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김용운 (교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용운
연구실에서의 모습
출생1927년 9월 6일(1927-09-06)
일본 도쿄
사망2020년 5월 30일(2020-05-30)(92세)
대한민국
성별남성
직업학자
학문적 배경
학력캐나다 앨버타 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학문적 활동
분야수학, 철학, 인류학, 언어학
하위 분야위상수학, 미적분학, 수학사, 문화인류학, 비교언어학
소속 기관한국수학문화연구소
영향받음장기원[1]

김용운(金容雲, 1927년 9월 6일 ~ 2020년 5월 30일)은 대한민국수학자, 철학자, 문명 비평가이다. 수학, 철학, 인류학, 언어학의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였으며, 한국의 수학사를 확립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양대학교 수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본관은 광산이다.[2]

생애

[편집]

김용운은 1927년 일본 도쿄에서 태어났다.[3] 와세다 대학을 입학한 해에 해방을 맞았고, 1946년에 아버지의 고향인 전라남도 나주로 귀향하였다.[4] 1947년부터 목포고등학교, 광주제일고등학교 등에서 수학 교사로 재직하면서 수학을 대중화할 필요성을 느꼈고, 후일 여러 수학 대중서를 집필하는 계기가 되었다.[5] 10여 년 동안 교편을 잡은 뒤 미국과 캐나다에서 유학하면서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4]

1970년대 후반에는 수학사를 연구하였고, 1980년대부터는 수학과 역사를 접목하며 한국과 일본을 비교문화적으로 분석해 왔다.[5] 공동체의 집단 무의식을 뜻하는 원형과 공동체가 놓인 풍토가 언어와 역사의 발달에 관여하였다는 구조주의 원형사관을 창안하였다.[4] 1983년에 한국수학사학회를 창립하여 초대 회장을 맡았으며[6], 1994년에는 자신의 동생인 김용국 한양대학교 교수와 함께 웅진출판(현재의 웅진씽크빅)의 수학 학습지 브랜드인 웅진용운수학의 개발 과정에 참여하였는데 이는 웅진의 학습지 브랜드인 씽크빅의 전신이기도 하다.[7][8] 평생 150여 권의 책을 집필하였다.[3]

학력

[편집]

경력

[편집]
  •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 조교수 (1962-1965)
  • 일본 고베 대학 객원교수
  • 일본 도쿄 대학 객원교수
  • 일본 국제문화연구센터 객원교수
  • 한양대학교 수학과 교수 (1969-1993)
  • 한국수학사학회 회장
  • 한양대학교 수학과 명예교수 (1994-2020)
  • 방송문화진흥원 이사장 (2000-2003)
  • 한국수학문화연구소 소장

저서

[편집]

각주

[편집]
  1. 이상구; 이재화 (2011). “최초의 한국수학사 전문가 張起元” (PDF). 《제47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프로시딩》 (한국수학교육학회): 69. 2020년 5월 31일에 확인함. 
  2. 김창욱 (1982년 7월 3일). “광산김씨”. 중앙일보. 2020년 5월 31일에 확인함. 
  3. 임동근 (2020년 5월 30일). “한국 수학사 확립의 일등공신 김용운 교수 별세(종합)”. 연합뉴스. 2020년 5월 31일에 확인함. 
  4. 강성만 (2018년 8월 19일). ““북한은 ‘핵이란 독을 바른 토끼’…한반도 중립화 기회죠””. 한겨레. 2020년 5월 31일에 확인함. 
  5. 이영미 (1999년 11월 1일). “수학자 김용운의 1백번째 저서 ‘카오스의 날개짓’”. 국민일보. 2020년 5월 31일에 확인함. 
  6. “학회소개”. 《한국수학사학회》. 2020년 5월 31일에 확인함. 
  7. “이제부터의「수학」 “저, 김용운이 맡겠습니다””. 동아일보. 1994년 1월 21일. 2020년 5월 31일에 확인함. 
  8. “[학습지 업체] 웅진씽크빅”. 중앙일보. 2000년 11월 22일. 2020년 5월 31일에 확인함. 
  9. 김용운 (2006년 1월 1일). “[특별기고] 김용운 교수‥國格을 높여야 '한민족 르네상스' 이룬다”. 한국경제. 2020년 5월 31일에 확인함. 
  10. 조연수 (2015년 10월 9일). “[OBS '명불허전'] 수학자 김용운 교수 "한중일 뿌리 깊은 갈등, 고대사에 그 답이 있다". OBS. 2020년 5월 3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