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뇌전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뇌전증
진료과신경과, epileptology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빈도0.9%

뇌전증(腦電症, epilepsy) 또는 간질(癎疾)은 이유 없는 발작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적인 신경질환이다.[1][2][3] 대뇌 피질에서의 비정상적이고 강렬한 흥분이 발작의 원인이 되며, 발작의 길이와 주기는 다양하고 특별한 전조증상은 없다.[4][5] 대뇌 피질의 비정상적 흥분은 뇌전도(EEG)로 진단한다.[6]

뇌전증은 원인 미상인 경우(특발성)이 가장 많으나, 뇌손상, 뇌졸중, 뇌종양, 감염, 선천성 장애로 생기는 경우는 그 발병기전(epileptogenesis)가 알려져 있다.[7][8] 돌연변이로 발생하는 경우는 적다.[9][10]

옛날에는 지랄병으로 불렀다.

뇌전증은 발작(Convulsion)과 경련(Seizure) 을 동반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등으로 구분된다.

또는 전간(癲癎)이라고도 하며, 과거에는 간질이 정식 명칭으로 사용되었으나, 2009년 6월 7일 대한간질학회에서 용어를 뇌전증으로 바꾸기로 최종 의결하였다.[11][12]

간질 자체가 잘못된 용어는 아니지만 사회적 편견이 심하고, 간질이라는 용어가 주는 사회적 낙인이 심하기 때문에 뇌전증이라는 용어로 변경되었다. 용어는 변경되었으나 뇌전증과 관련해서는 명명법 이외에는 바뀐 것이 없으며 진단과 치료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13]

관리

[편집]

뇌전증은 부분발작인가 전신발작인가에 따른 차이는 있지만 일단 보통 약으로 치료하거나 적당량의 칼륨 음식으로 균형있게 섭취한다. 몇몇 사례의 경우 미주신경자극술이나 케톤식이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심각한 경우에는 신경외과적 술기를 시행하거나 평생동안 항경련제(브롬화칼륨)로 투약하기도 한다.[14][15]

각주

[편집]
  1. Chang BS, Lowenstein DH (September 2003). “Epilepsy”.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9 (13): 1257–66. doi:10.1056/NEJMra022308. PMID 14507951. 
  2. Fisher RS, Acevedo C, Arzimanoglou A, Bogacz A, Cross JH, Elger CE, Engel J, Forsgren L, French JA, Glynn M, Hesdorffer DC, Lee BI, Mathern GW, Moshé SL, Perucca E, Scheffer IE, Tomson T, Watanabe M, Wiebe S (April 2014). “ILAE official report: a practical clinical definition of epilepsy”. 《Epilepsia》 55 (4): 475–82. doi:10.1111/epi.12550. PMID 24730690. S2CID 35958237. 
  3. Ghosh, Shampa; Sinha, Jitendra Kumar; Khan, Tarab; Devaraju, Kuramkote Shivanna; Singh, Prabhakar; Vaibhav, Kumar; Gaur, Pankaj (May 2021). “Pharmacological and Therapeutic Approaches in the Treatment of Epilepsy”. 《Biomedicines》 (영어) 9 (5): 470. doi:10.3390/biomedicines9050470. PMC 8146518. PMID 33923061. 
  4. “Epilepsy Fact sheet”. 《WHO》. February 2016. 2016년 3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3월 4일에 확인함. 
  5. Fisher R, van Emde Boas W, Blume W, Elger C, Genton P, Lee P, Engel J (2005). “Epileptic seizures and epilepsy: definitions proposed by the International League Against Epilepsy (ILAE) and the International Bureau for Epilepsy (IBE)”. 《Epilepsia》 46 (4): 470–2. doi:10.1111/j.0013-9580.2005.66104.x. PMID 15816939. 
  6. Fisher R, van Emde Boas W, Blume W, Elger C, Genton P, Lee P, Engel J (2005). “Epileptic seizures and epilepsy: definitions proposed by the International League Against Epilepsy (ILAE) and the International Bureau for Epilepsy (IBE)”. 《Epilepsia》 46 (4): 470–2. doi:10.1111/j.0013-9580.2005.66104.x. PMID 15816939. 
  7. Hammer, Gary D.; McPhee, Stephen J., 편집. (2010). 〈7〉. 《Pathophysiology of disease : an introduction to clinical medicine》 6판. New York: McGraw-Hill Medical. ISBN 978-0-07-162167-0. 
  8. Goldberg EM, Coulter DA (May 2013). “Mechanisms of epileptogenesis: a convergence on neural circuit dysfunction”. 《Nature Reviews. Neuroscience》 14 (5): 337–49. doi:10.1038/nrn3482. PMC 3982383. PMID 23595016. 
  9. Longo, Dan L (2012). 〈369 Seizures and Epilepsy〉.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8판. McGraw-Hill. 3258쪽. ISBN 978-0-07-174887-2. 
  10. Pandolfo, M. (Nov 2011). “Genetics of epilepsy.”. 《Seminars in Neurology》 31 (5): 506–18. doi:10.1055/s-0031-1299789. PMID 22266888. 
  11. “간질 명칭 ‘뇌전증’으로 바뀐다”. 경향신문. 2009년 6월 7일. 2013년 4월 26일에 확인함. 
  12. 김병군 기자 (2012년 6월 18일). “간질이라 불리던 '뇌전증' 약물치료만 해도 70% 이상 완치”. 부산일보. 2013년 4월 26일에 확인함. 
  13.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2018년 9월 8일에 확인함. 
  14. Trost LF, Wender RC, Suter CC, Von Worley AM, Brixner DI, Rosenberg JH, Gunter MJ (2005년 12월). “Management of epilepsy in adults. Treatment guidelines”. 《Postgraduate Medicine》 118 (6): 29–33. PMID 16382763. 
  15. Hartzfeld, P; Elisevich K, Pace M, Smith B, Gutierrez JA (2008). “Characteristics and surgical outcomes for medial temporal post-traumatic epilepsy”. 《Br J Neurosurg》 22 (2): 224–230. doi:10.1080/02688690701818901.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