 목적으로 붙임표를 사용하기도 한다.(পাʼটা 의 대안으로 পা-টা 사용)

벵골어 문장의 특징

[편집]
수필 벵골 문자의 예. 1926년 노벨상 수상자인 라빈드라나트 타고르가 헝가리에서 쓴 시의 일부.

벵골어 문장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로로 쓴다. 자음 자소와 모음 자소의 전체 형태는 균일한 크기(너비와 높이 포함)의 가상의 직사각형에 맞는다. 자음의 크기는 복잡도에 관계없이 의도적으로 단일 자음의 크기와 동일하게 유지하여 분음부 모음 형태가 왜곡 없이 부착될 수 있습니다. 전형적인 벵골어 문장에서 철자어, 즉 쓰여진 단어는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단어 내의 자소도 간격이 배열되어 있으나 그 간격은 단어 사이의 간격보다 훨씬 좁다.

문자 형식이 보이지 않는 기준선에 서 있는 서양 문자(라틴 문자, 키릴 문자 등)와 달리 벵골 문자 형식은 대신 মাত্রা 마트라(matra)라고 하는 눈에 보이는 수평선이 왼쪽에서 오른쪽 머릿부분에 그어져있다. 이 마트라의 유무는 중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ত 와 숫자 ৩ "3", 자음 ত্র trô와 독립 모음 এ e 같은 경우와 같이 마트라의 존재 여부에 의해서만 구별할 수 있는 문자들이 있다. 문자 형식은 또한 문자 너비와 문자 높이(보이는 마트라와 보이지 않는 기준선 사이의 수직 공간)의 개념을 사용한다.

벵골 문자와 관련 계통 문자와 비교

[편집]

독립 모음

[편집]
a ā i ī u ū e ai o au
벵골 문자
오디아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
싯담 문자

자음

[편집]
k kh g gh c ch j jh ñ ṭh ḍh t th d dh n p ph b bh m ẏ,y r l,ḷ w ś s h kṣ
벵골 문자 য,য় ওয় ক্ষ জ্ঞ
오디아 문자 ଯ,ୟ ଲ,ଳ କ୍ଷ ଜ୍ଞ
데바나가리 문자 ल,ळ क्ष ज्ञ
싯담 문자

의존 모음

[편집]
ka ki ku kṛ kṝ kḷ kḹ ke kai ko kau
벵골 문자 কা কি কী কু কূ কৃ কৄ কৢ কৣ কে কৈ কো কৌ
오디아 문자 କା କି କୀ କୁ କୂ କୃ କୄ କୢ କୣ କେ କୈ କୋ କୌ
데바나가리 문자 का कि की कु कू कृ कॄ कॢ कॣ के कै को कौ

유니코드

[편집]

벵골 문자는 1991년 10월 버전 1.0의 출시와 함께 유니코드 표준에 추가되었다.

벵골 문자의 유니코드 블록은 U+0980–U+09FF이다.:

벵골 문자[1][2]
Official Unicode Consortium code chart (PDF)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U+098x
U+099x
U+09Ax
U+09Bx ি
U+09Cx
U+09Dx
U+09Ex
U+09Fx
참고
1.^ 유니코드 버전 14.0부터
2.^ 회색 영역은 할당되지 않은 코드를 나타낸다.

주해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Ancient Scripts”. 16 November 2010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 March 2007에 확인함. 
  2. Daniels, Peter T. (2008). 〈Writing systems of major and minor languages〉. Kachru, Braj B.; Kachru, Yamuna; Sridhar, S. N. 《Languages in South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5–308쪽. ISBN 978-0-521-78141-1. 
  3. George Cardona and Danesh Jain (2003), The Indo-Aryan Languages, Routledge, ISBN 978-0415772945

참고 문헌

[편집]
  • Ashraf, Syed Ali; Ashraf, Asia (1966), 〈Bengali Diphthongs〉, Dil A. S., 《Shahidullah Presentation Volume》, Lahore: Linguistic Research Group of Pakistan, 47–52쪽 
  • Chatterji, Suniti Kumar (1939), 《Vasha-prakash Bangala Vyakaran (A Grammar of the Bengali Language)》, kolkata: University of Rabindra Bharaty (RBUDDE) 
  • Chowdhury, Munier (1963), “Shahitto, shônkhatôtto o bhashatôtto (Literature, statistics and linguistics)”, 《Bangla Academy Potrika》 (Dhaka) 6 (4): 65–76 
  • Kostic, Djordje; Das, Rhea S. (1972), 《A Short Outline of Bengali Phonetics》, Calcutta: Statistical Publishing Company 
  • Hai, Muhammad Abdul (1964), 《Dhvani Vijnan O Bangla Dhvani-tattwa (Phonetics and Bengali Phonology)》, Dhaka: Bangla Academy 
  • D.R, Master (2010), “Bengali Sarabarna Banjan Barna Learning”, 《Asiatick Researches》 (Calcutta: Asiatick Society), 2021년 10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Salomon, Richard (1998). 《Indian Epigraphy: A Guide to the Study of Inscriptions in Sanskrit, Prakrit, and the Other Indo-Aryan Languag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Sarkar, Pabitra (1987), “Bangla Dishôrodhoni (Bengali Diphthongs)”, 《Bhasha》 (Calcutta) 4–5: 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