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차지 작전
폴차지 작전 | |||||||
---|---|---|---|---|---|---|---|
한국 전쟁의 일부 | |||||||
| |||||||
교전국 | |||||||
중화인민공화국 | |||||||
군대 | |||||||
| 알려지지 않음 | ||||||
피해 규모 | |||||||
~2,900명[1] | ~16,000명[1] |
폴차지 작전(영어: Operation Polecharge)은 한국 전쟁이 일어나고 있던 1951년 10월 15일에서 19일까지 코만도 작전을 성공시켜 제임스타운 선을 만든 유엔사령부가 행한 공세를 말한다.
배경
[편집]유엔사령부는 미국의 제1군단 중 제1기병사단과 제3보병사단, 제25보병사단과 대한민국 육군에서의 제1보병사단과 영연방의 제1사단이 참여하였다. 이 작전은 38선 바로 북쪽에 방어선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제임스타운 선을 성공적으로 만들며 1951년 10월 15일에 끝났다. 하지만 선 남쪽의 몇몇 언덕은 중국인민지원군의 손에 남아 서울의 보급선을 위협하였다. 폴차지 작전은 이러한 언덕을 완전히 장악하기 위한 것이었다.[1]
작전
[편집]미군 제1기병사단의 제5기병연대는 벨기에의 유엔 사령부와 제3보병 연대와 함께 346, 272, 230고지를 사수하라는 임무를 맡았으며,[1] 필요하다면 추가로 제8기병 연대가 지원을 할 계획이었다.[2]
작전은 10월 15일 제5기병대가 346고지로 발포를 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3] 10월 18일 8기병대의 지원을 받은 8기병대가 230고지를 점령하였다.[4] 이어서 272고지도 또한 중국인미지원군의 방어를 뚫고 10월 19일 유엔군에 함락되어 폴차지 작전은 성공적으로 마무리가 되었다.[1]
코만도 작전과 폴차지 작전에서 유엔군은 중국인민지원군에 16,000명의 병력을 잃게 만드는 큰 손실을 입혔고, 북쪽에 있는 방어선까지 후퇴하도록 만들었다.[1] 하지만 제1기병 사단은 작전 중 2,900여 명의 병력이 사상되었고, 다음 달 일본으로 철수하였다.[5]
여파
[편집]폴차지 작전은 제임스타운 선을 확보했을 뿐만 아니라 중국인민지원군이 유엔이 서울을 공급하는 걸 위협하는 것을 없애기도 하였다. 작전 사령부와 폴차지 작전은 판문점 정전협상의 재개와 함께 한국전쟁의 교착 상태를 알리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6]
각주
[편집]출처
[편집]- Blair, Clay (1987). 《The Forgotten War: America in Korea 1950–1953》. New York, NY: Times Books. ISBN 9780812916706. OCLC 15790880.
- Edwards, Paul M. (2006). 《Korean War Almanac》. New York, NY: Facts on File. ISBN 9780816060375. OCLC 58830739.
- Edwards, Paul M. (2009). 《Combat Operations of the Korean War: Ground, Air, Sea, Special and Covert》. Jefferson, NC: McFarland. ISBN 9780786444366. OCLC 423588102.
- Edwards, Paul M. (2010).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Korean War》. Historical Dictionaries of War, Revolution, and Civil Unrest. Lanham, MD: Scarecrow Press. ISBN 9780810874619. OCLC 669500979.
- Korea Institute of Military History (2001). 《The Korean War》 3. Lincoln, NE: Bison Books. ISBN 9780803277960. OCLC 474998758.
- Malkasian, Carter (2002). 《The Korean War 1950–1953》. Essential Histories. Oxford: Osprey. ISBN 9781841762821. OCLC 50387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