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여객
보이기
창립 | 1921년 3월 28일 |
---|---|
산업 분야 | 운수업 |
서비스 | 시내버스 시외버스 공항버스 |
본사 소재지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하슬라로 27 (홍제동)[1] |
사업 지역 | 속초영업소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중앙로 447 (장사동)[2] 동해영업소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일출로 570 (망상동)[3] 삼척영업소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중앙로 194-33 (남양동)[4] 정선영업소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 정선로 1226 (북실리) [5] 양양영업소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양양읍 양양로 23 (남문리) [6] |
핵심 인물 | 김연성 (대표이사) |
매출액 | 32,664,481,479원 (2019년 12월 31일) |
영업이익 | -548,124,116원 (2019년 12월 31일) |
자산총액 | 25,781,105,699원 (2019년 12월 31일) |
주요 주주 | 강원흥업: 2.13% 사회복지법인 동곡사회복지재단 : 97.87% |
종업원 수 | 352명 |
모기업 | 동곡사회복지재단 |
계열사 | 평창운수 |
자본금 | 126,585,000원 (2019년 12월 31일) |
강원여객(江原旅客)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를 연고로 하는 시내버스 및 시외버스, 여객선회사이고, 본사는 강원도 강릉시 하슬라로 27 (홍제동)에 있다.[7]
또한 사회복지법인 동곡사회복지재단이 최대주주로 있는 계열회사로 시내버스, 시외버스 운행에 있어 강원도 영동 지방에서는 최대 규모이며, 부산광역시, 광주광역시 등 강원도 강릉시를 기점으로 하는 전국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또한 강릉~동서울 31인승 차량을 배차운행하고 있고, 한때 전환고속 면허를 가진 적도 있었다. 평창군에 위치한 평창운수도 같은 계열사이다.
연혁
[편집]- 1921년 3월 8일 : 회사 설립
- 1975년 : 동부그룹에 인수되어 계열사로 편입되었다.
- 1985년 : 12월 17일: 평창영업소를 평창운수로 분사시켰다.
- 2000년 : 당시 방계회사인 평창운수와 함께 DB그룹 계열사에서 계열분리되었다.
- 2021년 3월 : 설립 100주년을 맞았다.
운행 노선
[편집]시내버스 운행 노선
[편집]시내버스 운영은 고성군과 연고가 있는 강릉시[8]를 제외한 강원도 영동 지방 전 지역과 정선군에서 운행하고 있다.
시외버스 운행 노선
[편집]- 동서울발
- 춘천발
- 춘천~장평~강릉
- 춘천~장평~강릉~동해~삼척
- 원주발
- 원주~강릉
- 원주~장평~진부~횡계~강릉
- 원주~장평~대화~평창~정선
- 원주~마산~창원[11]
- 원주~동해~삼척~임원~호산
- 강릉발
- 강릉~장평~평창~영월~제천
- 강릉~인천
- 강릉~우만동~수원
- 강릉(~구리)~의정부(~동두천)
- 강릉~김포국제공항~인천국제공항
- 강릉~오산~송탄~평택
- 강릉~임계~정선
- 강릉~장평~군포~안산
- 강릉~안양~부천[12]
- 강릉~천안
- 강릉~삼척
- 강릉~동해
- 강릉~청주
- 강릉~광주광역시 (금호고속 광신고속 공동운행)
- 강릉~북대구
- 강릉~양양~속초
- 강릉~속초
- 강릉~양양~속초~거진
- 속초발
- 속초~강릉~영주~안동~구미(경북고속 공동 운행)
- 속초~양양~강릉~북대구
- 속초~물치~낙산~양양~강릉~울진~포항~동대구
- 속초~물치~낙산~양양~강릉~동해~울산
- 삼척발
- 삼척~동해~성남
- 삼척~동해~고양
- 부산발
- 부산~강릉
- 부산~포항~동해~강릉~속초
주요 차량
[편집]- 디피코 HU-SKY
각주
[편집]- ↑ 본사의 시외버스 면허등록지
- ↑ 속초시의 시내버스 면허등록지
- ↑ 동해시의 시내버스 면허등록지
- ↑ 삼척시내버스 면허등록지
- ↑ 정선군의 농어촌버스 면허등록지
- ↑ 양양군의 농어촌버스 면허등록지
- ↑ 면허등록지는 강릉 본사 및 속초시 중앙로 447 (장사동) 속초영업소, 동해시 일출로 570 (망상동) 동해영업소, 삼척시 중앙로 194-33 (남양동) 삼척영업소, 정선군 정선읍 정선로 1226 정선여객버스터미널 내 정선영업소, 양양군 양양읍 양양로 23 양양시외버스터미널 내 양양영업소 등에 분산되어 있다.
- ↑ 강릉시는 동진버스가 거의 독점 운행된다.
- ↑ 일부시간대에 주문진과 덕구온천까지 운행하는 지선노선이 존재한다.
- ↑ 일부시간대에 장평을 경유하거나 안흥을 경유한다.
- ↑ 왕복 1회 강릉 연장
- ↑ 부천에서 만석 시 안양을 경유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