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팔머리동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팔머리동맥
대동맥 몸쪽의 모식도. 팔머리동맥은 대동맥의 세 번째 가지이자 대동맥활의 첫 번째 가지이다. 좌측 하단에 있을 심장은 그려지지 않았다.
앞에서 본 오름대동맥의 경로. 허파줄기 등쪽, 오른허파동맥 배쪽에 위치한다.
정보
발생기 구조대동맥주머니의 오른뿔
기원대동맥활
가지오른온목동맥
오른빗장밑동맥
맨아래갑상동맥 (가끔)
정맥팔머리정맥
혈액 공급오른쪽 머리, 목, 팔
식별자
라틴어truncus brachiocephalicus
영어brachiocephalic artery
MeSHD016122
TA98A12.2.04.004
TA24179
FMA3932

팔머리동맥(brachiocephalic artery, brachiocephalic trunk), 완두동맥(腕頭動脈) 또는 무명동맥(innominate artery[1], 無名動脈)은 가슴세로칸의 동맥으로, 오른쪽 머리, 으로 혈액을 공급한다.

대동맥활에서 나오는 첫 번째 동맥이다.[1] 갈라져 나온 직후 팔머리동맥은 오른온목동맥과 오른빗장밑동맥으로 나누어진다.[2]

몸의 왼쪽에는 팔머리동맥이 존재하지 않는다. 왼온목동맥과 왼빗장밑동맥은 대동맥활에서 직접 갈라져 나온다. 반면 팔머리정맥은 몸의 양쪽에 존재한다.[3]

구조

[편집]

팔머리동맥은 오른쪽 둘째 갈비연골의 위쪽 경계 높이에서, 대동맥활 시작 부분으로부터 갈라져 나온다.[1] 그 후 비스듬히 오른쪽과 뒤쪽을 향하며 위로 올라가 오른쪽 복장빗장관절의 위쪽 경계 높이에 이르고, 여기서 오른온목동맥과 오른빗장밑동맥으로 나누어진다.

위치 관계

[편집]

팔머리동맥의 위치 관계는 다음과 같다.[4][5]

가지

[편집]

팔머리동맥에서 가끔 나오는 가지인 맨아래갑상동맥은 기관 앞쪽에서 위로 주행하여 갑상샘의 아래쪽 부분에 도달해, 갑상샘에 혈액을 공급한다.

변이

[편집]

보통 팔머리동맥은 두 개의 종말가지로 나누어질 뿐 가지를 내지 않으나, 가끔 맨아래갑상동맥이라는 가지를 낸다. 가슴샘이나 기관지로 가는 가지를 내기도 한다.

맨아래갑상동맥은 그 크기가 다양하며, 다른 갑상샘으로 가는 혈관이 결손되었을 때 이를 보상하는 것으로 보인다. 팔머리동맥 외에 가끔 대동맥, 오른온목동맥, 빗장밑동맥, 속가슴동맥에서 갈라져 나오기도 한다.

발달

[편집]

대동맥주머니는 대동맥활 몸쪽 부분의 발생기 구조이다. 대동맥 구조 중 시간 순으로 가장 먼저 만들어지는 구조로, 동맥줄기 위쪽이 확장되며 형성된다. 대동맥주머니의 오른뿔(right horn)과 왼뿔(left horn) 중에서 오른뿔이 팔머리동맥을 형성한다. 오른뿔은 그 후 오른쪽의 셋째, 넷째 대동맥활과 융합하여 오른온목동맥과 몸쪽 오른빗장밑동맥을 형성한다.[2] 정리하면 팔머리동맥은 오름대동맥과 함께 배대동맥에서 유래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대동맥주머니 왼뿔은 대동맥의 몸쪽 오름부분으로 발달한다.[6]

기능

[편집]

팔머리동맥은 심장에서 오른쪽 팔, 머리, 목으로 혈액을 운반한다.[7]

임상적 중요성

[편집]

팔머리동맥의 동맥류는 모든 동맥류의 3% 정도를 차지한다. 혈전색전증 같은 합병증과 자발적 파열 등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초기에 수술을 통해 복구하는 것이 보통 권장된다. 팔머리동맥의 동맥류는 종종 팔머리동맥 압박 증후군의 소견일 수 있으며 파열될 위험성이 매우 높다.[8] 동맥류를 일으키는 주된 원인은 죽상경화증이다. 그 외 다른 원인에는 매독, 결핵, 가와사키병, 다카야스 동맥염, 베체트병, 결합조직질환, 혈관육종 등이 있다.[8]

기도와 팔머리동맥 사이의 누공(tracheo-innominate artery fistula, TIF)는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외과적 응급 상황이다. 기관절개술 이후 발생률은 0.1%-1.0%로 보고되고 있다. TIF는 출혈이 생길 시 일반적으로 치명적이다. TIF를 성공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항상 이런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실제로 발생 시 즉시 치료를 시작해야한다.[9]

팔머리동맥의 여러 기형 사례가 보고되었다. 식도 뒤(retroesophageal)의 팔머리동맥은 드문 선천성 기형이다.[10] 또한 갑상샘잘룩(thyroid isthmus) 바로 밑에서 기관 앞쪽을 가로지르는 비정상적인 팔머리동맥도 발견된 바 있다. 기관지내시경이나 세로칸내시경 같은 목 앞쪽의 수술, 시술은 흔하고 비교적 안전한데, 기관 주변에는 큰 혈관이 수술 시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유형의 기형이 있을 때는 혈관이 약간만 손상되어도 대량의 출혈로 인해 환자가 사망할 수 있다.[11] 한편 비정상적인 팔머리동맥으로 인해 불완전 혈관고리가 발생할 수 있다. 불완전한 혈관고리는 기관과 식도를 완전히 둘러싸지는 않지만, 일부 경우에서 기관과 식도가 혈관고리에 의해 눌릴 수 있다. 대동맥활에서 늦게 갈라져 나와 기관을 가로질러 주행하는 팔머리동맥 기형으로 인해 기관이 앞쪽에서 압박될 수 있다.[12]

추가 이미지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Public domain 이 문서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는 그레이 해부학 제20판(1918) page 548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Di Tullio MR, Homma S (2016년 1월 1일). 〈Chapter 33 - Atherosclerotic Disease of the Proximal Aorta〉. Grotta JC, Albers GW, Broderick JP, Kasner SE. 《Stroke》 (영어) Six판. London: Elsevier. 576–590쪽. doi:10.1016/b978-0-323-29544-4.00033-5. ISBN 978-0-323-29544-4. 
  2. Dugas BA, Samra NS (2022). 〈Anatomy, Thorax, Brachocephalic (Right Innominate) Arteries〉. 《StatPearls》.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PMID 32491610. 2022년 6월 12일에 확인함. 
  3. Woodhouse P, Waheed A, Bordoni B (2022). 〈Anatomy, Thorax, Brachiocephalic (Innominate) Veins〉. 《StatPearls》.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PMID 31335059. 2022년 6월 12일에 확인함. 
  4. “Innominate Artery”. 《www.meddean.luc.edu》. 2022년 6월 14일에 확인함. 
  5. Gray's Anatomy 제20판, 548쪽.
  6. Etesami M, Ashwath R, Kanne J, Gilkeson RC, Rajiah P (August 2014). “Computed tomography in the evaluation of vascular rings and slings”. 《Insights into Imaging》 5 (4): 507–521. doi:10.1007/s13244-014-0343-3. PMC 4141344. PMID 25008430. 
  7. “Innominate Artery Disease”. 《uvahealth.com》. 2022년 6월 14일에 확인함. 
  8. Soylu E, Harling L, Ashrafian H, Anagnostakou V, Tassopoulos D, Charitos C, 외. (June 2013). “Surgical treatment of innominate artery and aortic aneurysm: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Cardiothoracic Surgery》 8 (1): 141. doi:10.1186/1749-8090-8-141. PMC 3680210. PMID 23725538. 
  9. Komatsu T, Sowa T, Fujinaga T, Handa N, Watanabe H (2013). “Tracheo-innominate artery fistula: two case reports and a clinical review”. 《Annals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19 (1): 60–62. doi:10.5761/atcs.cr.12.01889. PMID 22785449. 
  10. Grollman, Julius H.; Bedynek, Julius L.; Henderson, Haller S.; Hall, Robert J. (1968년 4월 1일). “Right Aortic Arch with an Aberrant Retroesophageal Innominate Artery: Angiographic Diagnosis”. 《Radiology》 90 (4): 782–783. doi:10.1148/90.4.782. ISSN 0033-8419. 
  11. Dave, Varun Jitendra; Upadhya, Ila Balakrishna (2016년 1월 21일). “Aberrant innominate artery may complicate a potentially safe surgery”. 《BMJ Case Reports》 2016: bcr2015213910. doi:10.1136/bcr-2015-213910. ISSN 1757-790X. PMC 4735186. PMID 26795742. 
  12. Sahni D, Franklin WH (2022). 〈Vascular Ring Double Aortic Arch〉. 《StatPearls》.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PMID 32644364. 2022년 6월 1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