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카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호탄어에서 넘어옴)

사카어
사용 국가 호탄 왕국
사용 지역 타림분지
사용 민족 사카
사멸 11세기
문자 브라흐미 문자
카로슈티 문자
언어 계통 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
  이란어군
   동부 이란어군
    사카어
언어 부호
ISO 639-2 kho
ISO 639-3 kho 사카어
호탄어 12지
BLI6 OR11252 1R2 1
호탄어 운문
BLE4 IOLKHOT50 4R1 1
호탄어 불경
BLX3542 OR9614 5R1 1

사카어(Saka language)는 동부 이란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고대 불교국인 호탄 왕국, 카슈가르(소륵) 및 타림분지툼슈크 등지에서 사용되었다. 중세 이란어군 언어이다.[1] 두 왕국의 방언 차이에 따라 호탄어(Khotanese) 또는 툼슈크어(Tumshuqese)라고 한다.

서인도의 사카족 지배층인 인도스키타이인서사트라프인은 실질적으로 같은 언어를 사용했다.[2]

나무와 종이에 적힌 문서들은 4세기에서 11세기에 걸쳐 나타나며 변형된 브라흐미 문자로 작성되었다.[3] 호탄어보다 툼슈크어가 더 고형으로 나타나지만,[4] 호탄어에 비해 출토 문헌 수가 적어 이해도가 떨어진다. 호탄어 방언은 현대 와히어(Wakhi)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믿어진다.[5][6][7] 사카어는 현대 문헌에서 Hvatanai로도 알려져 있다.[8] 많은 프라크리트어 어휘가 호탄어에서 토하라어로 차용되었다.[9]

역사

[편집]

현재 알려진 사카어의 두 방언은 스키타이족의 이주와 관련이 있다. 중국 문헌에 이 지역에서 발생한 침략은 기록된 바 없으며, 일설로는 중국 측 문헌에 기록되기 전인 기원전 200년경에 두 방언을 사용하는 두 사카 집단이 이 지역에 정착했다고 말해진다.[10]

호탄어 방언은 7세기에서 10세기 사이에 문증되며, 일부는 5세기에서 6세기까지 소급되기도 한다. 툼슈크어의 자료는 매우 적으며, 정확한 연대를 추정하는 것은 어려우나 대부분이 7세기 후반에서 8세기에 걸칠 것으로 생각된다.[11][12]

사카어는 튀르크계 무슬림 집단이 호탄 왕국을 정복한 이후, 신장 지역이 이슬람화·튀르크화되면서 소멸했다

11세기의 언어학자 마흐무드 알카슈가리는 호탄인들이 아직 독자적인 언어와 문자를 가지고 있으며, 터키어를 잘 구사하지 못했다고 하였다.[13][14] 그의 기술에 따르면 칸차키어와 소그드어와 같이 튀르크계가 아닌 언어가 아직 사용된 지역도 있었다.[15] 이 칸차키어가 사카어의 일종으로 믿어진다.[16] 타림분지가 11세기 말까지 언어적으로 튀르크화되었다고 믿어진다.[17]

계통

[편집]

호탄어와 툼슈크어는 서로 근연 관계에 있는 동부 이란어군 언어이다.[18]

고대 호탄어 음운

[편집]

호탄어의 음운 연구는 비교적 활발히 진행된 반면, 툼슈크어 음운체계의 재구는 자료의 부족으로 인하여 아직 시도된 바가 없다.

모음

[편집]
호탄어의 모음[19]
호탄어 전사 IPA 음소 IPA 음성
a /a/ [a]
ā /a:/ [a:]
i /i/ [i]
ī /i:/ [i:]
u /u/ [u]
ū /u:/ [u:]
ä /ə/ [ə]
e /e:/[a] [æ~æ:][b]
o /o:/[a] [o~o:][b]
ai /ai̯/
au /au̯/
ei /ae̯/

호탄어는 이른 시기에 11개의 모음 음소를 지닌 것으로 나타나지만 후대에는 여섯 가지 모음 음소 /i/ /u/ /e/ /o/ /ə/ /ɑ/로 대체되었다.

이중모음 /ɑi/ /ɑu/ /ɑə/는 후대에 단모음화되었다.

자음

[편집]
호탄어의 자음
양순음 치경음 권설음 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파열음 무성 무기 tt, t /t/ /ʈ/ k /k/ (t, g [ʔ])[c]
유기 ph /pʰ/ th /tʰ/ ṭh /ʈʰ/ kh /kʰ/
유성 p /b/ t, d /d/ /ɖ/ gg /ɡ/
파찰음 무성 무기 tc /ts/ kṣ /ʈʂ/ c, ky /tʃ/
유기 ts /tsʰ/ ch /tʃʰ/
유성 js /dz/ j, gy /dʒ/
마찰음 t /ð/ (이후 > ʔ) g /ɣ/ (이후 > ʔ)
치찰음 무성 s /s/ ṣṣ, /ʂ/ śś, ś /ʃ/ h /h/
유성 ys /z/ /ʐ/ ś /ʒ/
비음 m /m/ n, , /n/ /ɳ/ ñ /ɲ/
접근음 중선 v /w/
hv /wʰ///hʷ/
rr, r /ɹ/ r /ɻ/ y /j/
측면 l /l/

호탄어의 자음은 41개 혹은 42개의 음소로 나타난다.

소리 변화

[편집]

호탄어는 전반적인 약화(lenition), 권설음 및 무성 유기음의 발달이 특징적이다.[20]

공통 사카어의 공통 개신
  • , *j́s, ys, 단 *ćw, *j́wśś, ś
  • *ft, *xt*βd, *ɣd
  • 어두 혹은 모음 및 *r 뒤에서 약화 *b, *d, *g, ð, ɣ
  • 비음 + 무성 자음 → 비음 + 유성 자음 (*mp, *nt, *nč, *nk*mb, *nd, *nj, *ng)
  • *ər (성절자음) → *ur (순음 앞에서 *m, *p, *b, ); → *ir 혹은 *ar (기타 환경에서)
  • *rn, *rmrr
  • *sr
  • , tc, js
동부 사카어의 공통 개신
  • 비음 + 유성 자음 → 장비음 (*mb, *nd*mm, *nn, 단 *ng은 유지됨)
  • *i*u,를 포함하는 음절 앞에서 *aiu로 변화하는 불확실한 움라우트 현상 (*masita*misitamista ~ mästa “크다”)
  • 모음 및 *r 뒤에서 약화 *p, *t, , *kb, d, ǰ, g
  • 자음 앞에서 *f, *x,
  • 모음 a, i와 자음 사이에서 *i̯ (*daxsa-*daɣsa-*daisa-dīs- “태우다”)
  • 모음 뒤에서 w; ,
  • *rðl
  • 모음 뒤에서 *f, , *x*h
  • 어두에서 *w, *j,
  • *r 앞의 어두에서 *f, , *x, ð, ɣ (θrayahðrayidrai “셋”)
  • 자음군 *rC*ST (치찰음 + 치음) 앞에서 강세 모음의 장음화 (*sarta*sārtasāḍa “춥다”, *astakaāstaa “뼈”, 단 *aštā́haṣṭā “여덟”은 아님).
    • 치찰음이 아닌 마찰음 및 *r을 포함하는 자음군 앞에서 모음의 보상적 장음화 (*puhripūrä “아들”, darɣadārä “길다”), 단 *ər에서 기원하는 -ir--ur-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mərɣa-mura- “가금(家禽)”).
  • 어중 비강세 단모음 및 장모음의 축약 (*hámānaka*hamanakahamaṅgä)
  • *uwu
  • 어두에서 , ð, ʝ, ɣ > b, d, ɟ, g
  • *f, , *xph, th, kh (남아 있는 경우)
  • *rthṭh; *rt, *rd
  • 모음 및 *r 앞에서 약화 b, d, g (이른 시기의 무성 자음에서 기원) → β (→ w), ð, ɣ
    • 이 환경에서 또한 음성적으로 혹은 으로 변화한다.
  • 특정 자음의 경개구음화:
전기 후기
*ky c, ky
*gy j, gy
*khy ch
*tcy c
*jsy j
*tsy ch
*ny ñ, ny
*sy śś
*ysy ś
*st, *ṣṭ śt, śc

문헌

[편집]
호탄 동북부 단단 윌릭(Dandan Oilik) 출토의 호탄어 문헌. 대영도서관 소장.

이식 쿠르간(Issyk kurgan)에서의 비문에 카로슈티 문자로 적혀 있는 호탄어로 추정되는 것을 제외하면, 현존하는 모든 문헌은 호탄툼슈크에서 작성된 것이다. 둔황 문헌에는 2,300개 이상의 호탄어 텍스트가 남아 있으나[21] 툼슈크어는 15 텍스트밖에 남아 있지 않다.[22] 해럴드 월터 베일리(Harold Walter Bailey)에 의해 해독되었다.[23] 가장 이른 시기의 텍스트는 4세기까지 소급하며 주로 종교 관련 문서이다. 호탄 왕국에는 정사(精舍, vihara)가 있었으며 모든 시대에 걸쳐 공통적으로 불경의 번역이 나타난다. 역사적으로 중요한 왕궁으로 보내는 보고서(haṣḍa aurāsa)뿐만 아니라 사문서도 다수 발견되었다.

각주

[편집]
참조주
  1. “Saka Language”. 《Encyclopædia Britannica》 (영어). 2014년 4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26일에 확인함. 
  2. Diringer, David (1953).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영어) Seco a revis판. London: Hutchinson's Scientific and Technical Publications. 350쪽. 
  3. Bailey, H. W. (1970). “Saka Studies: The Ancient Kingdom of Khotan”. 《Iran》 (영어) 8: 65–72. doi:10.2307/4299633. JSTOR 4299633. 
  4.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영어). Paris: UNESCO. 1992. 283쪽. ISBN 92-3-103211-9. 
  5. Frye, R.N. (1984). 《The History of Ancient Iran》. 192쪽. ISBN 9783406093975. [T]hese western Saka he distinguishes from eastern Saka who moved south through the Kashgar-Tashkurgan-Gilgit-Swat route to the plains of the sub-continent of India. This would account for the existence of the ancient Khotanese-Saka speakers, documents of whom have been found in western Sinkiang, and the modern Wakhi language of Wakhan in Afghanistan, another modern branch of descendants of Saka speakers parallel to the Ossetes in the west. 
  6. Bailey, H.W. (1982). 《The culture of the Sakas in ancient Iranian Khotan》. Caravan Books. 7–10쪽. It is noteworthy that the Wakhi language of Wakhan has features, phonetics, and vocabulary the nearest of Iranian dialects to Khotan Saka. 
  7. Carpelan, C.; Parpola, A.; Koskikallio, P. (2001). “Early Contacts Between Uralic and Indo-European: Linguistic and Archaeological Considerations: Papers Presented at an International Symposium Held at the Tvärminne Research Station of the University of Helsinki, 8–10 January, 1999”. 《Suomalais-Ugrilainen Seura》 242: 136. ...descendants of these languages survive now only in the Ossete language of the Caucasus and the Wakhi language of the Pamirs, the latter related to the Saka once spoken in Khotan. 
  8. Bailey, H. W. (1939). “The Rāma Story in Khotanese”.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영어) 59 (4): 460–468. doi:10.2307/594480. JSTOR 594480. 
  9. Litvinsky (1999)
  10. Bailey, H. W. (1970). “Saka Studies: The Ancient Kingdom of Khotan”. 《Iran: Journal of the British Institute of Persian Studies》 (영어) 8 (1): 68. doi:10.1080/05786967.1970.11834790. JSTOR 4299633. 
  11. Emmerick, Ronald E. (2009). 〈7. Khotanese and Tumshuqese〉. Windfuhr, Gernot. 《The Iranian Languages》 (영어). Routledge. 377–415쪽. ISBN 978-1-135-79704-1. 
  12. “BUDDHISM iii. Buddhist Literature in Khotanese and Tumshuqese”. 《Encyclopædia Iranica》. 
  13. Kocaoğlu, Timur (2004). “Diwanu Lugatı’t-Turk and Contemporary Linguistics” (PDF). 《MANAS Journal of Turkic Civilization Studies》 (영어) 1: 165–169. 2020년 5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22일에 확인함. 
  14. Levi, Scott Cameron; Sela, 편집. (2010). 《Islamic Central Asia: An Anthology of Historical Sources》 (영어).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72–쪽. ISBN 978-0-253-35385-6. 
  15. Levi, Scott Cameron; Sela, 편집. (2010). 《Islamic Central Asia: An Anthology of Historical Sources》 (영어). Indiana University Press. 72–쪽. ISBN 978-0-253-35385-6. 
  16.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The Crossroads of Civilizations, A.D. 250 to 750》 (영어). UNESCO Publishing. 1996. 283–쪽. ISBN 978-92-3-103211-0. 
  17. Akiner, Shirin, 편집. (2013). 《Cultural Change and Continuity in Central Asia》 (영어). London: Routledge. 71–쪽. ISBN 978-1-136-15034-0. 
  18. Emmerick, Ronald (2009). 〈Khotanese and Tumshuqese〉. Windfuhr, Gernot. 《The Iranian Languages》. London: Routledge. 377–415쪽. 
  19. Hitch, Douglas (2016). 《The Old Khotanese Metanalysis》 (학위논문). Harvard University. 
  20. Kümmel, M. J. (2016). “Einführung ins Ostmitteliranische”. 
  21. Wilson, Lee (2015년 1월 26일). “Preliminary Proposal to Encode the Khotanese Script” (PDF) (영어). 2019년 6월 1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21일에 확인함. 
  22. “Brāhmī”. 《Encyclopaedia Iranica》 (영어). 2019년 5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21일에 확인함. 
  23. “Bailey, Harold Walter”. 《Encyclopaedia Iranica》 (영어). 2021년 8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21일에 확인함. 
내용주
  1. 非어말 환경에서
  2. 주로 어말 환경에서
  3. As an allophone of /t/

출처

[편집]

참고 문헌

[편집]
  • "Prothetic H-" in Khotanese and the Reconstruction of Proto-Iranic” (PDF). 《Martin Kummel》 (영어). Script and Reconstruction in Linguistic History―Univerzita Karlova v Praze, March 2020. 
  • Bailey, H. W. (1979). 《Dictionary of Khotan Saka》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 “Iranian Languages”. 《Encyclopædia Iranica》 (영어). 
  • Emmerick, R. E.; Pulleyblank, E. G. (1993). 《A Chinese text in Central Asian Brahmi script: new evidence for the pronunciation of Late Middle Chinese and Khotanese》 (영어). Roma: Istituto italiano per il Medio ed Estremo Oriente.  (On connections between Chinese and Khotanese, such as loan words and pronunci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