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용산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촌연결선에서 넘어옴)

용산선
용산선 옛 미생정역 부근
용산선 옛 종점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종류지선 철도
상태영업 중
기점용산역
(서울특별시 용산구)
종점가좌역
(서울특별시 마포구)
역 수6
노선 번호30302
개통일1905년 11월 5일 (선로 개통)
1929년 9월 20일 (노선 개통)
소유자국가철도공단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제원
영업 거리7.0 km
궤간1,435 mm(표준궤)
선로 수2
신호 방식ATS [수동운전]
영업 최고 속도ATS 구간 110 km/h
노선도

경의선 (문산 방면)
7.0
K315
5.3
K314
세교리
(연희)신촌연결선→
방송소앞
당인리
4.4
K313
동막
2.5
K312
미생정
1.5
K311
0.0
K110
경의중앙선, 경원선(청량리 방면)

용산선(龍山線)은 대한민국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3가의 용산역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동의 가좌역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일부이다. 현재는 대부분의 구간이 지하화되어 전 구간 수도권 전철이 운행되고 있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좌측통행이다.

2014년 12월 27일공덕 ~ 용산 구간의 복선 전철화가 완료됨으로써 지하화가 완성되었고, 같은 날짜에 중앙선경의선의 직결 운행 계통경의·중앙선이 운행을 개시하였다. 노반이 있던 지상의 부지는 경의선숲길이라는 공원으로 전용되었다.

역사

[편집]

개요

[편집]

본래 용산선은 1905년 11월 5일 경의선의 일부로 개통되었다. 이때에는 수색역에서 신촌역을 경유하여 아현동을 지나는 지금의 경의선 노선은 없었는데, 이는 일본제국용산일본군이 주둔하고 있어 서울역보다 용산역을 더 중시하였고, 아현동 일대가 산악지형이어서 철도를 건설하기 어려웠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남대문역(이후 경성역-서울역)을 경유하는 경의선-경부선 직결 열차가 점차 늘어나자, 용산역과 남대문역 사이의 반복 운전을 없애 열차의 운행 시간을 줄이고 운행을 편리하게 하도록, 1919년 6월에 해당 노선의 공사에 착수하였다.[1]

개량 공사에 의하여 1921년 7월에 해당 노선이 정식으로 개통되고 경의선의 출발역을 경성역으로 바꾸면서[2], 용산선은 잠시 영업을 중지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다 1929년 용산~당인리 간을 보강하여 용산선으로 영업을 재개하였다.[2] 이후 1929년 9월 20일에 세교리역을 경유하여 당인리역까지 이어지는 노선이 생겼으며, 이듬해에는 서강 ~ 신촌 구간 노선이 개통되고 경성순환열차의 운행이 개시되었다.

1940년에는 용산 ~ 서강 복선화, 서강 ~ 신촌 개량, 서강 ~ 성산천신호소(현 가좌역 부근) 복선 공사가 시작되었다.[3] 이 가운데 용산 ~ 서강 ~ 성산천 구간 공사는 해방 당시 이미 완공된 상태였다.[4] 해방 후 1955년에는 서강 ~ 수색 구간이 개통되고, 1960년에는 서강 ~ 신촌 구간이 폐지되었다. 수색역의 화물 기능이 강화되며 용산선은 점차 화물전용 노선으로 변모하였다.

2004년효창 ~ 서강 구간이, 2005년서강 ~ 가좌 구간이 철거되어 한동안 용산 ~ 효창공원앞 구간만 용산역에서 나오는 회송열차의 대피선으로 쓰였으나, 용산선의 지하화 공사가 진행되며 회송선로 역시 철거되었다.

용산선 지하화는 본래 2012년용산역까지 개통할 예정이었으나, 효창동 구간의 토지 보상 문제[5]가 발목을 잡으면서 2012년 12월 15일에 환승의 편의상 우선 경의선 가좌역에서 분기하여 공덕역까지 개통하였고 공덕역 ~ 용산역 구간은 2014년 12월 27일 개통되었다. 효창공원앞역은 지하화 개통과는 별개로 2016년 4월 30일에 여객 영업을 개시했으며, 효창역이 효창공원앞역으로 역명을 변경했다.

연혁

[편집]

차량

[편집]

용산 ~ 효창공원앞 구간에 약 35‰의 급구배가 설치되어, 수도권 광역전철 전동열차와 KTX-산천 (B-Type)을 제외한 차량은 용산선에 운행할 수 없다.[26] 2018년 동계 올림픽 기간에 한시적으로 KTX-산천이 운행하였다.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다음과 같다.

역 목록

[편집]
역번호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접속 노선 역간
거리
(km)
영업
거리
(km)
소재지
문산
급행
경원선 이촌역 방면
K110 용산 Yongsan 龍山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경원선
0.0 0.0 서울특별시 용산구
K311 효창공원앞 Hyochang Park 孝昌公園 서울 지하철 6호선 1.5 1.5
K312 공덕 Gongdeok 孔德 수도권 전철 5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1.0 2.5 마포구
K313 서강대 Sogang Univ. 西江大 1.9 4.4
K314 홍대입구 Hongik Univ. 弘大入口 서울 지하철 2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0.9 5.3
K315 가좌 Gajwa 加佐 경의선 1.7 7.0 서대문구
경의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방면

2009년

[편집]

다음은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개통하기 전인 2009년의 정보이다. 로마자 표기는 역 폐지 당시의 방식을 따랐다.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역간거리
(km)
영업거리
(km)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용산 Yongsan

(Ryūsan)

龍山 0.0 0.0 경부선
경원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중앙선
서울특별시 용산구
미생정 Yayoichō 彌生町 (0.6) (1.8) 1944년 3월 31일 폐지
효창 Hyochang

(Kōshō)

孝昌 1.8 1.8
공덕리 Kōtokuri 孔德里 (0.6) (2.4) 마포구 1944년 3월 31일 폐지
동막 Dongmag

(Tōmaku)

東幕 (0.8) (3.2) 1972년 5월 1일 폐지
서강 Seogang

(Seikō)

西江 2.6 4.4
가좌 Gajwa

(Kasa)

加佐 2.6 7.0 경의선
수도권 전철 경의선
서대문구

서강~신촌 지선

[편집]

1930년 12월 15일 신설되어 1960년 4월 1일 폐지되었다. 로마자 표기는 역 폐지 당시의 방식을 따랐다.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역간거리
(km)
영업거리
(km)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서강 Seogang

(Seikō)

西江 - 4.3 용산선(용산~당인리) 서울특별시 마포구
연희 Enki 延禧 (1.0) (5.3) 서대문구 1939년 10월 31일 폐지
신촌 Sinchon

(Shinson)

新村 1.6 5.9 경의선

폐역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鮮交會 (2017) [1986]. 《조선교통사 2》. 번역 최영수; 서홍. 서울: BG북갤러리. 58쪽. ISBN 9788964951033. 
  2. 鮮交會 (2018) [1986]. 《조선교통사 3》. 번역 최영수. 서울: BG북갤러리. 93쪽. ISBN 9788964951231. 
  3. 鮮交會 (2017) [1986]. 《조선교통사 2》. 번역 최영수; 서홍. 서울: BG북갤러리. 59쪽. ISBN 9788964951033. 
  4. 鮮交會 (2017) [1986]. 《조선교통사 2》. 번역 최영수; 서홍. 서울: BG북갤러리. 44쪽. ISBN 9788964951033. 
  5. 오경환 기자 (2011년 8월 25일). "경의선 효창정거장 부지 220m 때문에…". 《조선일보》. 
  6.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정차장신설, 1921년 7월 7일.
  7.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307-308호, 1929년 9월 4일.
  8.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445호, 1929년 11월 16일.
  9.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486-487호, 1930년 12월 15일.
  10. “경성역을중심으로 교외순환선운전”. 《동아일보》. 1930년 12월 5일. 2016년 10월 9일에 확인함. 
  11.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3809호, 1939년 9월 28일.
  12.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523호, 1944년 3월 29일.
  13.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594호, 1944년 4월 10일.
  14. 철도선과역의 일부명칭개정, 《경향신문》, 1948.01.22.
  15. “용산선삼일 개통 서강⇅수색 구간”. 《경향신문》. 1955년 2월 5일. 2016년 10월 9일에 확인함. 
  16. 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593호, 1960년 4월 1일.
  17.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31호, 1972년 4월 17일.
  18.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37호, 1974년 8월 12일.
  19. 대한민국관보 교통부령 제597호, 1978년 6월 23일.
  20. 전현우 (2020). 《거대도시 서울 철도》. 서울: 워크룸 프레스. 190쪽. ISBN 9791189356330. 
  21. 유성식 기자 (2005년 11월 27일). “용산선 100년 만에 역사 속으로”. 《KBS 9시뉴스》. 
  22.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96호, 2014년 3월 4일.
  23. 이 때 노선의 명칭이 경의·중앙선으로 통합되었다.
  24. 대한민국관보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437호
  25.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2019년 4월 17일.
  26. 전현우 (2020). 《거대도시 서울 철도》. 서울: 워크룸 프레스. 190쪽. ISBN 9791189356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