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락 (고구려)
보이기
국가 | 고구려 |
---|---|
군주 | 광개토대왕 |
영락(永樂)은 고구려 제19대 왕 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의 연호로 한국사 최초의 연호이다. 신묘년(辛卯年) 391년에서 임자년(壬子年) 412년까지 22년 동안의 광개토대왕의 통치기간을 나타낸다. 《광개토왕릉비》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삼국사기》의 광개토대왕 재위년과는 1년의 오차가 있다.
어원
[편집]영락(永樂)의 뜻은 "영원한 즐거움"이다.
주된 사건
[편집]- 영락 4년(394년)
- 영락 5년(395년)
- 영락 6년(396년)
- 영락 7년(397년)
- 영락 8년(398년)
- 영락 9년(399년)
- 영락 10년(400년)
- 영락 11년(401년)
- 영락 13년(403년)
- 영락 14년(404년)
- 영락 16년(406년)
- 영락 17년(407년)
- 영락 21년(411년)
연호대조표
[편집]영락 |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서력 | 391년 | 392년 | 393년 | 394년 | 395년 | 396년 | 397년 | 398년 | 399년 | 400년 | 401년 | 402년 | 403년 | 404년 | 405년 |
단기 | 2724년 | 2725년 | 2726년 | 2727년 | 2728년 | 2729년 | 2730년 | 2731년 | 2732년 | 2733년 | 2734년 | 2735년 | 2736년 | 2737년 | 2738년 |
간지 | 신묘 (辛卯) |
임진 (壬辰) |
계사 (癸巳) |
갑오 (甲午) |
을미 (乙未) |
병신 (丙申) |
정유 (丁酉) |
무술 (戊戌) |
기해 (己亥) |
경자 (庚子) |
신축 (辛丑) |
임인 (壬寅) |
계묘 (癸卯) |
갑진 (甲辰) |
을사 (乙巳) |
영락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21년 | 22년 | ||||||||
서력 | 406년 | 407년 | 408년 | 409년 | 410년 | 411년 | 412년 | ||||||||
단기 | 2739년 | 2740년 | 2741년 | 2742년 | 2743년 | 2744년 | 2745년 | ||||||||
간지 | 병오 (丙午) |
정미 (丁未) |
무신 (戊申) |
기유 (己酉) |
경술 (庚戌) |
신해 (辛亥) |
임자 (壬子) |
동시대 연호
[편집]참고하기
[편집]각주
[편집]- ↑ 김부식 (1145). 〈본기 권18 광개토왕〉. 《삼국사기》.
故國壤王 三年 立爲太子, 八年 王薨 太子卽位.
- ↑ 김부식 (1145). 〈본기 권18 광개토왕〉. 《삼국사기》.
秋七月 南伐百濟 拔十城.
- ↑ 김부식 (1145). 〈본기 권18 광개토왕〉. 《삼국사기》.
二年...創九寺於平壤.
- ↑ 이상의 대(對)백제전 기록은 《삼국사기》의 기년이 기준이다.
- ↑ 김부식 (1145). 〈본기 권18 광개토왕〉. 《삼국사기》.
四年 秋八月 王與百濟戰於浿水之上 大敗之, 虜獲八千餘級.
- ↑ 서영수, 〈廣開土王碑文의 征服記事 再檢討〉, 《歷史學報》 119, 1988. 다나카 토시아키(田中俊明), 〈고구려의 北方進出과 廣開土王碑文〉, 《廣開土好太王碑硏究 100년》, 高句麗硏究會, 1996
- ↑ 이상의 대(對) 후연전의 기록은 《삼국사기》의 기년 기준이다.
- ↑ 일부 학자들은 동부여가 이미 고구려의 속국으로 존속하고 있었으며, 이때의 동부여 정벌로 완전히 멸망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김용만, 앞의 책, 271쪽) 또한, 일반적으로 광개토왕 평생의 업적으로 해석되는 64개 성, 1,400촌의 정복 기록을 5개의 압노(鴨盧), 즉 동부여의 5부 전체를 복속시켜 동부여를 완전히 멸망시켜서 얻은 결과로 보는 주장도 있다. (위의 책, 274~27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