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허큘리스자리 알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라스 알게티에서 넘어옴)

라스 알게티
Ras Algethi
허큘리스자리의 성도(星圖). 라스 알게티(α)는 ‘무릎 꿇은 자의 머리’ 부분에 있다.
허큘리스자리의 성도(星圖). 라스 알게티(α)는 ‘무릎 꿇은 자의 머리’ 부분에 있다.
명칭
바이어 명명법 허큘리스자리 알파, α Her
플램스티드 명명법 허큘리스자리 64, 64 Her
밝은 별 목록 A: HR 6406, B: HR 6407
헨리 드레이퍼 목록 A: HD 156014, B: HD 156015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A: SAO 102680, B: SAO 102681
소천성표 BD+14°3207
히파르코스 목록 HIP 84345
다른 이름 CCDM J17146+1424, AAVSO 1710+14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별자리 허큘리스자리
적경(α) A: 17h 14m 38.853s, B: 17h 14m 39.181s[1]
적위(δ) A: +14° 23′ 25.0″, B: +14° 23′ 23.98″[1]
겉보기등급(m) A: 3.350[1] (2.7–4.0[2]), B: 5.322[1]
절대등급(M) −2.3[3] + 1.8 + 2.8[4]
위치천문학
적경 고유운동 −6.71 mas/년[5][6][7]
적위 고유운동 32.78 mas/년[5][6][7]
연주시차 9.07 ± 1.32 mas[5][6]
성질
광도 A: 7,244–9,333, Ba: 126, Bb: 26 L[8]
나이 0.41–1.25(십억 년)
분광형 A: M5 Ib-II, B: G8III + A9IV-V[8]
U-B 색지수 +1.01[9]
B-V 색지수 +1.45[9]
변광성 분류 SRc[2]
추가 사항
질량 A: 2.175–3.250, Ba: ~2.5, Bb: ~2 M[8]
반지름 A: 284 ± 60, 264–303 R[8]
표면온도 A: 3,155–3,365, Ba: 4,900, Bb: 7,350 K[8]
표면 중력 (log g) −0.41±0.19[10]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허큘리스자리 알파(α Her), 허큘리스자리 64는 허큘리스자리 방향에 있는 다중성계이다. 망원경으로 관측하면 이 항성계는 여러 구성원으로 분리되어 보이는데 이들 중 가장 밝은 천체가 라스 알게티로 명명되었다.[11]

명칭

[편집]

허큘리스자리 알파바이어 명명법, 허큘리스자리 64플램스티드 명명법으로 표기한 명칭이다. 알파의 구성원 둘은 각각 ‘허큘리스자리 α¹’(둘 중 밝은 쪽)과 ‘허큘리스자리 α²’로 불린다. 이 중 후자는 쌍성으로 세 별은 각각 ‘허큘리스자리 알파 A’, ‘Ba’, ‘Bb’로 표기될 때도 있다.[12]

예전부터 알파 계를 불러오던 고유명칭은 라스 알게티아랍어 단어 رأس الجاثي (‘라이스 알-야티’, ‘무릎 꿇은 사람의 머리’)에서 온 것이다.[13] ‘머리’는 오랜 옛날 허큘리스자리가 거꾸로 뒤집어진 것으로 묘사된 사실에서 유래한 것이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항성의 고유명칭을 목록화, 표준화할 목적으로 산하에 항성명칭심의위원회(WGSN)를 조직했다.[14] 2016년 7월 위원회는 ‘허큘리스자리 α¹’에 ‘라스 알게티’ 명칭을 부여, 공고하였다.[15]

알 악사시 알 무아케트 책력에 ‘라스 알-자시’ 또는 ‘라스 알 드자티’ 단어가 수록되었으며 이 단어는 라틴어Caput Ingeniculi 로 번역되었다.[16]

동아시아의 별자리에서 라스 알게티는 천시원의 제좌(帝座, 황제의자)에 속해 있다.[17] R. H. 앨런은 ‘제좌’를 Ti Tso 로 표기했다.[18]

특성

[편집]

허큘리스자리 α¹과 α²는 서로 500 천문단위 이상 떨어져 있으며 이로부터 예상되는 1 공전주기는 약 3600년이다. α¹은 상대적으로 질량이 크고 붉게 빛나는 ‘밝은 거성’이다. α²는 주인별인 황색거성과 짝별인 황백색 왜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둘은 질량중심을 51.578 일에 1회 공전한다.

허큘리스자리 α¹은 붉고 밝게 빛나는 거성으로 축퇴된 탄소-산소 중심핵 위로 수소와 헬륨 껍질들이 있는 점근거성가지(AGB) 항성이다. 이 별은 태양으로부터 두 번째로 가까운 AGB 항성이다.[8] 간섭계로 측정한 이 별의 시지름은 34 ± 0.8 밀리초각 또는 0.034 초각이다.[19] 히파르코스 위성의 측성자료로부터 계산한 결과 이 별과 지구 사이 거리는 약 359 광년으로[5][6][20] 이로부터 라스 알게티의 반지름은 2억 8천만 킬로미터(태양 반지름의 400 배 또는 1.87 천문단위)가 나온다.[21] 만약 라스 알게티를 태양계의 중심부에 놓는다면 별의 반지름은 1.5 천문단위 거리에 있는 화성을 넘어서겠지만 소행성대에는 미치지 못할 것이다. 이 적색거성은 태어날 때의 질량이 태양의 2.175 ~ 3.250 배 사이였을 것으로 추측된다.[8] 생명의 끝에 다다른 대다수 M형 항성들과 마찬가지로 라스 알게티는 상당한 비율의 질량을 방출하여 적어도 90 천문단위까지 확장된 가스 외피층을 만들고 있다.[22]

각주

[편집]
  1. Høg, E.; Fabricius, C.; Makarov, V. V.; Urban, S.; Corbin, T.; Wycoff, G.; Bastian, U.; Schwekendiek, P.; Wicenec, A. (2000). “The Tycho-2 catalogue of the 2.5 million brightest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55: L27. Bibcode:2000A&A...355L..27H. doi:10.1888/0333750888/2862. 
  2. Samus, N. N.; Durlevich, O. V.; 외. (2009).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VizieR On-line Data Catalog: B/gcvs. Originally published in: 2009yCat....102025S》 1. Bibcode:2009yCat....102025S. 
  3. Huang, W.; Wallerstein, G.; Stone, M. (2012). “A catalogue of Paschen-line profiles in standard stars”. 《Astronomy & Astrophysics》 547: A62. arXiv:1210.7893. Bibcode:2012A&A...547A..62H. doi:10.1051/0004-6361/201219804. 
  4. Reimers, D. (1977). “On the absolute scale of mass-loss in red giants. I - Circumstellar absorption lines in the spectrum of the visual companion of Alpha-1 HER”. 《Astronomy and Astrophysics》 61: 217. Bibcode:1977A&A....61..217R. 
  5. Perryman, M. A. C.; Lindegren, L.; Kovalevsky, J.; 외. (July 1997), “The Hipparcos Catalogue”, 《Astronomy and Astrophysics》 323: L49–L52, Bibcode:1997A&A...323L..49P 
  6. van Leeuwen, F (November 2007). “Hipparcos, the New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474 (2): 653.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7. “SIMBAD query result:NAME RASALGETHI -- Semi-regular pulsating Star”.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0년 9월 26일에 확인함. 
  8. Moravveji, Ehsan; Guinan, Edward F.; Khosroshahi, Habib; Wasatonic, Rick (2013). “The Age and Mass of the α Herculis Triple-star System from a MESA Grid of Rotating Stars with 1.3 <= M/M ⊙ <= 8.0”. 《The Astronomical Journal》 146 (6): 148. arXiv:1308.1632. Bibcode:2013AJ....146..148M. doi:10.1088/0004-6256/146/6/148. 
  9. Ducati, J. R. (2002).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CDS/ADC Collection of Electronic Catalogues》 2237. Bibcode:2002yCat.2237....0D. 
  10. Schröder, K.-P.; Cuntz, M. (April 2007), “A critical test of empirical mass loss formulas applied to individual giants and supergiant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65 (2): 593–601, arXiv:astro-ph/0702172, Bibcode:2007A&A...465..593S, doi:10.1051/0004-6361:20066633 
  11. “IAU Catalog of Star Names”.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12. Tokovinin, A. A. (1997). “MSC - a catalogue of physical multiple stars”. 《Astronomy & Astrophysics Supplement Series》 124: 75. Bibcode:1997A&AS..124...75T. doi:10.1051/aas:1997181. 
  13. Kurt Vonnegut. “Constellations: Hercules 'the Strongman'. The BBC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0년 11월 14일에 확인함. 
  14.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15.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PDF).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16. Knobel, E. B. (June 1895).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55 (8): 429. Bibcode:1895MNRAS..55..429K. doi:10.1093/mnras/55.8.429. 
  17.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6 月 25 日”. 2021년 4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17일에 확인함. 
  18. Richard Hinckley Allen: Star Names — Their Lore and Meaning: Hercules
  19. Benson, J. A.; Dyck, H. M.; Mason, W. L.; Howell, R. R.; Ridgway, S. T.; 외. (1991년 12월). “The infrared angular diameter of Alpha Herculis measured with a Michelson interferometer”. 《Astronomical Journal》 102: 2091–2097. Bibcode:1991AJ....102.2091B. doi:10.1086/116033. 
  20. Perryman, Michael (2010), 《The Making of History's Greatest Star Map》, Astronomers’ Universe, Heidelberg: Springer-Verlag, Bibcode:2010mhgs.book.....P, doi:10.1007/978-3-642-11602-5, ISBN 978-3-642-11601-8 
  21. 라스 알게티의 반지름이 태양 반지름의 몇 배인지를 구하려면 다음과 같이 각지름을 구하는 공식부터 계산한다.
    여기에서 δ는 라스 알게티의 시지름(각초), dR은 별의 지름(천문단위), DR은 지구로부터의 거리(파섹)이다. 각지름과 거리를 알고 있다면 아래와 같이 계산하여 dR을 구할 수 있다.
    .
    라스 알게티의 반지름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태양 단위로 변환하면 1 AU = 149,597,871 km 이고 태양의 평균 반지름 = 696,000 km 이므로 계산은 다음과 같다.
    (반올림함).
  22. Deutsch, Armin J. (1956년 3월). “The Circumstellar Envelope of Alpha Herculis”. 《Astrophysical Journal》 123: 210–227. Bibcode:1956ApJ...123..210D. doi:10.1086/146152. 

외부 링크

[편집]
  • (영어) 허큘리스자리가 위아래로 뒤집혀 있음을 알려주는 자료. Hercules

좌표: 하늘 지도 17h 14m 38.858s, +14° 23′ 25.20″