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릴레오 탐사정
갈릴레오 탐사정 Galileo Probe | |
갈릴레오와 분리되는 갈릴레오 탐사정 | |
임무 정보 | |
---|---|
관리 기관 | NASA |
임무 유형 | 대기권 진입 착륙 탐사 |
COSPAR ID | 1989-084C |
발사일 | 1989년 |
발사체 | 애틀랜티스 우주왕복선 |
발사 장소 | KSC |
목표 천체 | 목성 |
착륙일 | 1995년 12월 7일 |
착륙 장소 | 북위 06° 05′ 서경 04° 04′ / 북위 6.083° 서경 4.067° |
임무 기간 | 이동 기간 7년 탐사 기간 57분 |
임무 종료 | 1995년 |
추락일 | 1995년 |
추락 장소 | 북위 06° 05′ 서경 04° 04′ / 북위 6.083° 서경 4.067° |
웹사이트 | 웹사이트 |
우주선 정보 | |
제조 기관 | 휴즈 항공, JPL, MBB, 제네럴 일렉트릭 |
승무원 | 무인 |
중량 | 339 kg |
전력원 | 리튬 배터리 |
프로그램 | |
소속 프로그램 | 플래그쉽 프로그램 |
이전 임무 | 보이저 프로그램 |
이후 임무 | 카시니-하위헌스 |
갈릴레오 탐사정은 갈릴레오와 함께 목성에 가서 목성 대기권으로 진입해 목성의 대기에 대한 정보를 보낸 우주선이다.[1][2] 목적은 목성 대기압 측정, 풍속 측정, 기온 측정 등을 하여 목성의 대기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알아내는 것이다.[3] 1995년 갈릴레오와 분리되어[4] 목성 대기권을 탐사해 목성의 대기는 탄소, 질소, 산소, 아르곤 등이 대기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5] 대기압은 10바 이상이라는 것도 알았다. 우주선은 약 57분 동안 데이터를 수집하고 지구로 보내다가 산화되었다.[6]
역사와 제작배경
[편집]목성은 연구원들의 설문조사에서 가장 탐사하고 싶은 행성 1위로 뽑혔다.[7] 이에 NASA는 파이오니어 10호와 11호를 목성으로 보내고 보이저 1호와 2호를 보내는 등 목성 탐사에 집중했다. 이후에도 목성은 탐사 후보 1위로 계속 뽑혔고, NASA는 플래그쉽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갈릴레오 탐사정과 함께 갈릴레오를 목성으로 발사하기로 하여 갈릴레오과 함께 제작되었다.[8]
과학장비
[편집]HAD:대기 분석기로, 기압과 풍속, 구성 성분 등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으로,[9] 대기를 분석할 수 있게 외부의 파이프와 HAD를 연결해 구성 성분을 분석할 수 있게 장착되었다.[10] 이것으로 대기에 탄소, 질소, 산소, 아르곤, 메테인 등이 있다는 것을 알고,[11] 풍속과 압력도 알게 되었다.[12]
NMS:대기압과 동위원소 분석기로, 목성의 대기압과 동위원소를 분석하는 장비다. 이 장비로 목성의 대기압과 동위원소를 분석할 수 있었다.[13]
ASI:대기압과 기온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으로,[14] 목성의 대기압과 기온을 밝혀내었다.[15]
NFR:목성이 받는 태양 에너지 측정과 구름층의 고도도 함께 분석하는 것이 목적으로, 목성의 구름층 고도와 태양 에너지를 측정했다.[16]
NEP:목성의 구름의 자세한 목적으로,[17] 구름의 구성 성분, 구름의 압력 등을 측정했다.[18]
LRD:목성의 번개와 천둥 소리, 주변 소리 등을 녹음하고 분석하는 것이 목적으로,[19] 여러 소리를 녹음하였다.[20]
EPI:입자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으로,[21] 목성 대기권에서 4개의 입자를 분석하였다.[22]
발사
[편집]1989년 12월 8일,[23][24]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애틀랜티스에 실린 채로 발사되었으며,[25][26] 우주로 간 후에 애틀랜티스에서 발사되었다.[27]
추락
[편집]탐사정은 1995년 갈릴레오와 분리되어 목성의 대기권으로 떨어졌다.[28] 떨어지면서 계속 목성 대기압, 구성 성분, 기류의 흐름 등을 57분 간 보내오다가 마찰열과 대기압, 중력으로 신호가 끊겼다.[29][30]
지원, 개발, 투자
[편집]각주
[편집]- ↑ “Simulated rarefied entry of the Galileo Probe into the Jovian atmosphere”. 1995년 6월. 2018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GALILEO PROBE SUGGESTS PLANETARY SCIENCE REAPPRAISAL”. 1996년 1월 22일. 2018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Galileo probe interpretation indicating a neutrally stable layer in the Jovian troposphere”. 2017년 4월 26일. 2018년 8월 11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Galileo probe”. 2018년 10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The Galileo Probe”. 2018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김지현, 김동훈, 강선욱 (1999년 12월 24일). 《풀코스 우주여행》. 현암사. 75쪽. ISBN 89-323-1027-0.
- ↑ “Report on Space Science”. 1968년. 2018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Solar System Programs: Outer Planets Flagship”. 2018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Helium Abundance Detector (HAD)”. 2018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Helium Abundance Detector (HAD)”. 2018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The Jupiter Helium Interferometer experiment on the Galileo entry probe”. 1992년. 2018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The Jupiter Helium Interferometer experiment on the Galileo entry probe”. 1992년. 2018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Neutral Mass Spectrometer (NMS)”. 2018년 8월 10일에 확인함.
- ↑ “Atmospheric Structure Instrument (ASI)”. 2018년 8월 12일에 확인함.
- ↑ “Atmospheric Structure Instrument (ASI)”. 2018년 8월 12일에 확인함.
- ↑ “Net-flux Radiometer (NFR)”. 2018년 8월 12일에 확인함.
- ↑ “Nephelometer (NEP)”. 2018년 8월 12일에 확인함.
- ↑ “Nephelometer (NEP)”. 2018년 8월 12일에 확인함.
- ↑ “Lightning and Radio Emission Detector (LRD)”. 2018년 8월 12일에 확인함.
- ↑ “Lightning and Radio Emission Detector (LRD)”. 2018년 8월 12일에 확인함.
- ↑ “Energetic Particle Investigation (EPI)”. 2018년 8월 12일에 확인함.
- ↑ “Energetic Particle Investigation (EPI)”. 2018년 8월 12일에 확인함.
- ↑ “Galileo”. 2018년 8월 12일에 확인함.
- ↑ “"Galileo Early Cruise, Including Venus, First Earth, and Gaspra Encounters” (PDF). 1992년 5월 15일. 2018년 8월 12일에 확인함.
- ↑ “Galileo”. 2018년 8월 12일에 확인함.
- ↑ “Spacecraft Galileo: To Jupiter and Its Moons”. 2017년 3월 25일. 2018년 8월 12일에 확인함.
- ↑ 황근기, 이연호, 채연석 (2006년 10월 3일). 《Why? 로켓과 탐사선》. 예림당. 146쪽. ISBN 978-89-302-0648-8. 2018년 8월 12일에 확인함.
- ↑ “Galileo probe”. 2018년 10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김지현, 김동훈, 강선욱 (1999년 12월 24일). 《풀코스 우주여행》. 현암사. 75쪽. ISBN 89-323-1027-0.
- ↑ “The Galileo Probe”. 2018년 8월 1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