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목면
양목면 |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 장미군 |
목: | 아욱목 |
과: | 아욱과 |
속: | 양목면속 |
종: | 양목면 |
학명 | |
Ceiba pentandra | |
(L.) Gaertn. | |
학명이명 | |
|
양목면(洋木綿, 학명: Ceiba pentandra 케이바 펜탄드라[*])은 (아마도 물밤나무과(Bombacaceae)에 속할 것이지만) 아욱목(Malvales) 아욱과(Malvaceae)의 열대수(tropical tree)이다.[3] 혹은 길패(吉貝), 자화(子花), 판야나무, 길패목면(吉貝木棉), 조와목면(爪哇木棉)이라고도 한다. 말레이어로는 카폭(kapok)이라고 하며, 이로 인해 영어로도 카폭/케이폭(kapok) 혹은 자바 카폭/케이폭(Java kapok)이라고 쓴다. 이외에도 실크커튼(silk-cotton)이라고도 한다. 스페인어로는 세이바(ceiba), 프랑스어로는 프로마제(fromager)라고 한다. 사마우마(samauma)라고도 한다. 원산지는 멕시코, 중미와 카리브해, 남아메리카 북부, 서아프리카 지역이다. 서아프리카에는 guineensis라는 변종이 있다. 태평양의 여러 섬에 도입되어 귀화종으로 자리잡았다.[4] 섬유 작물의 일종으로, 목면(cotton) 같은 종자섬유(seed fiber)를 채취하기 위하여 재배된다. 재배는 동남아시아와 남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이루어진다.[4]
특성
[편집]양목면나무는 다 자라면 70미터 정도까지 이르며 직접 나무에 올라 측정하면[5] 양목면나무는 최대 77미터까지 자란다고 보고되었다.[6] 신열대구(Neotropics) 혹은 아프리카 열대 지역에서 큰 나무가 확인된다. 동남아의 양목면나무는 27미터 정도에 불과하다.[7] 판근(板近, buttress root) 위부분에 있는 줄기는 직경이 3미터 정도이지만 가장 큰 것은 5.8미터 이상이 되기도 한다.[8][9][10][11]
사진에 나온 판근은 줄기까지 12~15미터까지 되고[12] 줄기에서부터 20미터까지 뻗어나가며, 땅에서 총길이 50미터에 이른다.[13][14]
줄기와 큰 가지들 대부분은 크고 단순한 가지들이 돋아나 있다. 주요 가지들은 4-6개 정도 있고, 굵기는 1.8미터 정도이다.[15][16] 그리고 너비 61미터에 이르는 왕관 형상의 나뭇잎을 형성한다.[17] 손바닥 모양의 잎들은 5-9개의 작은 잎이 있고 각각은 20cm에 해당한다.
양목면나무는 15cm 길이의 깍지 수백 개 달린다. 깍지 안에는 솜털 모양의 노란 섬유로 둘러싸인 씨앗이 있으며, 섬유는 리그닌(lignin)과 셀룰로오스(cellulose)의 혼합이다.
여러 보고에 의하면 양목면나무가 세계에서 가장 큰 나무 중 하나이다.
사진
[편집]-
풋열매
-
익은 열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Ceiba pentandra (L.) Gaertn.”. 《The Plant List》 (영어). 2012년 3월 23일. 2019년 4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7일에 확인함.
- ↑ “Ceiba pentandra (L.) Gaertn.”. 《Plants of the World Online》 (영어).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9년 6월 7일에 확인함.
- ↑ Gaertner, Joseph. De Fructibus et Seminibus Plantarum 2(2): 244, pl. 133, f. 1. 1791.
- ↑ 가 나 “Ceiba pentandra (L.) Gaertn.”. 《GRIN-Global Web v 1.10.4.0》 (영어). 2017년 9월 19일. 2019년 6월 7일에 확인함.
- ↑ <anonymous> (2010년 5월 22일). “Very huge tree in Thailand”. 2018년 4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5월 5일에 확인함.
- ↑ “mayanodyssey.com - Informationen zum Thema mayanodyssey.”. 《www.mayanodyssey.com》. 2017년 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3일에 확인함.
- ↑ Prof. E.J.H. Corner, Wayside Trees of Malaya Volume 1 p. 436
- ↑ David G. Campbell, LAND OF GHOSTS (Boston: Houghton-Mifflin, 2005) p. 129.
- ↑ “Tambopota Rainforest Preserve, Peru, 2000”. 2008년 1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3일에 확인함.
- ↑ “Peru Journals”. 《www.drwren.com》. 2022년 5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28일에 확인함.
- ↑ “amazonCeiba-big-tree-rf223”. 2017년 12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5일에 확인함.
- ↑ Dr. Al C. Carder, FOREST GIANTS OF THE WORLD (Markham, Ontario: Fitzhenry and Whiteside, 1995) p. 145 (Photo plate 123 with caption).
- ↑ Peter A. Furley D. Phil. and Walter W. Newey Ph.D., GEOGRAPHY OF THE BIOSPHERE (London: Butterworth, 1983) p. 279.
- ↑ Michael Bright et al, 1000 WONDERS OF NATURE (London: Reader's Digest Assoc., 2001) p. 332.
- ↑ Linda Gamlin and Anuschka de Rohan, MYSTERIES OF THE RAINFOREST (Pleasantville, N.Y.: Reader's Digest Assoc., 1998) p. 79.
- ↑ Ivan T. Sanderson and David Loth, IVAN T. SANDERSON'S BOOK OF GREAT JUNGLES (New York: Simon and Schuster, 1965) p. 78.
- ↑ Dr. Al C. Carder, GIANT TREES OF WESTERN AMERICA AND THE WORLD (Madeira Park, British Columbia: Harbour Publishing, 2005) p. 129. Measured by Prof. Robert van Pelt in 2003.
- 가나의 식물상
- 가봉의 식물상
- 가이아나의 식물상
- 과들루프의 식물상
- 과테말라의 식물상
- 괌의 식물상
- 그레나다의 식물상
- 기니비사우의 식물상
- 나우루의 식물상
- 나이지리아의 식물상
-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의 식물상
- 니카라과의 식물상
- 도미니카 공화국의 식물상
- 도미니카 연방의 식물상
- 르완다의 식물상
- 마르티니크의 식물상
- 말라위의 식물상
- 말리의 식물상
- 멕시코의 식물상
- 모잠비크의 식물상
- 목면아과
- 몬트세랫의 식물상
- 바베이도스의 식물상
- 베냉의 식물상
- 베네수엘라의 식물상
- 벨리즈의 식물상
- 볼리비아의 식물상
- 부룬디의 식물상
- 브라질의 식물상
- 섬유식물
- 세네갈의 식물상
- 세인트루시아의 식물상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의 식물상
- 수단의 식물상
- 수리남의 식물상
- 시에라리온의 식물상
- 아이티의 식물상
- 앙골라의 식물상
- 앤티가 바부다의 식물상
- 앵귈라의 식물상
- 에콰도르의 식물상
- 엘살바도르의 식물상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의 식물상
- 온두라스의 식물상
- 우간다의 식물상
- 자메이카의 식물상
- 잠비아의 식물상
- 카메룬의 식물상
- 코스타리카의 식물상
- 코트디부아르의 식물상
- 콜롬비아의 식물상
- 콩고 민주 공화국의 식물상
- 쿠바의 식물상
- 쿡제도의 식물상
- 탄자니아의 식물상
- 토고의 식물상
- 통가의 식물상
- 파나마의 식물상
- 페루의 식물상
- 푸에르토리코의 식물상
- 프랑스령 기아나의 식물상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의 식물상
- 1791년 기재된 식물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