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수지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진면에서 넘어옴)

수지구
수지구청사
수지구청사
수지구의 위치
수지구의 위치
행정
국가대한민국
법정동7
청사 소재지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포은대로 435
단체장이영민
국회의원용인시 병: 부승찬(더불어민주당)[1]
용인시 정: 이언주(더불어민주당)[2]
지리
면적42.1km2
인문
인구375,137명 (2022년 2월년)
세대140,632세대 (2022년 1월년)
지역 부호
웹사이트수지구

수지구(水枝區)는 경기도 용인시의 북서부에 위치한 이다. 수지(水枝)는 1914년 통합된 수진면과 지내면에서 따온 것이다. 이 지역의 본류(本流)인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 법화산에서 발원하는 탄천과 한남정맥 버들치고개에서 시작해 흐르는 성복천 그리고 정평천, 동막천 등이 수지구에서 합수되면서 탄천의 유역(流域)을 형성해 남에서 북으로 흐르는 한강의 수계가 되어 수지(水枝) 이름 그대로 모인다. 수지(水枝)는 물(水), 가지(枝) 자연지명의 한국 한자음(韓國漢字音)으로 탄천(炭川)과 탄천의 지류인 성복천, 하천의 방계들이 수지구에서 하나 되는 탄천의 물줄기를 일컫는다. 경부고속도로가 통과해 서울특별시, 성남시 분당구, 수원시 등 주변 지역과의 교통이 원활하여 용인시에서 가장 먼저 대규모 현대식 택지지구로 개발된 지역으로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신분당선광역급행버스로 서울과 연결되어 있어 서울로 진입이 용이하다.

역사

[편집]

수지구 지역은 고려시대 용구현(龍駒縣) 수진면(水眞面), 조선시대 태종 13년 용인현(龍仁縣) 수진면(水眞面)이었고 수진면에 속한 행정구역은 성복동(星福洞), 죽전동(竹田洞), 서봉동(瑞峯洞), 신리(新里), 정평리(停坪里), 동막리(東幕里), 손기리(孫基里), 고분현(古分峴)이었다. 『1872년 지방지도(1872年 地方地圖)』 용인현(龍仁縣)에는 풍덕천장기(豊德川場基)라 하여 수진면(水眞面) 명칭으로 토월리, 죽전동, 성복동이 확인되며 탄천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토월리는 마을에서 동편에 솟는(吐) 달(月)을 맨 처음 볼 수 있는 곳이라 하여 토월이라 하였고, 죽전동은 포은 정몽주의 면례(緬禮) 행렬이 이어진 풍덕천(豊德川) 지역에서 음운변화를 일으켜 죽절(竹節)로부터 죽전이라 하였으며, 성복동은 성주 이씨들이 집성촌을 형성하고 대를 이어가고 있어 성복이라 붙여진 지명이다. 『1891년 용인현읍지(龍仁縣邑誌)』와 『1899년 용인군지(龍仁郡誌)』는 탄천의 물줄기 풍덕천(豊德川) 마을들을 수진면(水眞面)으로 토월리, 정평리, 죽전동, 성복동, 동막리, 원천동, 손기리, 고분현, 신리, 서봉동 등 10개 리·동 유역(流域)이 확인되어 이들 수계(水系)의 합수지점이 수지구(水枝)가 된다. 1914년 일제강점기 일제는 수진면(水眞面)의 풍덕천(豊德川)에서 토월리(吐月里), 신리(新里), 정평리(亭坪里) 일부를 풍덕천리(豊德川里), 감바위(玄岩), 점촌, 대지(枝), 내대지(안대지말), 풍덕내(豊德來)를 포함한 풍덕천(豊德川) 일부는 죽전리(竹田里)로 병합하고 정평리(亭坪里) 일부, 지내면(枝內面)의 상리(上里), 만현 고개(晩峴)를 합쳐 상현(上峴)으로 하였다. 이후 일본인들 거류민단(居留民團)의 자치와 식민지 지배를 위해 수지면 죽전리는 읍삼(구성)면으로 강제 포함되었다가, 해방 후 1973년 7월 1일 대한민국 대통령령 제1983호에 의하여 시·군·구·읍·면의 관할구역에 관한 규정으로 경기도 용인군 풍덕천, 죽전리, 성복리, 동천리, 신봉리, 상현리 일원을 규정해 수지면(水枝面)으로 획정하였다. 1994년말부터 1996년 3월까지 수지 1지구, 1999년까지 수지2지구가 풍덕천동에 조성되었으며 동천동, 죽전동 일대는 2000년 초부터 ~ 2006년까지 '동천택지지구', '죽전택지지구'로 개발되었고 이후 상현동 일대가 용인 상현지구 도시개발사업으로 진행됐다. 용인시 용인수지2지구는 건축물용도, 도시・군계획시설에 따라 국내 최초로 폐기물 자동집하처리시설이 도입된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지구로서, 용인시에서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공사(韓國土地公社)에 설치를 요청해 1995년 설계를 착수하고 1999년 12월에 준공하여 2000년 1월 가동을 시작하여 국내에서는 최초로 자동집하처리시설을 운영하게 되었다.

지명 유래

[편집]
단국대(檀國大) 석주선기념박물관 (수지)

1914년 용인군 진면(眞面)과 내면(內面)을 합면하면서 두 면의 명칭에서 한 글자씩 따온 것이다. 수지(水枝)의 자연지형은 성복동에서 시작한 성복천 물줄기가 풍덕천동과 죽전동에서 유역을 형성하고 지천(支川)들을 합수하여 한강(漢江)으로 흐르는 탄천(炭川)을 이룬다. 1996년 3월 1일 용인군(龍仁郡)이 도‧농복합 형태의 시(市)로 승격되면서 수지면(水枝面)은 수지읍(水枝邑)으로 승격되었고, 2001년에는 다시 수지출장소로, 2005년 수지구(水枝區)로 승격되어 현재 죽전동 · 풍덕천동 · 신봉동 · 성복동 · 상현동 등 9개 동을 관할하고 있다.[3]

주요 사건

[편집]
용인시 조례 제648호 (제정 2005․10․ 5)
개편 전 개편 후
풍덕천1동, 풍덕천2동, 죽전1동, 죽전2동, 동천동, 상현동, 성복동 수지구 풍덕천1동, 풍덕천2동, 신봉동, 죽전1동, 죽전2동, 동천동, 상현1동, 상현2동, 성복동
  • 2010년 7월 : 수지구의 주민등록 인구가 30만 명을 돌파하였다.
  • 2021년 9월 6일 : 죽전1동은 죽전1동, 죽전3동으로, 상현1동은 상현1동, 상현3동으로 분동하였다. (11행정동)

면적 및 행정 구역

[편집]
  • 면적 : 42.1km2 (용인시 전체의 7.1%)
  • 임야 : 21.76km2 (51.2%)
  • 대 지 : 9.79km2 (23.2%)
  • 농경지 : 2.51km2 (5.96%)
  • 기타 : 8.04km2 (19%)
수지구의 행정구역

2021년 11월 수지구의 인구는 375,794명, 140,622세대이다.[5]

행정동 한자 면적 인구 세대
풍덕천1동 豊德川1洞 2.1 36,232 15,857
풍덕천2동 豊德川2洞 1.4 41,036 14,940
신봉동 新鳳洞 6.7 37,834 13,409
죽전1동 竹田1洞 1.7 29,182 10,732
죽전2동 竹田2洞 1.1 18,408 7,712
죽전3동 竹田3洞 2.1 27,107 10,664
동천동 東川洞 16.5 49,710 19,088
상현1동 上峴1洞 4.9 20,431 6,755
상현2동 上峴2洞 1.5 33,314 11,528
상현3동 上峴3洞 1.5 27,933 11,124
성복동 星福洞 5.0 54,607 18,813
수지구 水枝區 42.1 375,794 140,622

인구

[편집]
수지구 성별 연령별 인구 구조[6]
용인시 수지구의 연도별 인구(내국인) 추이
연도 총인구
2005년 266,842명
2010년 296,915명
2015년 332,195명
2020년 370,398명

교육 기관

[편집]

  
  
  
  

교통

[편집]

철도

[편집]
(서울특별시) ← (성남시) ← 죽전역 → (기흥구)
(서울특별시) ← (성남시) ← 동천역 - 수지구청역 - 성복역 - 상현역 → (수원시)

도로

[편집]

문화·관광

[편집]

사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수지구 풍덕천1동, 풍덕천2동, 신봉동, 동천동, 상현1동, 상현3동, 성복동 해당.
  2. 기흥구 보정동, 구성동, 마북동, 동백동, 수지구 상현2동, 죽전1동, 죽전2동, 죽전3동 해당.
  3.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편집부, 국토지리정보원(2008년)
  4. 용인시조례 제648호 구및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2005년 10월 5일)
  5. 행정안전부 인구통계 참조.
  6. 수지구 연령별 인구 Archived 2018년 9월 29일 - 웨이백 머신, 용인시 통계바다
  7. [1963.01.21 https://gjicp.ggcf.kr/archives/artwork/용인-서봉사지-현오국사탑비 Archived 2020년 1월 7일 - 웨이백 머신]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