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김두만 (1884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두만 (1893년)에서 넘어옴)

김두만
金斗萬
대한제국 평안북도 선천군 군서기관
(大韓帝國 平安北道 宣川郡 郡書記官)
임기 1910년 4월 30일 ~ 1910년 6월 15일
군주 대한제국 순종 이척
섭정 소네 아라스케 조선 통감
데라우치 마사타케 조선 통감

대한민국 임시정부 외무부 교제과 과장
(大韓民國 臨時政府 外務部 交際科 科長)
임기 1920년 2월 1일 ~ 1922년 2월 6일
섭정 순종 이왕 이척 (前 대한제국 군주)
대통령 이승만 (대한 임정 대통령)
총독 의친왕 이강 (前 대한제국 대리청정공)
총리 이승만 (대한 임정 국무총리)
이동녕 (대한 임정 국무총리)
안창호 (대한 임정 국무총리 권한대행)
이동휘 (대한 임정 국무총리 서리)
이동휘 (대한 임정 국무총리)
신규식 (대한 임정 국무총리)
장관 박용만 (대한 임정 외무총장)
정인과 (대한 임정 외무총장 직무대행 서리)
정인과 (대한 임정 외무총장 직무대리)
이동휘 (대한 임정 외무총장)
신익희 (대한 임정 외무총장 직무대행 서리)
신익희 (대한 임정 외무총장 직무대리)
이희경 (대한 임정 외무총장 직무대행 서리)
이희경 (대한 임정 외무총장 직무대리)
신규식 (대한 임정 외무총장 직무대리)
신규식 (대한 임정 외무총장)
차관 정인과 (대한 임정 외무차장)
이동휘 (대한 임정 외무차장)
신익희 (대한 임정 외무차장)
이희경 (대한 임정 외무차장)
신규식 (대한 임정 외무차장)
조소앙 (대한 임정 외무차장)

이름
별명 호(號)는 수봉(秀峰)
신상정보
출생일 1884년 4월 22일
출생지 조선 평안도 의주
사망일 1942년 2월 15일(1942-02-15)(57세)
사망지 일제 강점기 평안북도 신의주
정당 무소속
본관 충주(忠州)
배우자 연안 차씨 부인(延安 車氏 夫人, 1883~1949)
군사 경력
복무 대한독립군
복무기간 1920년 2월 1일 ~ 1926년 3월 10일
근무 대한노병회 광복군 참리부 외무과
최종계급 대한독립군 부령
지휘 외무과 과장
상훈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김두만(金斗萬, 1884년 4월 22일 ~ 1942년 2월 15일)은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이다.

생애

[편집]

일생

[편집]

본관충주(忠州)이고 아호(雅號)는 수봉(秀峰)이며 평안도 의주에서 출생하였고 지난날 한때 평안북도 용천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대한제국 순종 임금 치세 시절에 잠시 대한제국 하급 관료 직책을 지낸 전력이 있다.

1919년 4월 2일에 자신의 향리인 평안북도 의주군 수진면에서 3·1 운동을 주도한 적이 있는 그는 이후 만주(滿洲)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 통신국 설치에 참여하였고 이후 평안북도 강변 8군(平安北道 江邊 八郡) 연통제의 교통국장(交通局長)으로 통신 임무를 맡았다. 이듬해 1920년에는 대한청년단연합회(大韓靑年團聯合會) 교제부장과 임시정부 평안북도 독판부 교통국장 등을 두루 지내며 독립운동에 주력하였다. 같은 해 1920년 2월, 임시정부 외무부 교제과 과장으로 임명되었다. 1922년에는 김구 등과 같이 대한노병회 기초의원으로 임시정부를 외각에서 지원하고 독립군 양성과 군비조달 활동을 하였다.

이후 1924년 대한노병회 광복군 참리부(大韓勞兵會 光復軍 參理部)의 외무과장(外務科長)에 보임되었으나 1926년 3월 10일을 기하여 그는 회비 미납부 회원으로서 대한노병회에 제명 조치 처분되었다.

1926년 이후 건강악화로 독립운동에서 은퇴한 후 가택연금 상태로 폐결핵 장기 치료 중 신의주 자택에서 1942년 병사하였다.

사후

[편집]

1963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