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신돌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돌석
申乭石
별명 본명(本名)은 신태호(申泰浩)
(字)는 순경(舜卿)
일명(一名)은 신돌석(申乭石, 申乭錫), 신태을(申泰乙), 신태홍(申泰洪), 신대호(申大浩)
별명(別名)은 태백산 호랑이
출생일 1878년 11월 26일 (음력 11월 3일)
출생지 조선 경상도 영해군 축산면 도곡리
(現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도곡리)
사망일 1908년 12월 12일(31세)
사망지 대한제국 경상북도 영덕군 북면 눌곡리
(現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눌곡리)
부모 신석주(부), 분성 김씨 부인(모)
배우자 한재여
자녀 신만이(아들), 신병욱(양자)
친척 신우경(아우)
박수찬(자형)
한용수(손윗처남)
김자성(친가친척 형제)
김도윤(친가친척 형제)
김도룡(친가친척 형제)
김상렬(외가친척 형제)
김상호(외가친척 형제)
김상태(외가친척 형제)
종교 유교(성리학)
복무 대한제국 조선 항일 의병
복무기간 1895년 음력 8월 ~ 1908년 음력 1월
최종계급 13도 창의군 교남창의대장
지휘 13도 창의군 의병장
주요 참전 을미사변 항거 봉기
을사늑약 항거 봉기
서훈 (건국훈장 대통령장,1962)
웹사이트 신돌석(독립유공자 공훈록)

신돌석(申乭石, 본명(本名)은 신태호(申泰浩), 일명은 신돌석(申乭錫), 1878년 11월 26일 (음력 11월 3일) ~ 1908년 11월 18일)은 구한말의 의병장이다.

초기 의병 운동이 주로 유학자들을 중심으로 일어났기 때문에, 평민 출신이었던 그는 대한제국 최초의 평민 의병장으로 유명하다. 주로 강원도경상북도의 태백산, 소백산 주변에서 활약하였다. 경도 출신. 나라를 위해 의병활동에 참여하여 격렬한 무장 투쟁을 전개하였다.

이름

[편집]

본명은 신태호(申泰浩)이며, 일명 신태을(申泰乙), 신태홍(申泰洪), 신대호(申大浩)라고도 불린다. 자는 순경(舜卿)이다.

생애

[편집]
  • 1878년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도곡리 평범한 평민농가에서 출생함1세
  • 1888년 둘째동생신태범출생17세
  • 1895년 을미사변단발령으로 전국 각지 의병봉기가 일어나자 1896년신돌석은어린나이로18세의나이로이에참여함18세
  • 1896년 7월 13일~[[7월 14일|]이틀간 영덕대교 오십천 전투 참전함. 김하락 연합부대 합류해 오십천에서 적군과싸워이김이후피신함김하락전사함

1903년신돌석장군결혼함24세

의병 활동

[편집]

을미사변이 전국적으로 의병 운동이 일어날 때 18세의 나이에 영덕에서 처음 의병을 일으켰다. 그는 경상북도 동해안 지방을 차례로 점령하는 큰 전과를 올렸고, 이에 경북 출신으로 경기도 일대에서 활동하던 김하락 부대에 안동유시연과 함께 합세하였다. 그러나 김하락의 의병 연합 부대가 영덕에서 일본군에게 대패하여 김하락이 중상을 입고 투신 자살하면서 그의 의병대도 해산되었다.

신돌석은 1905년 을사늑약의 강제 체결 이후 동생 신우경과 함께 재차 의병을 일으켰다. 울진군에서 일본 선박을 여러척 격침시키고 강원도 동해안 일대, 경상북도 내륙 지방, 원주 등 강원 내륙 지방까지 세력을 확대했다. 이때부터 그는 '태백산 호랑이'로 불릴 만큼 신출귀몰한 전공으로 이름을 날렸고 여러 구전 전설들도 만들어졌다.

이강년의 의병대와 순흥(영주시)을 공격하는 연합 작전을 시도하는 등 계속되는 전과를 올리면서 경북 일대의 대표적인 의병장으로 부상하여, 이인영의 연합 의병 13도 창의군이 결성되었을 때도 영남 지방을 담당하는 교남창의대장에 선임되는 등 양반 출신의 유학자 의병대장들도 그를 완전히 무시하지는 못할 정도의 세력을 형성하게 되었다.

사망

[편집]

1908년부터는 유시연의 부대와 연계하면서 주로 유격전 위주로 병 항쟁을 펼치다가, 그해 겨울 영덕의 눌곡(訥谷)에서 암살되었다.(신돌석이 동료의 배신으로 사망했다는 의견도 있다.)

피살 과정

[편집]

그를 살해한 사람에 대해서는 기록에 따라 내용이 조금씩 다르다. 가장 널리 알려진 설은 살해범이 김상렬(金相列) 삼형제라는 것이다.[1] 신돌석의 부하였으며 외사촌 또는 이종사촌들로 가까운 친척이었던 김상렬이 형제인 김상태(金相泰), 김상호(金相浩)와 함께 신돌석에게 걸려 있던 거액의 현상금을 노리고 그에게 독이 든 술을 먹인 뒤 도끼로 살해하였다는 설이다.

신돌석의 시체를 일본군에 바쳐 많은 상금을 타려는 속셈으로[2] 이들은 독주를 만들어 신돌석 앞에 내놓았다. 그는 이 독이 든 술을 들이키고 깊은 잠에 빠져들었다.[2] 김상렬 형제는 도끼로 신돌석을 내리쳤다.

살해범의 이름이 김도윤, 김도룡(또는 김도용) 형제라는 설[3], 범인은 김자성이고 그가 신돌석의 고종 사촌이었다는 설[4] 도 있다.

한편, 국가보훈처의 포상자 공적조서에 따르면, 신돌석의 고종형제 김자성(金自聖)이 자기집으로 유인하여 삼형제가 도끼로 쳐죽였다고 하며 신돌석의 유해를 들어옮기고 일본 헌병대에 발고하였으나 생포하지 않고 살해 후 발고하였다는 까닭으로 일본 헌병대로부터 퇴짜를 맞고 현상금을 받는 데 실패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5]

사후

[편집]

가족 관계

[편집]
  • 부친 : 신석주(申錫柱)
  • 모친 : 분성김씨
    • 누나 : 신씨
    • 매형 : 박수찬
    • 손윗처남 : 한용수
    • 부인 : 한재여(청주한씨, 1878~1952)
      • 아들 : 신만이(?~1908)
      • 양자(조카) : 신병욱(1927~ )
    • 동생 : 신우경(申友慶, 본명 신태범(申泰範), 이명 신도환(申道環), 1888~1962)

같이 보기

[편집]

참고자료

[편집]

각주

[편집]
  1.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민족정기선양센터, 독립유공자 공훈록 - 신돌석 Archived 2016년 3월 5일 - 웨이백 머신
  2. 이이화, 《역사인물 이야기》(역사비평사, 1989) 306페이지
  3. 김희곤, 《신돌석 - 백년 만의 귀향》(푸른역사, 2004) 중 대구 헌병 분대장의 보고서 인용 부분 (228쪽)
  4. 대한민국 문화관광부 e뮤지엄, 전쟁기념관 신돌석 흉상 설명 Archived 2007년 9월 28일 - 웨이백 머신
  5. 국가보훈처 공훈전자사료관 포상자 공적조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6. 한국관광공사, 신돌석장군 생가 / 유적지 (경북 영덕군) Archived 2007년 9월 27일 - 웨이백 머신
  7. 《오마이뉴스》 (2007.4.16) 태백산 호랑이, 신돌석 장군의 흔적을 찾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