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퀘이사군
보이기
(대형 퀘이사군에서 넘어옴)
시리즈의 일부 |
물리 우주론 |
---|
대폭발(빅뱅) · 우주 우주의 나이 우주의 역사 |
천문학 포털 |
거대퀘이사군(영어: large quasar group, LQG)은 우주에서 밝혀진 것 중 가장 큰 천문학적 구조로 여겨지는 퀘이사(초대질량 블랙홀이 있는 활동은하핵의 일종)의 집단이다. 거대퀘이사군은 상대적으로 가까운 우주에서 발견되는 은하 시트, 장성, 필라멘트의 전조로 여겨지고 있다.[1]
유명한 거대퀘이사군
[편집]2013년 1월 11일, 센트럴 랭크셔 대학에서 당시 우주에서 밝혀진 것 중 가장 큰 구조로써 초거대퀘이사군의 발견이 발표되었다. 초거대퀘이사군은 73개의 퀘이사로 구성되어 있고, 최소 길이가 14억 광년이고, 최대 길이는 40억 광년이 넘는다.[2] 연구자 및 저자, 로저 클로즈에 따르면, 초거대퀘이사군과 같은 규모의 구조의 존재는 이론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한다. 우주론적 구조의 최대 크기는 약 12억 광년으로 추정되어 왔다.[3][4]
거대퀘이사군 목록
[편집]LQG | 발견일 | 평균 거리 | 크기 | 퀘이사 개수 | 특이사항 |
---|---|---|---|---|---|
웹스터 LQG (LQG 1) |
1982 | z=0.37 | 100 Mpc | 5 | 최초로 발견된 LQG. 발견 당시에 이 LQG는 밝혀진 것 중 가장 거대한 구조였다.[1][5][6] |
크램프턴–카울리–하트윅 LQG (LQG 2, CCH LQG, 콤버그-크라프초프-루카슈 LQG 10) |
1987 | z=1.11 | 60 Mpc | 28 | 두번째로 발견된 LQG.[1][5][7] |
클로즈-캄푸사노 LQG (U1.28, CCLQG, LQG 3) |
1991 | z=1.28 |
|
34 | 세번째로 발견된 LQG.[5][8] |
1995 | z=1.9 | 120 Mpc/h | 10 | 그라함, 클로즈, 캄푸사노에 의해 발견.[1][7][9] | |
1995 | z=0.19 | 60 Mpc/h | 7 | 그라함, 클로즈, 캄푸사노에 의해 발견. 7개의 세이퍼트 은하가 모여 있음.[1][7][9] | |
콤버그-크라프초프-루카슈 LQG 1 | 1996 | z=0.6 | R=96 Mpc/h | 12 | 콤버그, 크라프초프, 루카슈에 의해 발견.[1][7] |
콤버그-크라프초프-루카슈 LQG 2 | 1996 | z=0.6 | R=111 Mpc/h | 12 | 콤버그, 크라프초프, 루카슈에 의해 발견.[1][7] |
콤버그-크라프초프-루카슈 LQG 3 | 1996 | z=1.3 | R=123 Mpc/h | 14 | 콤버그, 크라프초프, 루카슈에 의해 발견.[1][7] |
콤버그-크라프초프-루카슈 LQG 4 | 1996 | z=1.9 | R=104 Mpc/h | 14 | 콤버그, 크라프초프, 루카슈에 의해 발견.[1][7] |
콤버그-크라프초프-루카슈 LQG 5 | 1996 | z=1.7 | R=146 Mpc/h | 13 | 콤버그, 크라프초프, 루카슈에 의해 발견.[1][7] |
콤버그-크라프초프-루카슈 LQG 6 | 1996 | z=1.5 | R=94 Mpc/h | 10 | 콤버그, 크라프초프, 루카슈에 의해 발견.[1][7] |
콤버그-크라프초프-루카슈 LQG 7 | 1996 | z=1.9 | R=92 Mpc/h | 10 | 콤버그, 크라프초프, 루카슈에 의해 발견.[1][7] |
콤버그-크라프초프-루카슈 LQG 8 | 1996 | z=2.1 | R=104 Mpc/h | 12 | 콤버그, 크라프초프, 루카슈에 의해 발견.[1][7] |
콤버그-크라프초프-루카슈 LQG 9 | 1996 | z=1.9 | R=66 Mpc/h | 18 | 콤버그, 크라프초프, 루카슈에 의해 발견.[1][7] |
콤버그-크라프초프-루카슈 LQG 11 | 1996 | z=0.7 | R=157 Mpc/h | 11 | 콤버그, 크라프초프, 루카슈에 의해 발견.[1][7] |
콤버그-크라프초프-루카슈 12 | 1996 | z=1.2 | R=155 Mpc/h | 14 | 콤버그, 크라프초프, 루카슈에 의해 발견.[1][7] |
뉴먼 LQG (U1.54) |
1998 | z=1.54 | 150 Mpc/h | 21 | P.R. 뉴먼 등에 의해 발견. CCLQG의 발견과 함께, 이 구조는 CCLQG와 매우 유사함이 밝혀졌다. 나중에 거시공동 거품과 은하 장성이 발견됨으로써, 이 시대에 이미 시트와 거시공동의 세포 구조가 존재했음을 시사하고 있다.[1][8] |
테슈–엥겔스 LQG | 2000 | z=0.27 | 140 Mpc/h | 7 | X-선으로 처음 발견된 LQG.[1] |
U1.11 | 2011 | z=1.11 |
|
38 | [5][8] |
초거대퀘이사군 (U1.27) |
2013 | z=1.27 |
|
73 | 나중에 헤라클레스자리-북쪽왕관자리 장성의 발견으로 가려지기 전까지 관측 가능한 우주에서 가장 거대한 구조였다.[5][10][11][12][13] |
같이 보기
[편집]더 읽어보기
[편집]- Clowes제목=광역 천문학의 새로운 시대, R.G. (2001). ASP Conference Series 232.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Bibcode:2001ASPC..232..108C. ISBN 1-58381-065-X.
|제목=
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Clowes, R.G. (2001). 〈Large Quasar Groups - A Short Review〉. 《The New Era of Wide Field Astronomy》. ASP Conference Series 232.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Bibcode:2001ASPC..232..108C. ISBN 1-58381-065-X.
- ↑ Wall, Mike (2013년 1월 11일). “Largest structure in universe discovered”. Fox News.
- ↑ Wall, Mike (2013년 1월 11일). “Largest Structure In Universe, Large Quasar Group, Challenges Cosmological Principle”. 《The Huffington Post》.
- ↑ Clowes, Roger; Kathryn A. Harris, Srinivasan Raghunathan, Luis E. Campusano, Ilona K. Söchting, Matthew J. Graham. (2013년 1월 11일). “A structure in the early Universe at z ∼ 1.3 that exceeds the homogeneity scale of the R-W concordance cosmology”.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arXiv:1211.6256. Bibcode:2013MNRAS.429.2910C. doi:10.1093/mnras/sts497.
- ↑ 가 나 다 라 마 Clowes, Roger G.; Harris, Kathryn A.; Raghunathan, Srinivasan; Campusano, Luis E.; Soechting, Ilona K.; Graham, Matthew J. (2013년 1월 11일). “A structure in the early universe at z ~ 1.3 that exceeds the homogeneity scale of the R-W concordance cosmology”.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Bibcode:2012arXiv1211.6256C. doi:10.1093/mnras/sts497.
- ↑ Webster, Adrian (May 1982). “The clustering of quasars from an objective-prism survey”.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199: 683–705. Bibcode:1982MNRAS.199..683W.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Komberg, Boris V.; Andrey V. Kravtsov, Vladimir N. Lukash. “The search and investigation of the Large Groups of Quasars”. Bibcode:1996astro.ph..2090K.
- ↑ 가 나 다 Clowes, Roger; Luis E. Campusano, Matthew J. Graham and Ilona K. S¨ochting (2001년 9월 1일). “Two close Large Quasar Groups of size ∼ 350 Mpc at z ∼ 1.2”. 《Mon. Not. R. Astron. Soc》. arXiv:1108.6221.
- ↑ 가 나 Graham, M. J.; Clowes, R. G.; Campusano, L. E. (1995년 8월). “Finding Quasar Superstructure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275 (3): 790. Bibcode:1995MNRAS.275..790G.
- ↑ ScienceDaily, "Biggest Structure in Universe: Large Quasar Group Is 4 Billion Light Years Across", Royal Astronomical Society, 11 January 2013 (accessed 13 January 2013)
- ↑ Horvath I., Hakkila J., and Bagoly Z. (2014). “Possible structure in the GRB sky distribution at redshift two”.
- ↑ Horvath I., Hakkila J., and Bagoly Z. (2013). “The largest structure of the Universe, defined by Gamma-Ray Bursts”. arXiv:1311.1104. Bibcode:2013arXiv1311.1104H.
- ↑ “Universe's Largest Structure is a Cosmic Conundrum”. discovery. 2013년 11월 19일. 2015년 3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22일에 확인함. 이름 목록에서
|이름1=
이(가) 있지만|성1=
이(가) 없음 (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