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맵시 쿼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맵시 쿼크
구성기본 입자
통계페르미온
세대2세대
상호작용강한 상호작용, 약한 상호작용, 전자기력, 중력
기호
c
반입자맵시 반쿼크 (
c
)
이론셸던 글래쇼,
이오아니스 일리오풀로스,
루치아노 마이아니 (1970)
발견버턴 릭터 외. (SLAC)
(1974)
새뮤얼 차오 충 팅 외. (BNL)
(1974)
질량1.29+0.05
−0.11
 GeV/c2
[1]
붕괴 입자기묘 쿼크 (~95%), 아래 쿼크 (~5%)[2][3]
전하+2/3 e
색전하있음
스핀1/2
약한 아이소스핀LH: +1/2, RH: 0
약한 초전하LH: +1/3, RH: +4/3

맵시 쿼크(charm quark 참 쿼크[*], 기호: c)는 기본 입자인 쿼크 중 세 번째로 무거우며, 쿼크로 이루어진 강입자에서 발견된다. 맵시 쿼크를 지니는 강입자로는 J/ψ 중간자(
J/ψ
), D 중간자 (
D
), 맵시 시그마 중입자 (
Σ
c
), 그리고 다른 맵시 입자들이 있다.

기묘 쿼크와 함께 물질 2세대를 이루며, 전하는 +2/3 e이고 정지 질량은 1.29+0.05
−0.11
 GeV/c2
이다.[1] 다른 쿼크와 마찬가지로, 맵시 쿼크는 스핀1/2기본 페르미온이며, 4가지의 기본 상호작용의 영향을 받는다:중력, 전자기력, 약한 상호작용, 강한 상호작용. 맵시 쿼크의 반입자는 맵시 쿼크에서 전하와 같은 일부 특성이 크기는 같고 부호가 반대맵시 반쿼크(종종 반 맵시 쿼크라고도 불린다)이다.

네 번째 쿼크의 존재는 1964년 경에 많은 저자들(예를 들면 제임스 비오르켄셸던 글래쇼[4])에 의해 추측되었지만, 대부분은 1970년에 셸던 글래쇼, 이오아니스 일리오풀로스, 그리고 루치아노 마이아니가 제안했다(GIM 메커니즘 참고).[5] 첫 번째로 발견된 맵시 입자(맵시 쿼크를 지니는 입자)는 J/ψ 중간자이다. 이 입자는 버턴 릭터가 이끄는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SLAC)의 연구진[6]새뮤얼 차오 충 팅이 이끄는 브룩헤이븐 국립 연구소(BNL)의 연구진이 발견하였다.[7]

1974년
J/ψ
(과 맵시 쿼크)의 발견은 11월 혁명이라 알려진 일련의 돌파를 이루었다.


맵시 쿼크를 지니는 강입자

[편집]

아래의 강입자들은 맵시 쿼크를 지니고 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K. Nakamura; 외. (2011). “PDGLive Particle Summary 'Quarks (u, d, s, c, b, t, b′, t′, Free)' (PDF). Particle Data Group. 2011년 8월 8일에 확인함. 
  2. R. Nave. “Transformation of Quark Flavors by the Weak Interaction”. 2010년 12월 6일에 확인함. The c quark has about 5% probability of decaying into a d quark instead of an s quark. 
  3. K. Nakamura; 외. (2010). “Review of Particles Physics: The CKM Quark-Mixing Matrix” (PDF). 《Journal of Physics G37 (75021): 150. Bibcode:2010JPhG...37g5021N. doi:10.1088/0954-3899/37/7a/075021. 
  4. B.J. Bjorken; S.L. Glashow (1964). “Elementary particles and SU(4)”. 《Physics Letters11 (3): 255–257. Bibcode:1964PhL....11..255B. doi:10.1016/0031-9163(64)90433-0. 
  5. S.L. Glashow; J. Iliopoulos; L. Maiani (1970). “Weak Interactions with Lepton–Hadron Symmetry”. 《Physical Review D2 (7): 1285–1292. Bibcode:1970PhRvD...2.1285G. doi:10.1103/PhysRevD.2.1285. 
  6. J.-E. Augustin; 외. (1974). “Discovery of a Narrow Resonance in e+e Annihilation”. 《Physical Review Letters33 (23): 1406. Bibcode:1974PhRvL..33.1406A. doi:10.1103/PhysRevLett.33.1406. 
  7. J.J. Aubert; 외. (1974). “Experimental Observation of a Heavy Particle J”. 《Physical Review Letters33 (23): 1404. Bibcode:1974PhRvL..33.1404A. doi:10.1103/PhysRevLett.33.1404. 

추가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