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출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출가불교에서 넘어옴)

출가(出家)[1]산스크리트어 프라브라자나(pravrajana)의 번역어로, 번뇌에 얽매인 세속에서의 인연을 버리고 재가생활(在家生活)을 떠나 오로지 불교 수행에 힘쓰는 것이다.[2][3] 출가하여 수행하는 승려출가자(出家者)라고 한다. 출가한 남자 승려를 출가(出家)라 하고 여자 승려를 출가니(出家尼)라 부르기도 한다.[4]

칠중(七衆) 중 우바새 · 우바이의 2중(二衆)은 재가신자이기 때문에 그 이외의 사미 · 사미니 · 식차마나 · 비구 · 비구니5중(五衆)이 모두 출가자에 포함된다.[2]

기원

[편집]

출가는 인도에서 불교 이전의 인도 종교들에서 이미 행하여진 것으로, 깨달음을 얻기 위해 고요한 산림한처(山林閑處)에서 수행하는 풍조가 고타마 붓다 당시의 힌두교 등에 이미 있었다.[4] 힌두교에서는 남성 출가자를 산야신(Sannyasin)이라하고 여성 출가자를 산야시니(Sannyasini)라고 한다.

고타마 붓다는 29세때에 출가하여 참된 를 찾아 수행으로 들어갔는데, 그 후 불교에서도 고타마 붓다를 본떠 출가하여 불교를 수행하는 일이 일반적으로 행해졌으며, 불교 교단은 이와 같은 출가자들에 의해 조직되었다.[4]

자격

[편집]

불교 교단이 확대됨에 따라 아무나 다 출가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연령상의 제한이나 출가자로서 지켜야 할 여러 계율이 정하여졌다.[4]

부파불교에서는 출가자를 사미(沙彌) · 사미니(沙彌尼) · 식차마나(式叉摩那) · 비구(比丘) · 비구니(比丘尼)의 5중(五衆)으로 했는데, 대승불교에서는 출가자를 출가(出家) · 출가니(出家尼)의 2중(二衆)으로 총칭한다.[4]

출가자의 경우, 사미(沙彌) · 사미니(沙彌尼)의 경우는 십계(十戒), 식차마나(式叉摩那)의 경우는 육법(六法), 비구(比丘) · 비구니(比丘尼)의 경우는 구족계(具足戒)를 받게 된다.[2] 이같은 출가수계(出家受戒) 때의 범절은 율장(律藏)의 《수계건도》에 기록되어 있다.[2]

출가불교

[편집]

출가불교(出家佛敎)라고 할 경우에는, 예를 들어 부파불교처럼 출가 수행자만이 전문적으로 불교의 학문적 연구나 실천수행에 힘쓰고, 일반 재가신자(在家信者)는 이에 구애되지 않는 것을 뜻한다.[4] 즉, 출가불교는 전문가의 불교를 뜻한다.[4] 이에 대해 재가신자들이 믿고 실천하여 온 불교를 재가불교(在家佛敎)라고 한다.[5]

각주

[편집]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