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근고모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홀소리v  d  e  h
전설 근전설 중설 근후설 후설
고모음
 i • y 
 ɨ • ʉ 
 ɯ • u 
 ɪ • ʏ 
 ɪ̈ • ʊ̈ 
 ʊ 
 e • ø 
 ɘ • ɵ 
 ɤ • o 
  • ø̞ 
 ə 
 ɤ̞ •  
 ɛ • œ 
 ɜ • ɞ 
 ʌ • ɔ 
 æ 
 ɐ 
 a • ɶ 
 ä 
 ɑ • ɒ 
근고모음
중고모음
중모음
중저모음
근저모음
저모음
쌍으로 있는 기호는 왼쪽이 비원순, 오른쪽이 원순 모음이다.
이 표는 일부 브라우저에서 정확히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는 음성학적 기호를 포함하고 있다.

근고모음(近高母音)은 혀를 입천장에 가까이 하여 발음하는 모음으로, 혀와 입천장 사이의 거리가 중고모음보다 가깝지만 고모음보다는 멀다. 근폐모음(近閉母音)이라고도 한다.

한 언어에서 고모음, 근고모음, 중고모음 음소가 혀의 높이로만 구별되는 경우는 드물다. 덴마크어가 그런 언어의 예시로, 전설 비원순 고모음 /i/, 전설 비원순 근고모음 /e̝/, 전설 비원순 중고모음 /e/가 대립한다. 일반적으로 덴마크어의 근고모음과 중고모음 음소는 편의상 /e/, /ɛ/로 각각 표기하지만, 이는 음성학적으로는 다소 부정확한 기호이다.[1] 덴마크어의 보다 보수적인 방언에서는 이러한 대립이 없으며 각 음소를 중고모음 [e]중모음 [e̞]로 발음한다.[2]

이러한 고모음·근고모음·중고모음 대립이 둘 이상 존재하는 언어는 더더욱 드물다. 소토어가 그런 언어의 예시로, 완전한 전설 모음 /i–ɪ–e/의 대립과 완전한 후설 모음 /u–ʊ–o/의 대립이 있다.[3] 소토어의 근고모음 음소 /ɪ, ʊ/는 관습적으로 마치 중설 고모음 /ɨ, ʉ/인 것처럼 표기되지만 이 역시 음성학적으로는 부정확하다.

세부 목록

[편집]

국제 음성 기호에서 독립된 기호로 표기되는 근고모음은 다음이 있다.

《국제 음성 협회 편람》(Handbook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에 따르면 이 세 모음은 각각 [i], [y], [u]가 중설중모음화된(조음점이 낮아지고 중설모음화된) 소리이다.[4] 따라서 똑같은 모음을 [i̽, y̽, u̽] 또는 더 복잡하게는 [ï̞, ÿ˕, ü̞]처럼 나타낼 수도 있다. 하지만 모든 언어에서 근고모음이 중설모음화되지는 않으며, 완전히 전설 모음[ɪ] 또는 완전히 후설 모음[ʊ]를 가진 언어도 있다.[5] 그런 모음의 전설성·후설성은 [ɪ̟, ʊ̠], [i̞, u̞], [e̝, o̝] 따위의 기호를 사용해 보다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

국제 음성 기호에 별개의 기호가 없는 근고모음으로는 다음이 있다.

각주

[편집]
  1. Basbøll (2005), 45, 48, 50–52쪽.
  2. Ladefoged & Johnson (2010), 227쪽.
  3. Doke & Mofokeng (1974), ?쪽.
  4.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1999), 13쪽.
  5. • 완전히 전설 모음인 [ɪ̟]가 있는 언어의 예: 덴마크어소토어 (출처: Basbøll (2005:45); Doke & Mofokeng (1974:?)).
    • 완전히 후설 모음인 [ʊ̠]가 있는 언어의 예: 한국어와 소토어 (출처: Lee (1999:121); Doke & Mofokeng (1974:?)).

참고 문헌

[편집]
  • Basbøll, Hans (2005), 《The Phonology of Danish》, ISBN 0-203-97876-5 
  • Doke, Clement Martyn; Mofokeng, S. Machabe (1974), 《Textbook of Southern Sotho Grammar》 3판, Cape Town: Longman Southern Africa, ISBN 0-582-61700-6 
  •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1999), 《Handbook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A guide to the use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65236-7 
  • Jones, Daniel; Ward, Dennis (1969), 《The Phonetics of Russi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06736-7 
  • Ladefoged, Peter; Johnson, Keith (2010), 《A Course in Phonetics》 6판, Boston, Massachusetts: Wadsworth Publishing, ISBN 978-1-4282-3126-9 
  • Lee, Hyun Bok (1999), 〈Korean〉, 《Handbook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0–122쪽, ISBN 0-521-637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