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자라투스트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로아스터에서 넘어옴)

자라수슈트라
زرتشت
출생미상
박트리아
사망미상
박트리아
성별남성
직업종교 지도자
종교조로아스터교
부모Pourušaspa Spitāma
배우자Hvōvi
자녀Freni, Pourucista, Triti, Isat Vastar, Uruvat-Nara, Hvare

자라투스트라(자라수슈트라, Zarathushtra, Zaraθuštra, Zartošt) 또는 조로아스트레스(그리스어: Ζωροάστρης; 페르시아어: زرتشت), 조로아스터이란 북부지방에서 태어난 예언자로서 그의 이름을 딴 조로아스터교를 창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생애와 출생 연대 및 활동 지역에 관해서 매우 엇갈리는 기록들이 전해진다. 더러는 박트리아 지역으로 이란 남부 지역인 과거 페르시아 지역을 그의 출생지로 보기도 한다. 출생 연대에 관해서는 심지어 기원전 6000년에서 기원전 600년까지 의견이 매우 엇갈리고 있다.

이름의 어원 및 번역

[편집]

자라투스트라의 모국어인 아베스타어(Avestan)로는 그의 이름을 Zaraϑuštra(자라수슈트라)로 표기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의 영어 이름인 조로아스터(영어: Zoroaster)는 후기(기원전 5세기) 그리스어 필사본인 Zōroastrēs(Ζωροάστρης)[1]에서 유래했으며, Xanthus의 Lydiaca(Fragment 32)와 Plato의 First Alcibiades(122a1)에 사용되었다. 이는 라틴어 Zōroastrēs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후기 그리스어 철자법에서는 Ζωροάστρις (Zōroastris)로 나타난다. 그리스어 이름의 형식은 아베스타어 zaraϑ-를 그리스어 ζωρός zōros("희석되지 않은"이라는 뜻)로 아베스타어 uštra를 그리스어 ἄστρον(astron, 별)으로 음역하거나, 의미론적으로 대체한 것으로 보인다.

아베스타어에서 Zaraϑuštra는 일반적으로 고대 이란어 *Zaratuštra-에서 파생된 것으로 받아 들여진다. 이름의 요소 절반(-uštra-)은 "낙타"에 대한 인도-이란 어근으로 생각되며, 전체 이름은 "낙타를 관리할 수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이 이름은 9세기에서 12세기 조로아스터교 문헌에서 사용된 형식이다.[2] Zaraϑuštra가 *Zarantuštra- 또는 *Zaratuštra-에서 파생되는지 여부에 따라 여러 해석이 제안되었다.[3] 아베스타어의 -ϑ-(/θ/)의 해석은 -ϑ-가 불규칙적으로 발달하기 때문에 그 자체로 한동안 열띤 논쟁의 대상이 되었고, 전반적인 경향은 낙타와 관련된 해석이 많다.

중세 페르시아어에서 이름은 𐭦𐭫𐭲𐭥𐭱𐭲 Zardu(x)št,[4] 파르티아 Zarhušt,[5] 중세 페르시아 마니교에서는 Zrdrwšt,[4] 초기 신 페르시아 Zardušt,[4] 현대(신 페르시아어) 이름은 زرتشت Zartosht이다.

그 이름은 고전 아르메니아 문헌에서 Zradašt(종종 Zradešt 변종)로 증명된다.[6] 이러한 증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아르메니아 작가인 Eznik of Kolb, Elishe, Movses Khorenatsi가 제공한 것이다.[6] 철자 Zradašt는 *zur-로 시작하는 더 오래된 형태를 통해 형성되었으며, 이는 독일 이란학자 Friedrich Carl Andreas(1846–1930)가 중세 페르시아어 형태 *Zur(a)dušt에 대한 증거로 사용한 사실이다.[6] 이 가정에 기초하여 Andreas는 아베스타어 형태의 이름에 대해서도 이것으로부터 결론을 내리기까지 했다. 그러나 현대 이란 학자인 Rüdiger Schmitt는 Andreas의 가정을 거부하고 *zur-로 시작하는 더 오래된 형식은 아르메니아 zur("잘못된, 부당한, 게으른")의 영향을 받아들었다고 본다. 따라서 "이름이 재해석되었음에 틀림없다"고 주장한다. 아르메니아 기독교인에 의한 반조로아스터교적 의미에서 Schmitt는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6] 아르메니아인들이 인수한 (파르티아 또는) 중세 페르시아어 형식(Zaradušt 등)이 단지 전군 *Zuradašt로 변형된 것일 뿐이라는 점을 배제할 수 없다."

한글 번역의 경우 니체의 책을 통해 "차라투스트라" 또는 "짜라투스트라"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으며,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자라투스트라로 정의하고 있다.[7]

출생

[편집]

출생 년도

[편집]

자라투스트라의 출생 연도에 대한 명확한 합의는 없다. 아베스타는 이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않지만 역사적 출처는 서로 상충되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학자들은 인도이란어와 인도이란어 종교를 기반으로 출생 연도를 재구성했고,[8] 그의 기원은 이란 북동부 어딘가와 기원전 1500년에서 500년 사이에 있었던 것으로 간주된다.[9][10][11][12]

Mary Boyce(자라투스트라의 연대를 기원전 1700년에서 1000년 사이로 추정)와 같은 일부 학자[13]는 자라투스트라를 기원전 1500년에서 1000년(또는 기원전 1200년에서 900년) 사이에 위치시키기 위해 언어 및 사회 문화적 증거를 사용했다.[14][12] 이 이론의 기초는 주로 조로아스터교 가타족의 고대 아베스타어와 초기 베다 찬송가 모음집인 리그베다의 산스크리트어(기원전 1700-1100년) 사이의 언어적 유사성에서 나왔다. 두 문서 모두 공통의 고대 인도-이란 기원을 갖고 있는 것으로 감주되기 때문이다. 가타족은 고대 석기시대의 전사-목동과 성직자 사회를 묘사하고 있으며(청동기의 3자 사회와 비교하여 야즈 문화를 묘사한다고 일부 추측[15]), 따라서 가타스와 리그베다가 가질 수 있었던 것은 개연성이 없다. 이 둘은 몇 세기 이상 떨어져서 작곡되었다. 이 학자들은 자라투스트라가 대초원에서 이란 고원으로 이란인들이 이주한 기원전 1200-1000년 이전에 고립된 부족에 살았거나 가타족을 구성했다고 제안한다.[9][14] 논쟁의 단점은 모호한 비교이며, Gathas의 고대 언어는 반드시 시차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10]

다른 학자[13]는 7세기에서 6세기 사이의 기간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기원전 650-600년 또는 기원전 559-522년 즈음이다.[11][12] 가장 최근의 날짜는 6세기 중반, 아케메네스 제국다리우스 1세 또는 그의 전임자인 키루스 대왕 시대이다. 이 날짜는 주로 조로아스터교 문헌의 인물을 역사적 인물과 연결하려는 시도에서 신빙성을 얻었다. 따라서 일부에서는 자라투스트라의 삶에 대한 설명에 등장하는 신화적 비슈타스파가 다리우스 1세의 아버지라고 가정했으며, 비슈타스파(또는 그리스어로 히스타스페스)라고도 불린다. 그러나 이것이 사실이라면 아베스타가 Vishtaspa의 아들이 페르시아 제국의 통치자가 되었다는 것을 언급하지 않았거나 Darius의 아버지에 관한 이 중요한 사실이 Behistun 비문에 언급되지 않았을 것 같지 않다. 다리우스 1세의 아버지가 조로아스터교 후원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것도 가능하며, 이는 Arsames에 의한 조로아스터교 신앙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기원전 6~4세기의 고전학파에서는 그가 기원전 480년 크세르크세스 1세그리스 침공(Xanthus, Eudoxus, Aristotle, Hermippus)보다 6000년 전에 존재했다고 믿었는데, 이는 조로아스터교의 3000년, 즉 12,000년의 4주기를 오해할 가능성이 있다.[9] 이 믿음은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우스(Diogenes Laërtius)에 의해 기록되었으며, 다양한 해석에 따르면 크세르크세스 1세 이전인 기원전 1000년 이전 어딘가에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디오게네스는 자라투스트라가 트로이 전쟁보다 5000년 전에 살았다는 Hermodorus의 믿음에 대해서도 언급된다. 10세기 Suda는 기원전 10세기 후반에 플라톤보다 500년 앞선 날짜를 제공했다. 장로 플리니우스는 기원전 6300년으로 플라톤보다 6000년 앞선 에우독소스를 인용했다.[11] 다른 유사 역사적 건축물은 Zaratas가 바빌론에서 피타고라스를 가르쳤다고 기록한 Aristoxenus,[9]또는 신화적인 Ninus와 Semiramis 시대에 살았던 것이다. Pliny Elder에 따르면, 두 명의 자라투스트라가 있었다. 첫 번째는 수천 년 전에 살았고 두 번째는 기원전 480년에 그리스 침공에 크세르크세스 1세와 동행했다.[9] 일부 학자들은 자라투스트라에 대한 연대기 계산이 기원전 4세기에 페르시아 동방박사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초기 그리스인들이 아케메네스 왕조로부터 그에 대해 배웠을 때, 이것은 그들이 그를 키루스 대왕의 동시대 사람으로 간주하지 않고 원격으로 생각한 것에서 비롯된다.

후기의 사이비 역사 및 조로아스터교 자료(Bundahishn, 알렉산더 이전 258년 참조)는 자라투스트라를 기원전 6세기로, 이는 서기 4세기의 Ammianus Marcellinus의 설명과 일치한다. 전통적인 조로아스터교 연대는 기원전 330년 알렉산더 대왕이 아케메네스 제국을 정복한 직후의 기간에 시작된다.[11] 알렉산드로스의 죽음 이후 권력을 얻은 셀레우코스 왕조의 통치자들은 "알렉산드로스의 시대"를 새로운 달력 시대로 제정했다. 이것은 당시 "자라투스트라 시대"를 수립하려고 시도한 조로아스터교 사제들에게 호소력이 없었다. 그렇게 하기 위해 그들은 자라투스트라가 살았던 때를 확립할 필요가 있었는데, 그들은 자라투스트라가 살았음에 틀림없다고 결론을 내릴 때까지 연속 세대의 길이를 역산하여 (Mary Boyce에 따르면 Cyrus를 Vishtaspa와 동일시하기까지 하는 잘못된 오류가 있음)원하는 결과를 얻어낼 수 있었다.[9] 그런 다음 이 추정치는 조로아스터교가 세 번에 걸쳐 제국의 멸망을 예언한 잃어버린 아베스탄 책에서, 예언을 인용한 10세기 Al-Masudi와 같은 조로아스터교 전통의 9-12세기 아랍어 및 팔레비 문헌에 다시 나타났다.

출생지

[편집]

자라투스트라의 출생지 또한 알려져 있지 않으며, 가타족의 언어는 제안된 페르시아의 북서부 및 북동부 지역 방언과 유사하지 않다. 또한 그는 두 지역 중 한 지역에서 태어나 나중에 다른 지역에서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Yasna 9와 17은 Airyanem Vaējah(중기 페르시아 Ērān Wēj)의 Ditya 강을 자라투스트라의 집이자 그의 첫 등장 장면으로 인용한다. Avesta(고대 부분과 젊은 부분 모두)에는 Achaemenid 또는 Medes, 페르시아어 또는 Parthians와 같은 서이란 부족에 대한 언급이 없다. Farvardin Yasht는 기원전 6세기와 5세기에 동부 이란에 대한 그리스 및 아케메네스 왕조 자료에 알려지지 않은 일부 이란 민족을 나타낸다. Vendidad에는 17개의 지역 이름이 포함되어 있으며 대부분은 이란 북동부와 동부에 있다.

그러나 Yasna 59.18에서 Zaraϑuštrotema 또는 Zoroastrian 사제직의 최고 수장은 'Ragha'(Badakhshan)에 거주한다고 한다. 조로아스터교 전통의 9-12세기 중세 페르시아 문헌에서 이 '라가'와 다른 많은 장소는 이란 서부의 위치로 나타난다. 메디아의 땅은 아베스타(경전에 기록된 가장 서쪽의 위치는 아라코시아임)에 전혀 등장하지 않는 반면, 분다히신 또는 "원시 창조"(20.32 및 24.15)는 라가를 메디아(중세 라이)에 넣는다. 그러나 아베스타어에서 Ragha는 단순히 "평야, 언덕"을 의미하는 지명이다.

해석의 여지가 있는 중세 페르시아 출처의 이러한 표시 외에도 여러 다른 출처가 있다. 차라투스트라(Zarathustra)의 발상지에 따라 그리스어와 라틴어 출처가 나뉜다. 일반적으로 페르시아 또는 페르소-메디안 자라투스트라(Perso-Median 자라투스트라)라고 불리는 차라투스트라에 대한 그리스의 많은 설명이 있다. Ctesias는 그를 Bactria에, Diodorus Siculus는 그를 Ariaspai(Sistan)에 배치했으며, Cephalion과 Justin은 대이란의 동쪽을 제안하는 반면 Pliny와 Origen은 그의 출생지로 이란 서쪽을 제안했다. 더욱이, 그들은 자라투스트라가 한 명 이상 있었다는 제안을 가지고 있다.

다른 한편, 포스트이슬람 자료에서 Shahrastani(1086–1153)는 원래 Shahristān, 현재의 Turkmenistan 출신의 이란 작가로 자라투스트라의 아버지는 Atropatene(메디아에서도 마찬가지) 출신이고 그의 어머니는 Rey 출신이라고 제안했다. 저명한 종교 학자로부터 나온 이 사건은 자라투스트라가 고국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는 여러 지역에 심각한 타격을 입혔다. 또한 같은 기간의 아랍어 자료와 역사적 페르시아의 같은 지역은 아제르바이잔을 차라투스트라의 발상지로 간주한다.

20세기 후반까지 대부분의 학자들은 대이란 동부에 기원을 주시했다. Gnoli는 조로아스터교의 고향으로 발루치스탄의 시스탄을 제안했다. Frye는 Bactria와 Chorasmia에 투표했다. Khlopin은 현재 투르크메니스탄의 Tedzen Delta를 제안한다. Sarianidi는 Bactria-Margiana Archaeological Complex 지역을 "자라투스트라 교도의 고향, 아마도 자라투스트라 자신의 땅"으로 간주했다. Boyce는 볼가에서 서쪽으로 대초원을 포함한다. 중세의 메디아 가설은 더 이상 진지하게 받아들여지지 않으며, Zaehner는 이것이 합법성을 얻기 위해 동방 박사가 중재한 문제라고 제안하기도 했지만 Gershevitch와 다른 사람들에 의해 마찬가지로 거부되었다.

조로아스터교의 역사에 관한 2005년 백과사전 이란니카(Encyclopedia Iranica) 기사는 "그가 서부 이란에 살지 않았다는 데 일반적으로 동의하지만 중앙 아시아를 포함한 동부 이란의 특정 지역에서 그를 찾으려는 시도는 잠정적"으로 문제를 요약했다.

생애

[편집]

자라투스트라는 Spitamans 또는 Spitamids(아베스타어로 "빛나는" 또는 "흰색"을 의미한다. 일부는 Spitama가 어원이었다고 주장한다.)가족의 푸루샤스파(Pourušaspa)와 그의 증조부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 이 가족의 모든 이름은 유목민 전통에 적합하게 지어져 있다. 그의 아버지의 이름은 "회색 말 소유"를 의미하고, 그의 어머니의 이름은 "우유 여성"을 의미한다. 전통에 따르면 그에게는 4명의 형제가 있었는데, 두 명의 형과 두 명의 남동생이었다고 하며 이들의 이름은 훨씬 후기의 팔라비 작품에 나와 있다.

신권 훈련은 아마도 7세 전후에 아주 일찍 시작되었을 것한다. 그는 아마도 15세쯤에 사제가 되었고, Gathas에 따르면, 그는 20세에 부모를 떠났을 때 여행을 하면서 다른 교사들로부터 지식과 개인적인 경험을 얻었다고 한다. 서른 살이 되었을 때 그는 봄 축제에서 계시를 받았다. 강둑에서 그는 Vohu Manah(선한 목적)로 자신을 밝히고 아후라 마즈다(Ahura Mazda, 현명한 군주, 후에 아흐리만(Ahriman)이라고도 불림)와 다른 다섯 명의 빛나는 인물에 대해 가르친 빛나는 존재를 보았다. 자라투스트라는 곧 두 개의 원시 영혼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 그 두 가지는 아샤(Asha, 질서)와 드루즈(Druj, 기만)였고, 아후라 마즈다와 상반된 개념을 가진 앙그라 마이뉴(Angra Mainyu, 파괴적인 영혼)였다. 따라서 그는 사람들에게 아샤를 찾는 법을 가르치는 데 평생을 바치기로 결정했다. 그는 더 많은 계시를 받았고 일곱 아메샤 스펜타의 시현을 보았고 그의 가르침은 가타스와 아베스타에 수집되었다.

이후 약 42세의 나이에 그는 조로아스터교의 초기 신봉자인 Vishtaspa라는 통치자와 Hutaosa 여왕의 후원을 받았다(Shahnameh에 따르면 Bactria 출신). 개인의 심판, 천국과 지옥, 육신의 부활, 최후의 심판, 영혼과 육신의 재결합을 위한 영생에 관한 조로아스터교의 가르침은 아브라함계 종교에서 차용했으나 본래 가르침의 맥락과는 많이 달라졌다.

전통에 따르면 그는 Vishtaspa가 개종한 후 여러 해 동안 살았으며 충실한 공동체를 이루었고 세 번 결혼했다고 한다. 그의 첫 두 부인은 그에게 세 아들 Isat Vâstra, Urvatat Nara, Hvare Chithra와 세 딸 Freni, Thriti, 푸루치스타를 낳았다. 그의 세 번째 부인인 흐보비는 자식이 없었다. 자라투스트라는 77세 40일에 사망했다. Shahnameh와 같은 후기의 팔라비 출처는 대신 투이리야스 사람들과의 불분명한 갈등으로 인해 그가 Bradrēs라는 카라판(고대 종교의 사제)에 의해 살해당했다고 주장한다.

묘사

[편집]

자라투스트라에 대한 최근의 몇몇 묘사는 그가 전설적인 행위나 기적을 일으키는 것을 보여주지만, 일반적인 묘사는 그를 단지 흰색 제의(오늘날의 조로아스터교 사제들도 착용하고 있음)를 입은 모습으로 표현된다. 그는 일반적으로 제사장직의 또 다른 상징으로 여겨지는 (아베스타나 중세 페르시아의 바솜)것으로 알려진 묶이지 않은 막대나 나뭇가지 모음을 들고 있거나, 손에 책을 들고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는 그는 철퇴(보통 황소의 머리로 관을 씌운 강철 막대로 양식화됨)를 들고 나타난다. 또 다른 묘사에서는 그는 무언가를 지적하는 것처럼 손을 들고 신중하게 손가락을 들어올린 채로 나타난다.

자라투스트라는 정면을 보는 방향으로는 거의 묘사되지 않는다. 대신, 약간 옆 위쪽을 바라보는 것처럼 보인다. 자라투스트라는 거의 항상 수염으로 묘사되며, 이는 19세기 예수 초상화와 유사한 다른 요소와 함께 나타난다.

자라투스트라 이미지의 일반적인 변형은 Sassanid 시대의 암벽 조각에서 파생된다. 이 묘사에서는 아르다시르 1세 또는 2세의 대관식을 주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1920년대까지 이 그림은 일반적으로 자라투스트라를 묘사한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최근에는 미트라를 묘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자라투스트라에 대한 유럽의 가장 유명한 묘사 중에는 라파엘로의 1509년 아테네 학당에 있는 인물의 묘사가 있다. 그 안에 자라투스트라는 별이 박힌 지구를 들고 프톨레마이오스 오른쪽 하단에서 토론 중이다.

타 종교와의 관계

[편집]

이슬람

[편집]

조로아스터교의 가르침과 이슬람교 사이에는 많은 유사점이 있다. 예를 들자면 천사장 가브리엘과 Amesha Spenta간의 공통점, 하루에 다섯 번 기도하는 동안 자신의 머리를 가리는 것, 그리고 꾸란에서 기둥의 Thamud와 Iram에 대한 언급 사이의 유사점 등이 있다. 이것은 또한 두 종교의 발전에 대한 아케메네스 제국의 막대한 영향을 나타낼 수 있다. 자유의지에 대한 관점도 비슷하다.

학파간 견해

[편집]

고대 고대 그리스인과 마찬가지로 이슬람 전통은 자라투스트라를 마기의 창시자 예언자로 이해한다(아람어, 아랍어 Majus, 집단 Majusya를 통해). 11세기 Cordoban Ibn Hazm(자히리 학파)은 그들의 책이 Alexander에 의해 파괴되었다는 조로아스터교의 주장에 비추어 "책의" Kitabi가 적용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8세기와 10세기의 수니파 역사가 al-Tabari(I, 648)는[16] 8세기 al-Kalbi의 권위를 인용하여 Zaradusht bin Isfiman("Zarathustra Spitama"의 아랍어 개작)이 거주자였다고 생각한다. 이스라엘 사람이자 선지자 예레미야의 제자 중 한 사람의 종이었던 그는 주인을 속이고 저주를 받아 문둥병에 걸렸다(참조, 유대 성경에서 엘리사의 종 게하시).

그 후 배교자 자라두쉬트는 결국 발흐(현재의 아프가니스탄)로 갔고 그곳에서 비슈타스브(즉, 비슈타스파)를 개종시켰고, 그곳에서 그의 신민들은 마기의 종교를 받아들이도록 강요받았다. 다른 전통을 회상하면서 al-Tabari(I, 681–683)[16]는 Zaradusht가 Bishtasb/Vishtaspa에 유대인 선지자를 동반했다고 설명한다. 그들이 도착하자 Zaradusht는 왕을 위한 현자의 히브리어 가르침을 번역하고 그를 설득하여 (Tabari는 또한 그들이 이전에 Sabis였다) Magian 종교로 개종하도록 설득했다.[16]

12세기 이단학자 al-Shahrastani는 Majusiya를 Kayumarthiya, Zurwaniya 및 Zaradushtiya의 세 종파로 설명한다. 그 중 Al-Shahrastani는 세 분파 중 마지막 사람만이 자라투스트라의 적절한 추종자라고 주장한다. 선지자의 인정에 관하여 자라투스트라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네 성품 속에 감추어진 것까지도 그가 네게 구하는 것을 능히 네게 이루실 것이요 또 다른 사람들이 하지 못하는 것을 그가 이루시리라." (Namah Shat Vakhshur Zartust, .5–7. 50–54)

이슬람 부흥운동

[편집]

이슬람 부흥운동인 아흐마디야(Ahmadiyya)의 관점은 자라투스트라를 단순히 알라의 예언자로 본다.[17]

마니교

[편집]

마니교는 자라투스트라를(부처와 예수와 함께) 마니(216-276)가 정점에 있는 예언자 계통의 인물로 간주했다. 자라투스트라의 윤리적 이원론은 어느 정도까지는 마니의 교리에 통합되어 있는데, 이 교리는 세상이 대립하는 선과 악의 세력 사이의 장대한 전투에 갇힌 것으로 간주된다. Manicheanism 또한 자라투스트라 전통 초자연적 존재, 특히 이름의 다른 요소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다른 조로아스터교 요소의 대부분은 조로아스터교 자체의 가르침의 일부가 아니거나 조로아스터교에서 사용되는 방식과 상당히 다르게 사용된다.

바하이 신앙

[편집]

자라투스트라는 바하이 신앙에서 점차 성숙해지는 인류에게 하느님의 말씀을 점진적으로 계시한 선지자의 한 사람인 "하나님의 계시"로 등장한다. 그래서 자라투스트라는 아브라함, 모세, 크리슈나, 예수, 무함마드와 같이 높은 사람으로 취급된다. 그리고 Shoghi Effendi는 자라투스트라가 예수보다 대략 1000년 전에 살았다고 말했다.

조로아스터교

[편집]

조로아스터교는 배화교라고도 불리며 그가 창시한 종교이다.

철학

[편집]

자라투스트라는 인간 조건을 아샤(aša)와 드루즈(druj) 사이의 정신적 투쟁으로 본다. 다른 모든 피조물의 목적과 마찬가지로 인류의 목적은 아샤를 유지하고 일치시키는 것이다. 인류의 경우 이것은 삶, 의식, 건설적/선한 생각, 말, 행동에 대한 적극적인 윤리적 참여를 통해 발생한다.

조로아스터교 철학의 요소는 유대교와 플라톤주의에 대한 영향을 통해 서구로 유입되었으며 철학 발전의 핵심 초기 사건 중 하나로 확인되었다. 고전 그리스 철학자들 중 헤라클레이토스는 종종 자라투스트라의 사상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언급된다.

2005년 Oxford Dictionary of Philosophy는 자라투스트라를 철학자 연대기에서 1위로 선정했다. 차라투스트라의 영향력은 부분적으로 그가 설립한 마즈다야스나(Mazdayasna)라고 불리는 종교 윤리 체계 덕분에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마즈다야스나는 아베스타어이며 영어로는 "Worship of Wisdom/Mazda"로 번역된다. 백과사전 Natural History(Pliny)는 조로아스터교인들이 이후 피타고라스가 만든 유사한 용어인 철학, 또는 "지혜에 대한 사랑"을 사용하여 궁극적인 진리에 대한 탐구를 묘사한 그리스인들을 교육했다고 주장한다.

자라투스트라는 옳고 그름을 선택하는 개인의 자유와 자신의 행위에 대한 개인의 책임을 강조했다. 아샤와 드루즈를 받아들이는 개인적인 선택은 자신의 결정이며 아후라 마즈다의 지시가 아니다. 자라투스트라에게 좋은 생각을 하고, 좋은 말을 하고, 좋은 행동을 함으로써(예: 궁핍한 사람을 돕거나, 선행을 하거나, 좋은 의식을 행함으로써) 우리는 세상과 우리 자신 안에서 아샤를 증가시키고, 신성한 질서를 축하하며, 프라쇼케레티로 향하는 영원한 길에 한 발 더 다가선다. 따라서 우리는 Ahura Mazda의 노예나 하인이 아니지만 동료가 되기로 개인적인 선택을 할 수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세계를 saoshyants(세계 완성자)와 우리 자신으로 완성하고 결국 아샤의 주인(Ashavan)이 된다.

자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편집]

니체는 자라투스트라가 세계에 대한 이분법적인 사고를 서구 사회에 처음으로 제시하였다고 생각하여 그를 통해 기독교적 이분법 세계관을 비판하고자 "자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지었다.

문화

[편집]

헬레니즘

[편집]

용어의 헬레니즘적 의미에서 그리스인들은 플루타르코스, 디오게네스, 아가티아스에 의해 표현된 자라투스트라에 대한 이해를 갖고 있었으며, 그 핵심은 자라슈스트라를 "이란 종교의 예언자이자 창시자"로 보았다. "나머지는 대부분 환상이었다"[18]고 말이다. 자라투스트라(자라투스트라)는 통용 기원 6~7000년 전의 고대 과거를 배경으로 하며 박트리아(Bactria)의 왕이나 바빌로니아인 (또는 바빌로니아인의 스승)으로 묘사되었으며 네오피타고라스식 현자의 전형인 전기를 가지고 있다. 고행과 깨달음이 선행된 사명. 그러나 이원론의 맥락에서 처음 언급된 Moralia에서 Plutarch는 자라투스트라를 '피타고라스의 스승'으로 묘사한다.[19]

자라투스트라는 또한 마술과 점성술의 창시자이자 마법사이자 점성가로 묘사되었다. 그 이미지에서 파생되고 강화된 것은 그에게 귀속된 "문학 덩어리"였으며 기원전 3세기부터 고대 말과 그 이후까지 지중해를 순환했다.

그 문학의 언어는 한 단계 또는 다른 단계에서 그것의 다양한 부분이 아람어, 시리아어, 콥트어 또는 라틴어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그리스어였다. 그 기풍과 문화적 기질은 마찬가지로 헬레니즘적이었고 여러 가지 이국적인 작품에 대해 붙여지는 저자의 이름이 되었다. "정치적, 문화적, 시간적 틀을 넘어선 문학에 출처를 붙이는 것은 권위에 대한 도전과 이국의 지혜를 정당화하는 셈이다. 자라투스트라와 동방 박사는 그것을 작곡하지 않았지만 그들의 이름이 그것을 승인했다."고 한다. 이처럼 이국적인 이름(마술사에게만 국한되지 않음)에 대한 귀속은 "멀고 계시적인 지혜의 권위"를 부여했다. 이처럼 자라투스트라라는 이름에 기인한 명명된 작품 중에는 원래 4권(파피루스 두루마리 기준)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이는 "자연에 관한 논문(Peri physeos )"이 있다. 이는 플라톤의 신화를 다시 이야기한 것이다.

점성술

[편집]

자라투스트라는 점성술과도 관련이 있다. Pliny the Elder는 자라투스트라를 마법의 발명가로 지명한다(Natural History 30.2.3). "그러나 자라투스트라가 그리스와 로마 세계에 암흑술을 도입한 책임은 대부분 면제한 것으로 보인다. 암흑술의 경우는 대부분의 위조 마법 문헌에 귀속된 멋진 마술사 오스타네스에게 돌아갔다."[20] 플리니우스가 그를 마법의 발명가라고 부르지만 로마인은 그를 위해 마법사의 페르소나를 제공하지 않는다. 더욱이, 자라투스트라에 기인한 작은 마법적 가르침은 실제로 매우 늦은 것이며, 가장 초기의 예는 14세기의 것이다.[18]

로저 벡(Roger Beck)에 따르면[18] 점성술과의 연관성은 그의 바빌로니아 기원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자라투스트라의 그리스 이름은 처음에 별 숭배(astrothytes "별 희생자")와 동일시되었으며, 심지어는 살아있는 별이라고 확인되었다. 나중에 훨씬 더 정교한 신화가 전개되었다: 자라투스트라는 자신이 불러낸 별(astr-)에서 불의 살아있는(zo-) 플럭스(ro-)에 의해 사망했다는 등의 방식으로 알려졌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자라투스트라의 대체 그리스어 이름은 Zaratras[21] 또는 Zaratas/Zaradas/Zaratos였다.[22] 피타고라스 학파는 수학자들이 바빌로니아에서 자라투스트라(자라투스트라)와 함께 공부했다고 생각했다.[23] Lydus는 On the Months에서 자라투스트라와 히스타스페스(Hystaspes)의 원 안에 있는 바빌로니아 사람들이 일곱 개의 행성에 대한 7일제 주간의 창조를 돌렸고, 천문학에 관한 수다의 장은 바빌로니아인들이 자라투스트라로부터 점성술을 배웠다고 기록하고 있다.[24] 사모사타의 루시안은 메니푸스 6장에서 바빌론으로 여행을 떠나기로 결정했다고 보고한다.[25]

자라투스트라/점성술과 Ostanes/magic의 라인에 따른 구분이 과도하게 단순화되었지만 설명은 적어도 작품이 무엇인지를 나타낸다. 그것들은 조로아스터교 교리의 표현이 아니었고, 그리스와 로마인들이 조로아스터교 교리가 존재한다고 상상했던[18] 표현도 아니었다. 조립된 단편들은 각 이름으로 저술한 여러 저자들 사이에서 눈에 띄는 견해와 가르침의 공통점을 보여주지도 않았다.[18]

그 외 위서적 관점

[편집]

거의 모든 조로아스터교 위서(pseudepigrapha)가 소실되었으며 단 한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는 입증된 텍스트 중 일부만 남아 있다. 자라투스트라에 대한 플리니우스의 2세기 또는 3세기 저작물은 (과장과 중복을 고려하더라도) 한때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에 엄청난 가명 자료가 존재했음을 시사한다. 플리니우스 이전의 누구도 자라투스트라의 문헌을 언급하지 않았고, 2세기 페르가몬의 갈렌(Galen of Pergamon)과 6세기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주석가로부터 풍부한 왕실 도서관의 인수 정책은 유명하고 고대 작가의 원고를 제작할 수 있는 시장을 창출했다.[18]

단편적 증거(즉, 다른 저자의 작품에서 반복되는 구절)에 대한 예외는 1945년 Nag Hammadi 도서관에서 발견된 Zostrianos(1인칭)라는 완전히 보존된 콥트 소책자이다. 131페이지 분량의 논문은 이 작품을 "조스트리아노스의 진리의 말씀. 진리의 신(로고스). 자라투스트라의 말씀"으로 규정하고 있다. "진리의 신"을 부르는 것이 조로아스터교인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렇다기에는 눈에 띄게 조로아스터교인이 없다. "텍스트에 대해 그리고 "내용, 스타일, 에토스 및 의도에서 그 유사성은 전적으로 영지주의 소책자 사이의 동종과 일치한다."[18]

자라투스트라라는 이름으로 유통된 또 다른 작품은 Asteroskopita(또는 Apotelesmatika)로 5권(파피루스 두루마리 기준)까지 발행되었다. 제목과 단편은 그것이 예측을 하기 위한 매우 다양한 책이기는 하지만 점성술 핸드북임을 암시한다.[26]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Schlerath, Bernfried (1977), "Noch einmal Zarathustra", Die Sprache , 23 (2): 127–135
  2. Foundation, Encyclopaedia Iranica. “Welcome to Encyclopaedia Iranica” (미국 영어). 2022년 1월 12일에 확인함. 
  3. Humbach, Helmut (1991), The Gathas of Zarathushtra and other Old Avestan texts , Heidelberg: Winter
  4. MacKenvie, D.N. (1971). A Concise Pahlavi Dictionary (PDF).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p. 98. ISBN 0-19-713559-5.
  5. Durkin-Meisterernst, Desmond (2004). Dictionary Of Manichean Middle Persian & Parthian.
  6. Schmitt, Rüdiger (2002). "ZOROASTER i. THE NAME". Encyclopaedia Iranica.
  7.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022년 1월 14일에 확인함. 
  8. Boyce, Mary (2001). 《Zoroastrians: Their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영어). Psychology Press. ISBN 978-0-415-23902-8. 
  9. Boyce, Mary (1996년 1월 1일). 《A History of Zoroastrianism: The Early Period》 (영어). BRILL. ISBN 978-90-04-10474-7. 
  10. 《The Wiley Blackwell companion to Zoroastrianism》. Hoboken. 2015. ISBN 978-1-118-78550-8. 
  11. Nigosian, S. A.; Nigosian, Solomon Alexander (1993). 《The Zoroastrian Faith: Tradition and Modern Research》 (영어). McGill-Queen's Press - MQUP. ISBN 978-0-7735-1144-6. 
  12. Shahbazi, A. Shapur (1977), "The 'Traditional Date of Zoroaster' Explained",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doi:10.1017/S0041977X00040386
  13. Lincoln, Bruce; Lincoln, Professor of Humanities and Religious Studies Bruce (1991년 8월 27일). 《Death, War, and Sacrifice: Studies in Ideology & Practice》 (영어).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48200-2. 
  14. West, M. L. (2010년 8월 31일). 《The Hymns of Zoroaster: A New Translation of the Most Ancient Sacred Texts of Iran》 (영어). I.B.Tauris. ISBN 978-0-85773-156-2. 
  15. Mallory, J. P.; Adams, Douglas Q. (1997),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Taylor & Francis, pp. 310–311, 653, ISBN 978-1-884964-98-5
  16. Quoted in Büchner 1936, p. 105.
  17. “Zoroastrianism”. 2022년 1월 12일에 확인함. 
  18. Beck, Roger (1991), "Thus Spake Not Zarathushtra: Zoroastrian Pseudepigrapha of the Greco-Roman World", in Boyce, Mary; Grenet, Frantz (eds.), A History of Zoroastrianism, 3, Leiden: Brill Publishers, pp. 491–565
  19. Brenk, Frederick E. (1977). In Mist Apparelled: Religious Themes in Plutarch's Moralia and Lives, Volumes 48-50. Mnemosyne, bibliotheca classica Batava [Vol. 48: Supplementum]. Leiden, NDL: Brill Archive. p. 129. ISBN 9004052410. Retrieved March 19, 2017.
  20. Beck, Roger (2003), "Zoroaster, as perceived by the Greeks", Encyclopaedia Iranica, New York: Encyclopædia Iranica online
  21. Brenk, Frederick E. (1977). In Mist Apparelled: Religious Themes in Plutarch's Moralia and Lives, Volumes 48-50. Mnemosyne, bibliotheca classica Batava [Vol. 48: Supplementum]. Leiden, NDL: Brill Archive. p. 129. ISBN 9004052410. Retrieved March 19, 2017.
  22. Cf. Agathias 2.23–5 and Clement's Stromata I.15.
  23. See Porphyry's Life of Pythagoras 12, Alexander Polyhistor apud Clement's Stromata I.15, Diodorus of Eritrea and Aristoxenus apud Hippolytus VI32.2, for the primary sources.
  24. Lydus, On the Months, II.4.
  25. Lucian of Samosata, Mennipus 6.
  26. Nietzsche, Friedrich Wilhelm; Ludovici, Anthony Mario, trans.; Levy, Oscar, ed. (1911), Ecco Homo, The Complete Works of Friedrich Nietzsche, Edinburgh: T. N. Foul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