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규 (함규)
보이기
(함규에서 넘어옴)
함규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함규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함규
咸規 | |
---|---|
대광(大匡) | |
임기 | 942년 ~ 945년 |
군주 | 고려 태조 혜종 |
신상정보 | |
출생일 | ? |
사망일 | 945년 |
친인척 | 광주원군(외손자) |
함규(咸規, 생년 미상 ~ 945년) 또는 왕규(王規)는 고려 전기의 재신(宰臣)이다.
광주(廣州)의 호족으로 왕건을 받들어 대광(大匡)에 이르렀다. 두 딸은 태조의 제15비 광주원부인과 제16비 소광주원부인이 되어 고려 왕실의 외척이 되었다. 혜종이 즉위한 뒤 외손자 광주원군을 왕위에 앉히려고 시도하다가 처형되었다.
생애
[편집]고려 초기 광주의 대호족으로, 양근 함씨였으나 개국공신으로 왕씨 성을 태조에게 사성을 받아 왕규(王規)가 된다.[1][2][3] 함규는 당시 양근을 포함한 광주목에서 가장 큰 세력을 지닌 인물이었고, 함규는 고려를 세운 왕건을 도와 후삼국 통일에 앞장서 고려의 개국에 공을 세워 익찬개국공신(翊贊開國功臣)등의 작위를 받았다. 중부의 강력한 호족이었던 함규는 고려의 개국공신이 되었고, 지금의 국무총리에 해당하는 대광(大匡)의 자리에까지 오른다. 왕규는 혜종을 보필하라는 태조의 유지를 받들었으나 혜종 사후 왕위 계승을 둘러싸고 일어난 왕자의 난인 왕규의 난(王規之亂)으로 처형되었다.
가계
[편집]- 딸 : 태조의 제15비 광주원부인(廣州院夫人)
- 사위 : 태조 신성대왕(太祖 神聖大王, 877~943 재위: 918~943)
- 딸 : 태조의 제16비 소광주원부인 왕씨(小廣州院夫人 王氏, 생몰년 미상)
- 외손자 : 광주원군(廣州院君)
- 딸 : 혜종의 제2비 후광주원부인 왕씨(後廣州院夫人 王氏, 생몰년 미상)
- 사위 : 혜종(惠宗, 912~945 재위:943~945)
평가
[편집]왕규는 군사적 기반이 약했기 때문에 오히려 혜종과 박술희의 보호를 받는 존재였으며, 그의 손자인 광주원군은 왕위 계승 서열과는 거리가 멀었기 때문에 왕규는 반란을 일으킬 이유가 없었다고 본다[출처 필요]. 오히려 이 사건을 왕위를 노린 정종과 광종의 음모로 보고 “왕규의 난”이 아닌 “왕식렴의 난”으로 보는 관점이 있다.
왕규가 등장한 작품
[편집]각주
[편집]- ↑ 김갑동, 한국사 12 -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국사편찬위원회 "그런데 왕규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양근군(楊根郡) 인물조(人物條)에 나오는 함규(咸規)와 동일인 인 것 같다. 함규가 태조대 최고의 관부로 여겨지는 광평성(廣評省)의 차관급인 시랑(侍郞)이었으며 태조공신(太祖功臣)이었다는 점이 이를 말해준다. 태조공신에는 여러 부류가 있었지만 태조의 비부(妃父)들도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함규가 왕성(王姓)을 하사받아 왕규(王規)로 포함된 것이라 짐작된다. 강릉의 김순식이나 춘천의 박유가 왕성을 하사받아 왕(王)순식, 왕(王)유로 표기된 것과 맥을 같이 하는 것이다. 또 양근군은 통일신라 때의 빈양현(濱楊縣)이 고려 초에 양근현(楊根縣)으로 개명되면서 광주에 내속(來屬)되었다가 고려 말에 군으로 승격된 지역이다. 엄격히 말하자면 왕규의 출신지는 양근현이지만 이곳이 광주의 속현이었으므로 광주인으로 표기된 것이 아닌가 한다.
- ↑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들녘 "왕규는 본래 함씨였다가 왕건의 신임을 받아 왕씨 성을 하사받았으며 ..."
-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601291&cid=51884&categoryId=53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