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추야자
보이기
대추야자 |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외떡잎식물군 |
(미분류): | 닭의장풀군 |
목: | 종려목 |
과: | 종려과 |
속: | 대추야자속 |
종: | 대추야자 |
학명 | |
Phoenix dactylifera | |
L. |
100 g (3.5 oz)당 영양가 | |
---|---|
에너지 | 1,178 kJ (282 kcal) |
75.03 g (2.647 oz) | |
당분 | 63.35 g (2.235 oz) |
식이 섬유 | 8 g (0.28 oz) |
0.39 g (0.014 oz) | |
2.45 g (0.086 oz) | |
비타민 | 함량 %DV† |
비타민 A (동등) | 0% 6 μg75 μg |
비타민 A | 10 IU |
티아민 (B1) | 5% 0.052 mg |
리보플라빈 (B2) | 6% 0.066 mg |
나이아신 (B3) | 8% 1.274 mg |
판토테산 (B5) | 12% 0.589 mg |
비타민 B6 | 13% 0.165 mg |
엽산 (B9) | 5% 19 μg |
비타민 C | 0% 0.4 mg |
비타민 E | 0% 0.05 mg |
비타민 K | 3% 2.7 μg |
무기질 | 함량 %DV† |
칼슘 | 4% 39 mg |
철분 | 8% 1.02 mg |
마그네슘 | 12% 43 mg |
망간 | 12% 0.262 mg |
인 | 9% 62 mg |
칼륨 | 14% 656 mg |
나트륨 | 0% 2 mg |
아연 | 3% 0.29 mg |
기타 성분 | 함량 |
수분 | 20.53 g (0.724 oz) |
†미국 국립학술원의 전문가 권고를 바탕으로 추정된 칼륨의 경우를 제외하고,[1] 모든 수치는 미국의 성인 권장량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임.[2] |
대추야자(학명: Phoenix dactylifera, 영어: date 또는 date palm)는 종려과에 속하는 상록 교목이다.
개요
[편집]동양에서 널리 재배하는 대추나무는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것으로 이 대추야자와는 속성이 전혀 다른 것이다. 이 나무의 열매가 대추나무의 열매와 유사하다고 하여 대추야자라 부르게 된 것이다.
역사
[편집]대추와 유사하게 생긴 열매는 식용하며, 중동 지역에서는 주식에 가까울 정도로 널리 먹는다. 대추야자와 그 열매는 오래전부터 널리 알려졌던 것이며, 성서에 여러 차례 나오는 종려나무도 바로 이 대추야자나무를 의미하는 것이다[3]. 현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장에 새겨져 있는 야자나무도 이 대추야자나무이다. 가나와 사우디아라비아의 국화이기도 하다.
특징
[편집]건조기후 지역에서 잘 자라며, 중간 크기의 나무의 높이는 15m~25m, 잎 길이는 3m~5m에 달한다. 중동 지역에서 여전히 널리 재배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생산지
[편집]대추야자는 중동인 서남아시아와 북아프리카의 사막지역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식물이며, 이집트,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파키스탄의 순으로 많이 생산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4]
상위 10대 생산국 – 2017년 (단위: 톤) | ||
---|---|---|
이집트 | 1,542,111 | |
사우디 아라비아 | 1,224,192 | |
이란 | 1,202,200 | |
알제리 | 1,058,559 | |
이라크 | 618,818 | |
파키스탄 | 440,606 | |
수단 | 439,355 | |
오만 | 360,917 | |
UAE | 344,714 | |
튀니지 | 260,000 | |
World | 8,384,286 | |
출처: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5] |
쓰임새
[편집]대추야자는 열매, 씨 등의 식용이 가능하며, 중동 요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식재료이다.
갤러리
[편집]-
대추야자나무
-
대추야자열매
각주
[편집]- ↑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s, Engineering, and Medicine; Health and Medicine Division; Food and Nutrition Board; Committee to Review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Sodium and Potassium (2019). 〈Chapter 4: Potassium: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Adequacy〉. Oria, Maria; Harrison, Meghan; Stallings, Virginia A.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Sodium and Potassium》. The National Academies Collection: Reports funded by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US). 120–121쪽. doi:10.17226/25353. ISBN 978-0-309-48834-1. PMID 30844154. 2024년 12월 5일에 확인함.
- ↑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24). “Daily Value on the Nutrition and Supplement Facts Labels”. 《FDA》. 2024년 3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3월 28일에 확인함.
-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5&aid=0000211152
- ↑ “보관된 사본”. 2007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14일에 확인함.
- ↑ “FAOSTAT:Crops”. Elements:Production Quantity / Items:Dates. 2018년 3월 2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