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성 양순 비음
보이기
무성 양순 비음 | |
---|---|
m̥ | |
번호 | 114 402A |
인코딩 | |
엔티티 (10진수) | n̥ |
유니코드 (16진수) | U+006E U+0325 |
키르셴바움 | m̥ |
소리 | |
무성 양순 비음(無聲 兩脣 鼻音)은 자음의 하나로 위아래 입술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무성 비음이다.
특징
[편집]무성 양순 비음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 조음 방법은 조음기관 내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만드는 파열음이다.
- 발성 기관 속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고, 일부를 코로 흐르게 했다가 내는 비음이다.
- 양쪽 입술로 조음하는 양순음이다.
- 조음할 때 성대가 울리지 않는 무성음이다.
- 코와 입을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가는 비강음이다.
- 기류가 혀 옆이 아니라 중앙으로 빠져나가는 중설음이다.
- 발성 방법은 인후나 입이 아니라 폐에서 발성 기관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폐장기류음이다.
언어별 사용
[편집]언어 | 단어 | IPA | 뜻 | 비고 | |
---|---|---|---|---|---|
버마어[1] | မှာ/hma: | [m̥à] | '주문' | ||
중앙알래스카 유픽어[2] | pisteḿun | [ˈpistəm̥un] | '하인에게' | ||
에스토니아어[3] | lehm | [ˈlehm̥] | '젖소' | /t, s, h/ 뒤에서의 /m/의 어말 이음.[3] | |
프랑스어 | prisme | [pχis̪m̥] | '프리즘' | /m/의 이음. | |
몽어 | Hmoob | [m̥ɔ̃] | '몽족' | ||
아이슬란드어 | hampur | [ˈham̥pʏr] | '대마' | ||
할라파 마사텍어[4] | hma | [m̥a] | '검정' | 음성 및 인두음화 양순 비음과 대립한다. | |
킬딘 사미어[5] | лēӎӎьк/ljeehmhmk | [lʲeːm̥ʲːk] | '가죽 끈' | ||
마스코기어 | camhcá:ka | [t͡ʃəm̥t͡ʃɑːɡə] | '종' | ||
우크라이나어[6] | ритм/ritm | [rɪt̪m̥] | '리듬' | 무성자음 뒤에 오는 /m/의 어말 이음.[6] | |
와쇼어 | Mášdɨmmi | [ˈm̥aʃdɨmmi] | '그는 숨어 있다' | ||
웨일스어[7] | fy mhen | [və m̥ɛn] | '나의 머리' | /p/의 변형으로 존재한다. | |
쉬미어 | 낮음[8] | [ᴴm̥ɛ̃] | '약' | 유성음 /m/과 대립한다.[8][9] | |
높음[9] | |||||
이어 | ꂚ Hma | [m̥a] | '뻐꾸기 나무'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Ladefoged & Maddieson (1996), 111쪽.
- ↑ Jacobson (1995), 3쪽.
- ↑ 가 나 Asu & Teras (2009), 368쪽.
- ↑ Ladefoged & Maddieson (1996), 107쪽.
- ↑ Kuruch (1985:529)
- ↑ 가 나 Danyenko & Vakulenko (1995), 6쪽.
- ↑ Jones (1984:51)
- ↑ 가 나 Chirkova & Chen (2013), 365, 367쪽.
- ↑ 가 나 Chirkova, Chen & Kocjančič Antolík (2013), 382–38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