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대한독립선언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무오독립선언에서 넘어옴)

무오독립선언서 석판 인쇄본

대한독립선언서(大韓獨立宣言書)는 1919년 2월에 만주 길림에서 발표된 독립선언서이다. 3·1 운동 당시 발표된 독립선언서와 구별하기 위해서 무오독립선언서(戊午獨立宣言書) 라고도 한다. 조소앙(趙素昻)이 작성하였고[1] 당시 해외에서 활동중이던 독립운동가 39명이 서명하였다. 일제 강점기 우리 민족이 최초로 선포한며 2·8 독립선언3·1운동의 선구적 역할을 했다고 평가된다.

개요

[편집]

1919년 2월 (또는 1918년 11월), 만주 길림에서 만주연해주중국, 미국 등 해외에서 활동 중인 독립운동가 39명의 명의로 독립선언서가 발표되었다. 선언서의 작성과 서명이 사전에 이루어졌음을 고려하여, 별칭으로 '무오독립선언'[2] 또는 '길림선언'으로 불리기도 한다.

무오독립선언 직후 조소앙은 일본 도쿄로 건너가, 유학생인 백관수, 이광수 등을 지도하여 2·8 독립 선언을 발표하도록 하였다. 이 선언서 작성 이후 예관 신규식은 동제사 요원들로서, 곽경,선우혁 등을 국내의 손병희, 이승훈 등에게 밀파하여 3월1일 독립혁명의 거사에 참여하도록 밀서 등을 통하여 동참을 요청하였다. 이러한 영향을 받아서 당시 한성(=서울)에서 손병희종교인 대표 33인기미독립선언과 함께 3·1 운동이 전국적으로 일어났으며, 그 이전에 동경에서 2.8 학생 독립선언을 한 600여명의 학생들 중에서 약390여 명이 일시에 귀국하여 각자의 고향에서 3.12독립혁명을 일으켰다. 또한 예관 신규식의 지도를 받은 몽양 여운형을 당수로 하는 동제사 요원 중에서 젊은 청년들 위주로 신한청년당을 1918년 조직하여 이들 조직의 주도로 3.1혁명이 일어났다.

무오독립선언서

[편집]

조소앙(본명 조용은)이 기초한 선언서에는 사기와 강박으로 이루어진 일본과의 병합(한일병합조약)은 무효이며, 육탄혈전으로라도 독립을 쟁취할 것이라는 내용이 담겨있다.

우리 대한은 완전한 자주독립과 신성한 평등복리로 우리 자손 여민(黎民: 백성)에 대대로 전하게 하기 위하여, 여기 이민족 전제의 학대와 억압을 해탈하고 대한 민주의 자립을 선포하노라. (중략)

정의는 무적의 칼이니 이로써 하늘에 거스르는 악마와 나라를 도적질하는 적을 한 손으로 무찌르라. 이로써 5천년 조정의 광휘(光輝)를 현양(顯揚)할 것이며, 이로써 2천만 백성[赤子]의 운명을 개척할 것이니, 궐기[起]하라 독립군! 제[齊]하라 독립군!

천지로 망(網)한 한번 죽음은 사람의 면할 수 없는 바인즉, 개·돼지와도 같은 일생을 누가 원하는 바이리오. 살신성인하면 2천만 동포와 동체(同體)로 부활할 것이니 일신을 어찌 아낄 것이며, 집안이 기울어도 나라를 회복되면 3천리 옥토가 자가의 소유이니 일가(一家)를 희생하라!

아 우리 마음이 같고 도덕이 같은 2천만 형제자매여! 국민본령(國民本領)을 자각한 독립임을 기억할 것이며, 동양평화를 보장하고 인류평등을 실시하기 위한 자립인 것을 명심할 것이며, 황천의 명령을 크게 받들어(祇奉) 일절(一切) 사망(邪網)에서 해탈하는 건국인 것을 확신하여, 육탄혈전(肉彈血戰)으로 독립을 완성할지어다.

무오독립선언의 의의

[편집]
  • 무오독립선언은 기미독립선언에 앞서 발표된, 최초의 독립선언이다.
  • 무오독립선언 연서자들은 의병활동을 지원하고 항일독립운동의 서막을 연 연해주 지역의 인사들을 중심으로 해외의 모든 독립운동가들이 뜻을 모은 독립선언이다.
  • 무오독립선언을 통해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본에 대해 결사항전과 강력한 무장투쟁을 선언했다.
  • 무오독립선언 연서자들 대부분이 독립운동사에서 지대한 업적을 남긴, 핵심적 독립운동가들이다.
  • 무오독립선언 연서자들 대부분이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주도하였다.
  • 무오독립선언 연서자들 중에는 이탁(李沰) 외에는 변절자가 없다.
  • 독립의 선언에 그치지 않고, 연서자들이 중심이 되어 노령에서 대한국민의회, 상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성의 한성임시정부 등의 망명정부를 수립하는, 구체적 행동으로 연결되었다는 의미가 있다.
  • 연호를 '단군기원' 4252년이라 하였다.

무오독립선언 연서자 39인 일람

[편집]
이름 생년 몰년 출신 지역 종교 정치이념 운동계열 당시 활동지역 건국훈장 훈격 서훈 년도 비고
김교헌(金敎獻) 1868 1923 경기 수원 대종교 공화주의 북로 만주 독립장 1977 -
김규식(金奎植) 1882 1950 경기 양주 - 공화주의 북로군정서 만주 독립장 1963 [3]
김동삼(金東三) 1878 1937 경북 안동 대종교 공화주의 서로, 임정 만주 대통령장 1962 -
김약연(金躍淵) 1868 1942 함북 회령 기독교 - 북간도국민회 만주 독립장 1977 -
김좌진(金佐鎭) 1889 1930 충남 홍성 대종교 공화주의 북로 만주 대한민국장 1962 -
김학만(金學萬) 1884 1931 함남 단천 - - 연해주 노령 애국장 2012 -
정재관(鄭在寬) 1880 1930 황해 황주 기독교 공화주의 미주, 노령 미주 애국장 1990 -
조용은(趙鏞殷) 1887 1958 경기 파주 - 공화주의 임정 만주 대한민국장 1988 일명 조소앙
여준(呂準) 1862 1932 경기 용인 대종교 공화주의 서로 만주 독립장 1968 -
류동열(柳東說) 1879 1950 평북 박천 - 공화주의 임정 만주 대통령장 1989 -
이광(李光) 1879 1966 충북 청주 - 공화주의 만주, 상해 중국 본토 독립장 1963 -
이대위(李大爲) 1878 1928 평남 평양 기독교 공화주의 미주 중국 본토 독립장 1995 -
이동녕(李東寧) 1869 1940 충남 천원 대종교 공화주의 서로, 임정 노령(러시아) 대통령장 1962 -
이동휘(李東輝) 1872 1935 함남 단천 기독교 공화주의 임정 노령(러시아) 대통령장 1995 -
이범윤(李範允) 1856 1940 경기 고양 - 복벽주의 북로 만주 대통령장 1962 -
이봉우(李鳳雨) 1873 1921 경남 동래 - 공화주의 간도 만주 독립장 1980 -
이상룡(李相龍) 1858 1932 경북 안동 대종교 공화주의 서로, 임정 만주 독립장 1962 -
이세영(李世永) 1869 1938 충남 청양 - 복벽주의 만주 만주 독립장 1963 -
이승만(李承晩) 1875 1965 황해 평산 기독교 공화주의 미국, 임정 미주 대한민국장 1949 -
이시영(李始榮) 1869 1953 한성 - 공화주의 서로, 임정 만주 대한민국장 1949 -
이종탁(李鍾倬)[4] - - 경상도 - - 서로 만주 - - 가명 추정
이탁(李沰) 1872 - 평북 정주 - 공화주의 서로 만주 - - 본명 이용화(李溶華),변절
문창범(文昌範) 1872 1938 함북 경원 - 공산주의 만주, 임정 노령(러시아) 대통령장 1990 -
박성태(朴性泰) 1873 - 한성 대종교 공화주의 북로 만주 - - -
박용만(朴容萬) 1881 1928 강원 철원 기독교 공화주의 미주 미주 대통령장 1995 -
박은식(朴殷植) 1859 1925 황해 황주 - 공화주의 임정 중국 본토 대통령장 1962 -
박찬익(朴贊翊) 1884 1949 경기 파주 대종교 공화주의 임정 만주 독립장 1963 -
손일민(孫逸民) 1884 1940 경남 밀양 - 공화주의 임정 만주 애국장 1990 -
신정(申檉) 1879 1922 경북 고령 대종교 공화주의 임정 중국 본토 대통령장 1962 본명 신규식(申圭植)
신채호(申采浩) 1880 1936 충남 대덕 - 공화주의 연해주, 계몽 중국 본토 대통령장 1962 -
안정근(安定根) 1885 1949 황해 신천 카톨릭 공화주의 중로, 임정 만주 독립장 1987 독립운동가 안중근의 친동생
안창호(安昌浩) 1878 1938 평남 강서 기독교 공화주의 연해주, 미주 미주 대한민국장 1962 -
임방(任邦)[4] - - - - - - 만주 - - 가명 추정
윤세복(尹世復) 1881 1960 경남 밀양 대종교 공화주의 대종교 만주 독립장 1962 본명 윤세린(尹世麟)
조욱(曺煜) 1875 1948 한성 대종교 공화주의 임정 만주 대통령장 1962 본명 조성환(曺成煥)
최병학(崔炳學) - - - - - 간도 만주 - - 재만 한인 대지주
한흥(韓興) 1888 1959 함남 신흥 - 공화주의 신간회 국내 독립장 1968 -
허혁(許爀) 1851 1939 경북 선산 - - 부민단 만주 애국장 1991 본명 허겸(許蒹)[5], 허위의 중형
황상규(黃尙奎) 1890 1941 경남 밀양 - 공화주의 북로, 임정 만주 독립장 1963 -

참여자로 추정되는 사람

[편집]
이름 생년 몰년 출신 지역 종교 정치이념 운동계열 당시 활동지역 건국훈장 훈격 서훈 년도 비고
나우(羅愚)[6] 1884 - 평남 용강 - - - - - - 본명 나순응(羅順膺)
정안립(鄭安立)[6] 1873 1948 충북 진천 - - 간도 만주 - - 정영택
정신(鄭信)[6] 1898 1931 함남 홍원 대종교 - 북로, 임정 만주 독립장 1963 -
서상용(徐相庸)[6] 1873 1961 함북 길주 - - 노령 노령 독립장 1977 -
서일(徐一)[6] 1881 1921 함북 경원 대종교 - 노령 노령 독립장 1962 본명 서기학(徐夔學)
신팔균(申八均)[6] 1882 1924 충북 진천 - - 서로 만주 독립장 1963 일명 신동천(申東川)

무오독립선언에 대한 평가

[편집]
  • 무오독립선언이 국내의 기미독립선언에 비해 덜 알려져 있으나, 가장 앞선 독립선언이며, 연서자들의 활동상과 공헌이 저평가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다음백과] 독립운동가 조소앙(趙素昻)....1918년 김좌진(金佐鎭)과 함께 대한독립의군부를 조직하여 부주석에 선출되었으며 같은 해 11월 만주 지린[吉林]에서 여준(呂準)·김좌진·황상규(黃尙奎)·박찬익(朴贊翊) 등과 '대한독립선언서'(무오독립선언서)를 작성해 김교헌(金敎獻) 등 재만독립운동가 39명과 공동서명하여 발표했다.
  2. 이현희 <이야기 독립운동사> 청아출판사 1994.11.7 p177
  3. 김규식(金奎植)은 북로의 김규식(1882~1931)과 임정의 김규식(1881~1950)이 있는데, 무오독립선언 연서자는 북로 김규식으로 본다. 북로 김규식은 무오독립선언에 연서한 김좌진과 함께 하며 만주에 있었던 데 반해, 임정 김규식은 1918년 12월에 상해에 있었고, 12월 말에는 난징에서 김순애와 재혼한 뒤 상해로 돌아와 있었으며, 보름 뒤 1919년 1월에는 상해를 떠나 파리강화회의에 파견되어 3월 13일 프랑스 파리에 도착했다. 정황 상 무오독립선언 연서자 김규식(金奎植)은 북로의 김규식으로 본다.
  4. 이종탁, 임방 2인은 가명으로 연서했을 가능성이 있다.
  5. 디지털구미문화대전 '허겸', 'http://gumi.grandculture.net/gumi/search/GC01201505'
  6. 나우(羅愚), 정안립(鄭安立), 정신(鄭信), 서상용(徐相庸), 서일(徐一), 신팔균(申八均) 등 6명은 선언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떤 사정으로 선언서에 누락되었거나 가명으로 연서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