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고려왕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려왕릉(高麗王陵)은 고려역대 국왕왕비의 무덤으로 개성, 장풍군,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위치한다.

개요

[편집]

고려의 역대 국왕과 왕비, 추존왕과 추존왕비의 능으로, 폐위된 우왕창왕의 능은 조성되지 않았으며 우왕의 생모인 순정왕후의 의릉(懿陵)은 1389년 12월 철거되었다.[1] 마지막 왕인 공양왕의 능은 2기가 존재하나 어느 것이 진짜 무덤인지 불확실하다.

개성을 수도로 두었던 고려왕조의 역사성으로 인해서 일부 왕릉을 제외한 나머지가 대부분 북한 지방에 많이 존재하는 편이며 강화 천도기에 만들어진 고려왕릉 5기가 대한민국에 존재한다.

고려의 왕릉은 개성 부근 산악지대에 분포하고 있으며, 능의 소재가 분명한 것은 태조의 능인 현릉(顯陵)을 비롯한 19릉이다. 고려의 왕릉은 이민족의 침입과 병란으로 인한 도굴 및 조선시대의 개축 등을 거치면서 원형이 많이 변하였으나, 현릉, 소릉과 칠릉군(七陵群)은 원형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되었다. 왕릉의 발굴과 관련하여 2016년 6월, 북한 개성에서 9대 덕종숙릉과 10대 정종(靖宗)의 주릉 등 고려왕릉 2기가 새롭게 발굴되었다.[2]

고려왕릉의 능역은 남북으로 긴(18×36m) 장방형에 돌담은 동서북 3면으로 두르고 능 앞에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려오면서 네 개의 층을 두고 단이 낮아져 최상단에는 능과 석상, 망주석이, 제2단에는 장명등을 사이에 두고 문석인을 세웠으며, 제3단에는 무석인을, 제4단에는 정자각과 능비를 세웠다. 능의 봉분 높이는 3∼5m이며 지름은 6∼9m 정도로 그 하부는 신라 왕릉에서처럼 면석과 십이지상의 호석을 둘렀고 그 밖으로 돌난간과 석수가 배치되었다.

919년 철원에서 개경으로 천도하면서 대다수의 왕릉은 개경과 경기 주변에 설치되었으나 1232년 몽고의 침입으로 수도를 강화도로 천도하면서 1270년 개경으로 환도하기까지 38년동안 왕릉은 강화도에 축조되었다. 희종의 석릉, 성평왕후의 소릉, 원덕왕후의 곤릉, 고종의 홍릉, 순경태후의 가릉을 포함하여 경기도 고양시강원특별자치도 삼척에 위치한 공양왕릉이 고려 왕릉중 유일하게 대한민국에 위치한다. 인천광역시는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를 설립하고 강화 고려왕릉의 세계문화유산을 추진하고 있다.[3]

공민왕노국공주가 묻힌 현정릉은 고려 왕릉중 유일하게 쌍봉 형식의 왕릉으로, 봉분 내부에 석실이 존재하며 석실안에는 벽화가 그려져 있고, 현릉과 정릉을 연결하는 작은 통로가 뚫려있는데,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형태의 왕릉이다.

세계문화유산

[편집]

태조 왕건신혜왕후 유씨의 합장릉인 현릉(顯陵), 공민왕노국공주가 묻힌 현정릉(玄正陵), 충목왕명릉(明陵)을 포함한 3개의 왕릉군인 명릉군(明陵群), 피장자가 명확하지 않은 현릉 북서쪽의 왕릉 7기를 포함한 칠릉군(七陵群)이 2013년 6월 23일, 프놈펜에서 열린 제37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 회의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4]

도굴 및 약탈

[편집]
  • 1059년 (문종 13년) 음력 5월, 태조의 현릉 묘실에 도둑이 들어 능실시위대장군 은정(殷貞) 등을 하옥하고 벌을 내렸다.[5]
  • 1208년 (희종 4년) 도적이 안종의 무릉을 도굴하였다.
  • 1217년 (고종 4년) 거란군공예태후의 순릉을 도굴하였다.[6]
  • 1255년 (고종 42년) 몽고의 침략으로 훼손된 명종의 지릉을 보수하였다.
  • 1256년 (고종 43년) 도적이 강종의 능을 파헤쳤다.
  • 1288년 (충렬왕 14년) 도적이 목종선정왕후의 의릉을 도굴하여 은그릇을 가져갔다.[7]
  • 1332년 (충혜왕 2년) 음력 2월, 충렬왕비 제국대장공주의 고릉이 도굴당하다.[8]
  • 1365년 (공민왕 14년) 음력 3월, 왜적이 창릉을 침범해 세조의 영정을 탈취하여 새로 봉안하였다.[9]
  • 일제강점기인종의 장릉 도굴과정에서 황통 6년명 인종시책문과 국보 제94호 청자참외모양병이 출토되어 유출되었다.[10]

왕릉 목록

[편집]
태조왕건릉
공민왕릉의 양 조각상
공민왕릉의 조각상
묘호 및 시호 능호 피장자 건립시기 소재지 지정번호
추존 의조 懿祖 온혜릉 溫鞋陵 의조 미상
세조 世祖 창릉 昌陵 세조-위숙왕후 황해북도 개풍군 남포리 북한 보존급유적 제554호
제1대 태조 太祖 현릉
수릉
정릉
顯陵
壽陵
貞陵
태조-신혜왕후
신정왕후
신성왕후
943년
983년
1010년
황해북도 개풍군 중서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북한 국보 제179호
북한 보존급유적 제573호
제2대 혜종 惠宗 순릉 順陵 혜종-의화왕후 945년 개성 가하동 북한 보존급유적 제946호
제3대 정종 定宗 안릉 安陵 정종-문공왕후 949년 개풍군 북한 보존급유적 제552호
제4대 광종 光宗 헌릉 憲陵 광종 975년 개풍군 영남면 북한 보존급유적 제545호
추존 대종 戴宗 태릉 泰陵 대종-선의왕후 981년 개풍군 중서면 곡잠리
안종 安宗 무릉 武陵 안종 1017년 개풍군 영남면
제5대 경종 景宗 영릉
유릉
원릉
榮陵
幽陵
元陵
경종-헌숙왕후
헌애왕후
헌정왕후
981년
1029년
1009년
개성
황해북도 장풍군 현화리
북한 보존급유적 제569호
북한 보존급유적 제571호
제6대 성종 成宗 강릉 康陵 성종-문덕왕후 997년 개성
제7대 목종 穆宗 의릉 義陵 목종-선정왕후 1012년 개성
제8대 현종 顯宗 선릉
화릉
회릉
명릉
의릉
宣陵
和陵
懷陵
明陵
宜陵
현종
원정왕후
원혜왕후
원성왕후
원평왕후
1031년
1018년
1022년
1028년
1028년
개풍군 해선리 북한 보존급유적 제547호
제9대 덕종 德宗 숙릉
질릉
肅陵
質陵
덕종
경성왕후
1034년
1086년
개풍군
제10대 정종 靖宗 주릉
현릉
周陵
玄陵
정종
용신왕후
1046년
1036년
제11대 문종 文宗 경릉
대릉
景陵
戴陵
문종
인예왕후
1083년
1092년
북한 보존급유적 제570호
제12대 순종 順宗 성릉 成陵 순종-선희왕후 1083년 개성 북한 보존급유적 제568호
제13대 선종 宣宗 인릉 仁陵 선종-사숙왕후 1094년
제14대 헌종 獻宗 은릉 隱陵 헌종 1097년
제15대 숙종 肅宗 영릉
숭릉
英陵
崇陵
숙종
명의왕후
1105년
1112년
개성 북한 보존급유적 제569호
제16대 예종 睿宗 유릉
자릉
수릉
裕陵
慈陵
綏陵
예종
경화왕후
순덕왕후
1122년
1109년
1118년
개풍군 청교면
제17대 인종 仁宗 장릉
순릉
長陵
純陵
인종
공예왕후
1146년
1183년
개풍군 청교면 장릉리
제18대 의종 毅宗 희릉 禧陵 의종-장경왕후 1175년
제19대 명종 明宗 지릉 智陵 명종-의정왕후 1202년 황해북도 장풍군
제20대 신종 神宗 양릉
진릉
陽陵
眞陵
신종
선정왕후
1204년
1222년
개풍군 청교면 양릉리 북한 보존급유적 제553호
제21대 희종 熙宗 석릉
소릉
碩陵
紹陵
희종
성평왕후
1237년
1247년
인천광역시 강화군 대한민국 사적 제369호
제22대 강종 康宗 후릉
곤릉
厚陵
坤陵
강종
원덕왕후
1213년
1239년
개풍군 영남면
인천 강화군
대한민국 사적 제371호(곤릉)
제23대 고종 高宗 홍릉 洪陵 고종 1259년 인천 강화군 대한민국 사적 제224호
제24대 원종 元宗 소릉
가릉
韶陵
嘉陵
원종
정순왕후
1274년
1237년
개성 룡흥리 내동
인천 강화군
북한 보존급유적 제562호
대한민국 사적 제370호
제25대 충렬왕 忠烈王 경릉
고릉
慶陵
高陵
충렬왕
장목왕후
1308년
1297년
개성 고릉동
제26대 충선왕 忠宣王 덕릉 德陵 충선왕 1325년
제27대 충숙왕 忠肅王 의릉
영릉
毅陵
令陵
충숙왕
공원왕후
1339년
1380년
제28대 충혜왕 忠惠王 영릉
경릉
永陵
頃陵
충혜왕
덕녕공주
1344년
1375년
제29대 충목왕 忠穆王 명릉 明陵 충목왕 1349년 개풍군 중서면 여릉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북한 보존급유적 제549호
제30대 충정왕 忠定王 총릉 聰陵 충정왕 1352년 개풍군 청교면
제31대 공민왕 恭愍王 현릉
정릉
玄陵
正陵
공민왕
노국공주
1372년
1365년
개풍군 중서면 여릉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북한 국보 제123호
제32대 우왕 禑王
제33대 창왕 昌王
제34대 공양왕 恭讓王 고릉
공양왕릉
高陵
恭讓王陵
공양왕-순비 노씨 미상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강원도 삼척시
대한민국 사적 제191호
강원기념물 제71호


기타

[편집]

각주

[편집]
  1. 고려사》 권45, 세가45 공양왕1년
    우왕의 모친의 무덤인 의릉을 철거하다
  2. “북한 "개성에서 고려시대 왕릉 2기 새로 발견". 2016년 6월 28일. 
  3. 이현준 기자.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내년5월 설립”. 경인일보. 2017년 2월 19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4. “연합뉴스, 北개성역사지구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종합)”. 
  5. 고려사》 권8, 세가8 문종2
    5월 을미일에 현릉 묘실에 도둑이 들었으므로 능실시위대장군 은정등을 하옥하고 벌을 내렸다
  6. 고려사》 권22, 세가22 고종1, (1217년 음력 3월 23일)
    거란군이 순릉을 도굴하다
  7. 고려사》 권30, 세가30 충렬왕3
    겨울 10월 계유일에 도둑이 의릉을 도굴하여 은그릇을 가져갔다
  8. 고려사》 권36, 세가36 충혜왕
    2월 정미일, 도둑이 고릉을 도굴하였다.
  9. 고려사》 권41, 세가41 공민왕4
    3월 계사일, 왜적이 창릉에 들어와 세조의 영정을 탈취하였다
  10. 김태식 기자. “국립중앙博 '고려왕실의 도자기' 테마전”.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